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베어스, 정규시즌 우승…정상으로 이끈 ‘곰탈여우’ 김태형 감독
프로야구 두산 베어스가 21년 만에 정규시즌에서 우승했다.
두산베어스의 우승을 이끈 사령탑 김태형(49) 감독은 ‘곰탈여우’(곰의 탈을 쓴 여우)로 불린다.
겉보기에는 구단 마스코트인 곰처럼 우직하지만, 기민한 두뇌 회전과 빠른 상황판단으로 여우 같은 모습까지 갖췄다고 해서 선수 때부터 들었던 별명이다.
그리고 ‘곰탈여우’는 부임 2년 만에 한국시리즈 우승과 정규시즌 우승을 차례로 일궈낸 김 감독 리더십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말이다.
김 감독은 올해 두산의 팀 컬러를 ‘곰’처럼 지키면서 성적까지 냈다.
공격야구를 지향하는 성향답게, 팀 희생번트는 43개로 10개 구단 중 두 번째로 적다.
경기 초중반에는 한 점이 필요한 때라도 선수에게 맡겨놓는 편이고, 덕분에 두산은 잠실구장을 홈으로 쓰면서도 팀 홈런 172개로 리그 2위를 달린다.
“야구는 선수가 한다”는 말은 김 감독의 야구 철학이면서 두산의 전통적인 야구 방식이기도 하다.
감독이 경기에 개입하는 걸 최소화하고, 강공으로 대량득점을 노리는 건 1995년 부임한 김인식 감독 시절부터 고수한 전략이다.
2014년 송일수 감독 체제로 실패를 맛본 구단은 ‘두산 야구’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김 감독에게 사령탑을 맡겼고, 김 감독은 훌륭하게 대업을 이뤘다.
경기 개입이 너무 적은 김 감독을 두고 ‘점수 짜내기에 약하다’는 지적도 있지만, 다양한 개성을 지닌 선수가 풍성하게 갖춰진 두산 전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적임자가 바로 김 감독이다.
1년에 144경기를 치르는 정규시즌을 흔히 마라톤으로 비유하는데, 김 감독은 뚝심 있는 곰처럼 위기에서도 좀처럼 흔들리지 않는다.
믿었던 선발투수한테 조금이라도 문제가 생기면 바로 대체선발을 내고, 타선이 막혀도 좀처럼 무리수를 두지 않는다.
한 번 신뢰를 준 선수는 끝까지 믿는다.
지난해 한국시리즈 우승의 주역인 이현승이 올 시즌 중반 이후 부진에 빠졌지만, 김 감독은 우직하게 계속해서 기회를 주다가 최근에야 홍상삼에게 뒷문을 맡겼다.
당장 한 두 경기는 놓칠지 몰라도, 김 감독은 자신이 정한 원칙을 지키는 운영으로 한 시즌을 잡았다.
정규시즌에서는 ‘곰’처럼 우직한 김 감독이지만, 단기전에 들어가면 과감한 ‘여우’로 변신한다.
시즌 때 중용한 함덕주가 포스트시즌에서도 주춤하자 한국시리즈 1차전 이후 기용하지 않았고, 마무리 이현승에게는 3이닝을 맡기는 등 정규시즌에서 힘들었던 운영을 선보였다.
정규시즌에는 선발 로테이션을 건드리지 않는 김 감독이지만, 지난해 플레이오프에서 NC 다이노스에 1승 2패로 끌려가자 더스틴 니퍼트에게 3일 휴식만 주고 과감하게 투입해 시리즈 역전을 이끌기도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