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걸볼까 순한걸 볼까? 국산영화 2편
모처럼만에 배우들의 ‘한바탕 열연’이 어우러진 영화 두 편이 27일 개봉한다.‘사생결단’(MK픽쳐스)과 ‘맨발의 기봉이’(태원엔터테인먼트)가 그것. 그런데 내용은 정반대다. 한쪽은 서로가 서로를 물고 물리는 세상을, 다른 한쪽은 서로가 서로를 뒷받침해주는 세상을 그리고 있다. 매표소 앞 관객들은 어느 영화를 선택할까.
●전통 누아르, 사생결단
여기 한 형사(황정민)가 있다. 마약 파는 놈한테 친한 선배를 잃었다. 이 선배 마누라와 섹스도 하고, 또 이제 그 놈의 지긋지긋한 경장 계급장 갈아치우고 싶어 마약상에게 복수를 맹세한다. 다른 한 쪽에는 어릴 적부터 삼촌이 시키는, 술도 담배도 아닌 마약 심부름을 하며 자란 양아치(류승범)가 있다. 이 둘은 운명공동체가 된다. 마약상 잡으려는 형사에게는 이 양아치가 주는 정보가 필요하고, 형사가 거물급 제거해줄 때 슬쩍 영역이라도 확장하면 양아치로서는 그야말로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는 셈이다. 그런데 어랍쇼 이 마약상, 형사-양아치 관계와 똑같은 관계를 검사와 맺고 있다. 현장을 뒹구는 일개 강력반 형사 따위가 이름 없는 양아치와 논다면, 고상하게 높으신 자리에 앉은 검사는 역시 거물 마약상과 딜을 하고 있었던 것. 주먹으로 치자면 양아치와 형사는 지역구, 마약상과 검사는 전국구였던 셈이다.
이처럼 ‘사생결단’은 의협심, 정의감 혹은 윤리, 도덕 따위의 단어들은 내팽개친 영화다. 어느 하나 제 잇속 생각하지 않는 놈이 없고, 어느 하나 남을 이용해먹지 않는 놈이 없는 세상을 그린다. 서로가 서로의 속내를 빤히 들여다보는 사이이니 이제 남은 건 ‘포커 페이스’와 ‘머리 싸움’. 여기에 양아치의 삼촌(김희라), 쫄따구(온주완), 애인(추자현)의 욕망이 끼어들면서 결말은 혼미해져간다.
황정민·류승범은 물론, 모든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는 기본이고 시나리오·음악·의상·조명 등도 흡잡을 곳이 없다.18세 이상 관람가.
●눈물 찔끔, 맨발의 기봉이
이에 반해 ‘맨발의 기봉이’는 전형적인, 나비 날고 꽃 피는 팬터지다. 실제 인물 엄기봉씨를 다룬 TV 다큐 ‘맨발의 기봉씨’를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외진 마을에 사는 순박한 기봉이 아저씨가 주인공.
이 기봉이역을 맡은 신현준의 변신만 해도 화제가 될 만한 영화다. 나이는 마흔살이지만 어릴 적 앓은 열병 때문에 정신연령은 8살. 온 마을의 허드렛일은 도맡아 하면서 번 푼돈으로 어머니(김수미)를 극진하게 모시는 효자이기도 하다. 이 역을 소화하기 위해 신현준은 뻐드렁니에, 모든 바지를 몸빼바지처럼 입고, 몸은 항상 엉거주춤에, 발음은 대사가 진짜 저렇게 쓰여있을까 싶을 정도로 엉망진창이다. 그리고 ‘네∼’ ‘아이고 참∼’이라는 실제 엄기봉씨가 많이 쓰는 말도 감칠 맛 나게 적절하게 쓴다. 특히 기봉이의 취미, 나무막대기든 뭐든 하나 부여잡고 앞뒤도 전혀 안 맞는 일기예보나 야구중계를 하는 장면에서는 정말 뛰어난 연기를 보인다. 영화의 스토리는 이런 기봉이를 어릴 적부터 안쓰럽게 보아오던 백 이장(임하룡)이 마라톤 대회에 참가시키면서 시작된다.
그런데 눈물과 웃음과 인간애를 강조하려다 보니 자연스레 몇가지 에피소드에 초점을 맞추고, 그러니 스토리가 일관되게 쭉쭉 치고 나가는 맛은 한참 떨어진다. 한조각 한조각 정성을 다해 만들어 붙였지만 한 발 떨어져서 보면 그만 엉성해 보이는 모자이크 같은 느낌이다. 하지만 가정의 달이라는 5월에는 딱 맞는 전체 관람가 영화이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