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자 줄이고 친중인사 키우고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중국이 ‘문화수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소프트파워(연성권력)’ 확충 전략의 일환이다. 향후 10년 내 전 세계 20여개국에 중국문화원을 세워 기존의 ‘공자학원’과 함께 중국문화 ‘저우추취’(走出去·해외진출)의 거점으로 삼는다는 계획을 착착 진행하고 있다. 만성적인 ‘문화적자’를 면하겠다는 계산도 담겨 있다.
●자유평등사상 전파 우려에 미국제외
현재 중국문화원은 7개국에 세워져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 아프리카의 모리셔스, 베넹, 몰타, 이집트 및 유럽의 프랑스와 독일 등이다. 중국은 향후 10년 내 20여개국에 문화원을 추가 설치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싱가포르, 몽골, 인도, 태국, 일본, 러시아, 영국, 스페인, 이탈리아, 멕시코 등 9개국과 문화원 상호설치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카자흐스탄, 루마니아, 폴란드, 덴마크, 스위스, 브라질 등 수십여개국을 상대로 중국문화원 건립 의사를 타진 중이다.
가장 먼저 싱가포르에 8번째 중국문화원이 설립된다. 싱가포르의 연합조보(聯合早報)는 “내년에 중국문화원 건설공사가 착공될 예정”이라고 23일 보도했다. 지난 8월 싱가포르 문화부 고위인사가 방중, 중국 문화부 측과 관련 협상을 마무리 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대상국가에서 제외된 것이 눈에 띈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문화원 설립은 대부분 상호주의에 입각해 추진된다.”며 “중국이 미국에 중국문화원을 세우면 미국 역시 중국에 미국문화원을 세울 것이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미국문화원을 통해 미국의 자유, 평등사상이 전파되거나 중국의 인권문제 등이 거론되는 것에 부담을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 중국의 문화원 확충 계획은 다분히 공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중국어 사용인구 확대에도 기여
중국은 문화부 직속 중국문화원과 교육부 직속 공자학원을 별도로 운영하는 ‘투 트랙’ 문화침투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문화원은 당대 중국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각종 전시회 등을 주관하고, 내년까지 500여곳에 세워질 공자학원은 중국어 사용인구 확장 기구로 운용하고 있다. 물론 ‘친중파’ 확대가 가장 큰 목적이다.
차이우(蔡武) 문화부장은 최근 한 회의에서 “문화원 업무는 중국 국제 문화전략의 중요한 일부분”이라면서 “중국문화 해외진출의 전초기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중국문화원의 효용성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2003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전 세계 중국문화원에서는 모두 1000여차례의 각종 전시회 및 강연회가 개최됐고, 지난해 프랑스 파리와 서울에 있는 중국문화원 홈페이지 접속자는 각각 150만명을 넘어섰다.
장관급인 국무원 신문판공실의 왕천(王晨) 주임은 지난주 번역가협회 대표회의에 참석, “중국은 세계 문화 발전에 중대한 공헌을 해야 한다.”면서 “하지만 지금까지는 문화전파에 있어 중국의 적자가 막대했다.”고 지적했다. 향후 중국이 보다 적극적으로 문화수출에 나설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stinge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