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대통령·의원 선거 시기 맞춰야 하나/이준한 인천대 정외과 교수
필자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대통령을 선출하는 99개 국가들을 대상으로 제도적인 장치와 자유의 수준 등이 각기 어떠한 특징을 보이고 서로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체계적으로 살펴본 적이 있다. 이들 국가 가운데 대통령의 임기, 재임 여부, 국회의원 임기, 단원제 여부, 대통령과 국회의원 임기의 조합, 선거 주기, 민주주의 수준 등 사이에서 다양한 특징 및 패턴을 찾아본 것이다.
그 결과 우선 99개 국가들의 대통령임기 평균은 5.12년으로 나타났다. 대통령임기가 4년인 나라는 21개국(21.2%),5년은 57개국(57.6%),6년은 9개국(9.1%),7년은 12개국(12.1%)으로 집계된다. 단임제 대통령제는 11개 국가에 그쳐 연임제(63개)나 중임제(25개)보다 훨씬 더 적다.
일반적으로 대통령의 임기는 단임제가 가장 짧고 연임제에서 중임제로 옮겨 갈수록 길어진다. 그러나 대통령을 선출하는 국가들은 국회의원의 임기가 대통령의 임기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약 1년 정도가 짧다. 이처럼 비동시 선거를 실시하는 국가는 60개(60.6%)이고 동시선거 국가가 35개(35.4%)이다.
그리고 동시선거와 중간선거를 병행하는 미국식 혼합형 선거주기를 채택한 나라는 4개(4.0%)인데 중간선거 국가가 도미니카 공화국 하나뿐이다.
99개 대통령 선출 국가들 가운데 대통령의 임기는 4~7년이고 국회의원의 임기는 2~6년 사이에 분포한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채택한 대통령과 국회의원 임기의 조합은 5-5년(34개),5-4년(21개),4-4년(18개)으로 나타난다. 매우 당연하게도 대통령과 국회의원의 임기가 같으면 대통령의 임기가 짧고, 다르면 대통령의 임기가 국회의원의 임기보다 길다.
그리고 대통령과 국회의원의 임기가 다를수록 국회의원의 임기가 상대적으로 짧고 대통령과 국회의원의 임기가 같을 때는 국회의원의 임기가 상대적으로 긴 경향이 있다. 그 가운데 대통령 임기나 국회의원 임기가 각각 길거나 또는 동시에 가장 긴 7-5년 조합은 민주주의적인 발전을 가로막는 제도로 확인된다. 중임제도 마찬가지로 단임제나 연임제에 비하여 비민주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보면 한국의 5-4년 비동시 대통령제는 사실상 그리 드물지 않은 제도이다. 한국과 같은 5-4년 비동시 대통령제는 전세계 99개 대통령 선출 국가들 가운데 19개국(19.2%)이나 존재한다. 총 21개의 5-4년 대통령제 나라 가운데 루마니아와 아이티에서는 최근 선거를 동시에 치렀다.
하지만 5-4년 조합을 도입한 국가들 가운데 한국이 단임제를 채택한 유일한 국가이다.19개의 5-4년 비동시 대통령제 국가들은 대체로 미국의 독립기관인 프리덤 하우스(Freedom House)가 매기는 ‘민주주의 점수’ 가운데 좋은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루마니아와 아이티를 합해도 그 패턴에서는 변화가 없다.
그러나 5-4년 조합을 선택한 국가들의 면면을 하나씩 살펴보면 사뭇 다른 사실을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5-4년 조합을 선택한 국가들 가운데 과반수인 12개국은 구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그루지야, 루마니아, 리투아니아,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알바니아, 크로아티아, 폴란드)이다.
그 밖의 6개국은 아프리카(기니비사우, 마다가스카르, 베냉, 상 투메 프린시페, 앙골라, 차드)에 위치한다. 나머지 중 아이티는 여전히 남미의 불안정한 정치의 대명사이고 그나마 포르투갈이 유일한 유럽 사례이다. 사실상 한국의 민주주의보다 오래되거나 더 좋은 사례는 찾기 어려운 셈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이 채택한 5-4년 조합의 비동시선거에 대한 심각한 평가가 필요한 것이 아닌가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이준한 인천대 정외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