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올림픽의 해 밝았다] 개최국 中 준비상황
|베이징 이지운특파원|“1등 하겠다고 한 적 없다.”
최근 한 기자회견에서 추이다린(崔大林) 국가체육총국 부국장이 한 말이다.“우리는 애초부터 이렇게 말하지도 않았다. 언론의 추측이었을 뿐이다. 그다지 현실적이지도 못하다.”는 얘기다. 과거 나돌았던 ‘최선을 다해 금메달로 1위를(力爭金牌榜第一)’이란 구호와는 상반된 설명이다.
추이 부국장은 이 자리에서 중국이 1위를 하기 어려운 이유로,‘다섯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우선 주요 경쟁자인 미국과 러시아의 실력이 전체적으로 크게 강화된 점을 꼽았다.“최근 3년간 국제대회 성적을 보면 1위 미국과 중국의 실력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올해 육상과 수영에서만 각종 국제대회에서 31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 다른 경쟁국 러시아는 “레슬링, 리듬체조,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복싱과 육상의 일부 세부종목 등에서 최강의 실력을 확인시켜 줬다.”고 평가했다. 무엇보다 러시아는 모든 분야에서 골고루 강한 실력을 보이고 있다. 절대 우위가 있는 항목이 중국보다 많다. 최근 3년간의 세계대회에서 러시아는 64개 세부종목에서 금메달을 땄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딸 잠재력이 중국보다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종목별로 부딪쳐야 할 독일, 호주 등의 실력도 만만치 않았으며 일본과 한국의 우세 종목도 적지 않았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기존 우세종목은 맹추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탁구, 배드민턴, 다이빙, 역도, 사격 등에서 외국 선수들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어 갈수록 중국의 우세가 옅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일부 종목의 국제경기연맹이 경기 규칙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중국 선수에게 불리한 조항들이 많이 삽입됐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승부의 불확실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불만 섞인 해석이다.
중국도 물론 일부 잠재력 있는 항목에서 진보를 이뤘지만 성적이 안정돼 있지는 않다고 자평했다. 최근 복싱, 조정, 요트, 펜싱, 근대5종, 남자레슬링 등의 세계대회에서 금메달을 땄지만 성적이 불안정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사활을 걸고 발전을 꾀했던 육상, 수영에서 그다지 실력 향상을 이루지 못한 데서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남자 110m허들 말고는 경쟁력이 많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구기 종목에서도 열세가 뚜렷하다. 외국에서 우수한 코치를 초청하고 선진 기자재와 훈련기법을 도입했지만, 여자 배구를 제외하고는 국제대회에서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중국이 지나치게 엄살을 부린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을 누르고 1등을 하기가 만만한 일은 아니지만,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살린다면 불가능하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얘기다.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 중국은 32개의 금메달로 35개의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러시아는 27개에 불과했다.2000시드니올림픽에서는 미 40개, 러 32개, 중 28개였다. 중국이 4년 사이에 적잖은 성장을 보인 것이다.
국가 체육총국 수영운동관리센터 리화 주임도 최근 “다이빙, 수영에서 아테네올림픽 때와 같은 금 7개 정도는 따낼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아테네에서 금메달을 1개밖에 따지 못해 체면을 구긴 체조에서는 본래의 실력을 되찾아가고 있다. 지난해 12월 베이징에서 프레올림픽 성격으로 치러진 ‘하오윈(好運) 체조대회’에서 중국이 거의 금을 독식했을 만큼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다.“세계선수권 8위 이내 국가를 초청한 대회로, 강자들 간의 경쟁에서 얻은 성과여서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고 한 관계자는 말했다.
한국도 양태영 등 내로라하는 선수들이 출동했지만 금메달은 1개뿐이었다.
여기에 탁구, 배드민턴, 양궁, 사격, 역도 등에서 금메달을 낚고 태권도 등에서 성과를 올린다면 아테네올림픽 이상의 성적을 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한국은 중국과 양궁, 태권도, 탁구에 등에서 물러설 수 없는 대격돌을 예고하고 있다.
한편 중국에선 현재 26개 종목,211개 세부종목에 514명의 선수들이 베이징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한 상태다. 일부 종목의 예선전이 아직 남아 있어, 앞으로 550∼570명 정도의 선수들이 이번 올림픽에 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이 올림픽에 참가한 이래로 가장 많은 종목에 걸쳐 가장 많은 선수들이 참가하는 것이다.
j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