[열린세상] 달음박질 치는 사람들
여덟 살 때 앓은 뇌염 후유증으로 몸이 불편한 최용진 선수(35)가 지난 28일 부산 아 태장애인 경기대회 1500m 달리기에서 금메달을 땄다.최 선수는 말을 더듬고 팔을 잘 못 움직이는 뇌성마비 6급 장애인이다.그는 1999년 이래 장애인 대회마다 이 종목 우승을 놓친 일이 없는 달리기 챔피언이다.7월에 프랑스에서 열린 세계장애인육상선수권대회에서는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그는 하루 종일 달리고 또 달린다고 한다.달리는 인생이다.돌 캐는 회사에 취직이 되었을 때는 24킬로미터 떨어진 직장을 뛰어서 다녔다.그래서 붙은 별명이 포레스트 검프다.“달리면 답답한 가슴이 확 트일 것 같아서” 뜀박질을 시작했다고 술회한다.
1분 동안 심장박동 38회라는 ‘철의 심장’의 소유자 이봉주 선수는 “마라톤은 초반이 어렵다.고비를 넘기면 탄력이 붙는다.”고 가르친다.
그 초반 고비를 보통 ‘사점(死點)’이라고 한다.근육에 피로물질인 젖산이 쌓이면서 가슴과 배에 통증이 오는 때다.죽을 듯이 괴롭다.그러나 포기하고 싶은 이 고통의 시간을 이겨내면 홀연성취감 만족감 같은 환희를 맛보면서,두둥실 떠있는 구름 사이를 지나는 비행기처럼 힘 드는 줄 모르게 된다.스포츠 의학 용어로 ‘러너스 하이(Runners high)’라고 부르는,일종의 마취현상이다.
보통 달리기 시작해서 30분 쯤,거리로는 7∼8km 부터 이런 일이 나타난다고 한다.고통이 먼저 오고,그것을 견디면,그 뒤에 찾아오는 행복감은 헤로인이나 모르핀을 투여했을 때와 비교된다.기분이 좋아지고,팔이 가볍고,리듬감이 생기고,피로가 사라지고,새로운 힘이 샘솟는 듯한 ‘야릇한 시간’을 경험한다.‘하늘을 나는 듯,꽃밭을 걷는 듯’ 이라고 표현한 사람도 있다.한 번맛들인 사람은 이 짜릿한 맛을 잊을 수 없다.달리기 마니아의 탄생이다.
러너스 하이와 같은 마취,또는 마비,아니면 함몰의 경지는 달리기에만 있는 현상도 아니다.무슨 일이든 몰입하면 그 밖의 모든 일은 아랑곳 하지 않거나 자기 코앞만 보고 가는 반맹(半盲) 상태에 이르는 사람들이 많다.남에 대한 배려는 겨를이 없고,무엇보다 사리 분별이 흐리고 몽롱하다.
선거는 일종의 달리기다.선거에 몸담은 사람들은 달리기의 ‘사점’에서 종종 판단기능에 장애를 일으킨다.고통과 자기도취는 동전의 양면이다.뻔한 사안인데도 인식과 평가에 심각한 마비증세를 보인다.
한 달 보름 남짓 앞으로 다가온 대선을 향해 달려가는 각 후보 진영은 지금 러너스 하이에 빠진 듯한 양상이다.달리는 관성을 제어 못해 폭주하는 대선 캠프가 있는가 하면 행불행도 분간 못하는 몽매간(夢寐間)의 행보가 있다.유의할 일은 대선 후보들 사이에 불을 뿜어야 할 정책 토론보다 헛소리가 만연한다는 점이다.
내년 예산안에 대한 국회 상임위별 예비심사에서 현재의 야당이 앞장서서 국정홍보 예산을 증액시켰다,야당이 대통령실 예산의 증액론을 폈다,각 지역의 건설사업 예산을 대폭 증액했다는 등의 ‘집권을 전제로 한 듯한 선심’행보가 보도되고 있는 것은 대표적인 판단 장애 현상의 하나로 보인다.
북한 핵 문제가 돌출하자 갑자기 ‘전면 재검토’ ‘일시 중단’ 따위 맥락이 닿지 않는 말로 강성 면모를 보이려는 태도나,한 교수가 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한 후보의 ‘검증을 받아야 하는 이유들’을 제시하자 ‘증오’ ‘질시와 시기’라는 말로 공론(公論)을 사담화(私談化)하려는 듯이 글 쓴 이를 몰아붙이는 반응을 나타낸 것도 정상은 아니다.
국민은 지금 후보들에 대한 더 충분한 검증의 기회를 바란다.여론조사라는 이름으로 지지율 등락이 요란하게 보도되고 있지만,그 후보들은 아직 제대로 검증되기 전이다.점퍼 입고 시장거리 누비는 이미지만으로,제기된 의혹들을 깔고 앉은 채,국민에게 표를 나눠 달라는 것은 속임수이기 쉽다.정치권은 자가중독의 ‘야릇한 시간’의 유혹에서 벗어나야 한다.정책 차별화의 진지하고 치열한 논의는 없이,감춰진 진실을 명명백백 드러냄 없이,변죽을 맴도는 대선 캠페인만으로 대통령이 탄생될 수는 없다.장애인 뜀박질 금메달리스트의 ‘답답한 가슴을 확 트는’ 단순한 달리기 철학 앞에 모두 부끄러워야한다.
정달영 칼럼니스트 ·명예논설위원 ssisi6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