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李대통령이 처칠에게 꼭 배워야 할 것/김무곤 동국대 신방과 교수
나라가 안팎으로 어렵다. 지금 국민들의 마음은 마치 IMF 위기 때를 연상케 할 정도로 어둡다. 글로벌 경제 불안, 수입쇠고기 문제, 유가앙등, 물가불안, 금강산 민간인 피격사건 등등 문제는 많고 시원한 해결책은 보이지 않는다. 올림픽 승전보만이 그나마 국민들을 가끔씩 웃음짓게 할 뿐이다. 지금 한국 국민들이 따르고 지지하는 지도자는 대통령과 국회의원들이 아니라 수영 영웅 박태환과 여자 핸드볼 대표팀 선수들인 것 같다.
그러나 누군가 대한민국 60년사에 지금만큼 어렵지 않은 적이 언제 있었느냐고 묻는다면 대답에 곧 궁해지고 만다. 그렇다. 사실 지금 우리가 안고 있는 난제 중 어떤 것들은 시간이 해결해 줄 문제고, 또 어떤 것들은 힘을 합쳐 해결하면 풀릴 수 있는 일이다. 정작 큰 문제는 현재 위기의 가장 핵심적 내용이 리더십의 위기라는 점에 있다. 정부도, 그 어떤 정치지도자도 이 어둡고 불안한 상황을 ‘규정’하지 않고,‘설명’하지 않고, 우리가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디로 가야 하는지 그 방향을 가리키지 못한다. 그러니 민심과 시장이 동시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것이다.
‘우리는 결코 실패하지 않는다-돌파의 CEO 윈스턴 처칠’은 이명박 대통령이 청와대 직원들에게 휴가 때 읽어 보라며 선물했다는 책이다. 제목부터 작금의 국정 위기를 극복해서 성공한 정권을 만들자는 의지가 전해져서 좋다. 또 ‘결코 실패하지 않겠다.’니 적이 안심이 된다. 어느 국민인들 자기 나라 정부의 성공을 바라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그럼에도 한 가지 의문이 드는 것은 이명박 대통령과 그 참모들이 ‘도대체 무엇을 시도해서 결코 실패하지 않는다는 것일까.’라는 점이다. 국민에게 말해준 적이 없으니 도무지 알 길이 없다. 그러니 제발 지금 어떤 상황인지, 지금부터 무얼 할 것인지 말 좀 해달라는 것이다. 노력하다가 실패해도 좋으니, 돌파하다가 막혀도 좋으니, 국가의 장단기 목표를 제시해 달라는 것이다.
영국뿐 아니라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처칠을 존경하는 이유는 위기 때 특히 빛을 발하는 그의 리더십 때문이다. 많은 역사가들에 의하면 처칠의 리더십은 ‘공동의 목표를 명확히 하는 능력’과 함께 그것을 ‘말로서 표현하는 능력’에 뿌리내리고 있다고 한다. 독일과의 전쟁이 일어났을 때, 처칠은 승리를 향한 신념은 있었으되, 이기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은 없었다. 그래서 그는 정직하게 말했다.“나는 피, 수고, 눈물, 그리고 땀밖에는 달리 드릴 것이 없습니다. 여러분께서 우리의 목표가 무엇이냐고 물으신다면 나는 한 마디로 대답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승리입니다. 승리, 어떤 대가를 지불하더라도, 어떤 폭력을 무릅쓰고라도 승리, 거기에 이르는 길이 아무리 길고 험해도 승리, 승리 없이는 생존도 없기 때문에 오직 승리뿐입니다.”
또 처칠은 싸움의 목적을 명확히 밝혔다. 독일과의 전쟁이 악과 싸우는 전쟁임을 거듭 설명했다. 그는 말로서 사람들을 고무했을 뿐 아니라, 뚜렷한 의견을 제시하고 상황을 쉽게 설명했다. 공습하의 런던시민들은 라디오에서 흘러 나오는 그의 연설을 듣지 않으면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였다고 한다.
“영국의 싸움이 지금 시작되려 하고 있습니다. 기독교 문명의 생존은 이 싸움에 달려 있습니다. 우리 영국의 생존, 우리나라의 제도들, 우리 제국의 긴 역사가 이 싸움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이 말을 들은 영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스스로가 역사의 주인공임을 자각할 수 있었음은 물론이다.
부디 이명박 정부가 ‘결코 실패하지 않고’, 오늘의 위기를 ‘돌파’하기 바란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대통령이 국민과 함께 이루고자 하는 일들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 필요성을 국민 앞에 설명해야 할 것이다. 지금 이명박 대통령이 처칠에게 가장 먼저 배워야 할 덕목은 바로 이 것이다.
김무곤 동국대 신방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