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가 세계사를 바꿨다?
커피가 세계사를 바꿨다고 하면 믿겠는가. 사이토 다카시 일본 메이지대학 문학부 교수는 뉴욕, 파리, 런던, 도쿄 등 세계 주요 도시들을 중심으로 세계 커피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스타벅스를 통해 세계사를 훑는다. 그는 스타벅스가 무서울 정도로 승승장구할 수 있었던 것은 ‘현대인에게 특별하다고 느끼는 공간’을 지속적으로 제공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한다. 특히 잠이 오지 않는다는 커피의 특성에 주목한다. 근대가 가진 ‘잠에서 깨어 있는’ 느낌과 궁합이 잘 맞는 음료로 세계를 크게 바꿔놨다는 것이다.
커피의 역사는 에티오피아 등에서 커피 열매를 으깨 경단으로 먹었던 기원전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커피를 마시는 습관은 8세기경 메소포타미아 지방에 나타난 이슬람 신비주의 집단 수피교도로부터 시작됐다. 밤을 새워 명상을 하는 수행에 커피의 각성 효과가 도움이 됐기 때문. 커피는 이슬람에서는 종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었으나, 이성을 중요하게 여겼던 유럽에서는 상인들이 ‘이성을 각성시키는 음료’라고 홍보하며 이전까지 존재하지도 않았던 욕구를 만들어 냈다. 1652년 영국 런던에 유럽 최초의 커피하우스가 등장했고, 불과 31년 뒤 3000여 곳으로 늘어났다.
사이토 교수는 이성을 각성시키는 장소로 자리잡은 커피하우스에서 각종 의견 교환과 정보 교류가 활발하게 이뤄져 시대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발생했다고 말한다. 프랑스 혁명으로 이어진 토론의 장소였으며, 오늘날 보험이나 금융 같은 자본주의 시스템이 등장하게 된 장소였다는 것. 사이토 교수는 커피 문화권에서는 뭔가 일의 피치를 올리고 싶을 때 커피를 마시는 편인데, 차 문화권 사람들은 한숨을 돌리며 쉬고 싶을 때 차를 마시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하며 “한때 영국의 식민지로, 차 문화권이었던 미국이 18세기 후반 보스턴 차 사건 때문에 커피 문화권이 됐다. 커피는 이후 미국이 세계를 제패하게 된 하나의 보이지 않는 요인이 됐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
다시 물음표를 던져보자. 누가 또는 무엇이 인류 역사의 톱니바퀴를 움직여 왔을까. 왕이나 장군, 혹은 소수의 리더 계층에 의해 중요한 의사 결정이 이뤄지고 시스템이 만들어지며, 역사가 움직인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평범한 사람들의 활동에 의한 역동적인 움직임도 분명히 존재하고, 이를 놓치지 않아야 역사를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사이토 교수는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홍성민 옮김, 뜨인돌 펴냄)에서 역사의 톱니바퀴를 움직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간의 감정에 주목하며, 그 감정이 만들어낸 다섯 가지 힘을 통해 세계사를 바라보고 있다. 욕망, 모더니즘, 제국주의, 몬스터(자본주의·사회주의·파시즘), 종교라는 코드다.
이 코드를 바탕으로 흥미로운 이야기 보따리를 풀어낸다. 저자는 막스 베버의 관점을 빌려와 자본주의는 기독교로부터 생겨났다고 말하기도 한다. 종교개혁을 이끌어냈던 프로테스탄트, 특히 칼뱅주의자들은 일하는 것을 신에 대한 봉사로 생각하며 누구보다 열심히 일했고, 그만큼 돈도 많이 벌었다. 이들은 금욕을 중시하고 자신을 위해 돈을 사용하는 것을 싫어했기 때문에 일을 확대하는 데 돈을 쓸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현대적인 개념으로 따지면 투자였고, 투자가 확대재생산되며 자본주의 탄생의 모체이자 메커니즘이 됐다는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서유럽과 이슬람의 대립구도를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종교적 대립으로 인식하지만, 저자는 근대화를 덧댄다. 약 1000년 동안 신에게 짓눌려 가사 상태에 빠졌던 서유럽이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으로 인간이 앞서는 시대, 즉 근대로 들어섰는데 이슬람은 신보다 인간을 중시하는 근대 문명에 반발심을 가졌다는 이야기다. 때문에 예수를 신의 아들까지는 아니라도 예언자의 한 명으로 받아들일 정도로 다른 종교에 대해 관용적이었던 이슬람에서는 근대가 싫으니까 유럽도, 기독교도 싫다는 의식의 흐름이 형성됐다는 것.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와 윌 스미스 주연의 영화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를 떠올리게 하는 부분도 있다. 저자는 서양의 근대는 신체 감각보다 정신을 우위에 두는 시대이지만 단 하나, 시각은 예외였다고 지적한다. 중세에서는 ‘성서’라는 지식이 권력을 쥐었다면 인간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된 근대에서는 시선이 권력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는 것. 때문에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가 언급한 원형감옥 ‘파놉티콘’ 처럼 근대는 ‘보는 자’가 ‘보여지는 자’를 지배하는 사회가 됐다.
‘88만원 세대’의 저자인 우석훈 연세대 교수는 해제를 통해 “이 책은 자본주의 등장과 전개라는 관점으로도 읽을 수 있고, 근현대 문화사라는 시각으로도 읽을 수 있고, 경제사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조건이라는 측면에서도 읽을 수 있다.”면서 “세계사에 대해서, 그리고 지금의 역사에 대해서 한번도 진지하게 생각해보지 않았던 이들에게 역사를 읽는 재미와 함께 생활의 소소한 것들의 기원과 기능에 관해 생각해보는 재미를 주게 될 것”이라고 추천하고 있다. 1만 3000원.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