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보통신기술 경쟁력 첫 톱10
우리나라가 정보통신기술(ICT)의 국가발전에 대한 영향력을 평가하는 척도 격인 네트워크 준비지수(NRI)에서 처음으로 세계 10위권에 들어갔다.
반면 세부적으로는 교육비 지출 부문 75위, 복잡한 창업절차 74위에 그쳐 개선이 시급함을 보여줬다. 지난해 보고서에서도 복잡한 창업절차(89위), 입법기구 효율성(65위), 조세의 범위·효율성(71위), 사법부 독립(51위) 등은 낮은 평가를 받았었다.
세계경제포럼(WEF)이 9일(현지시간) 발표한 ‘네트워크 준비를 통한 혁신 강화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NRI지수는 127개 국가·경제체제 가운데 9위에 올랐다. 지난해 보고서에서는 122개 국가·경제체제 가운데 19위를 차지했다.
1년만에 10계단이나 뛰어올라 가장 높은 진전을 보인 나라로 나타났다. 평가는 각각 전년도 통계를 기준으로 했다.
WEF는 보고서에서 “질 높은 고등교육과 양질의 노동력 공급, 뛰어난 연구기관들의 비교우위가 매우 역동적인 비즈니스 부문과 결합, 놀랄 만한 혁신을 이루면서 세계에서 내로라하는 다국적 기업들을 일궈냈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는 2002년 20위(조사대상 75개국),2003년 14위(82개국),2004년 24위(104개국),2005년 14위(115개국),2006년 19위(122개국)로 순위가 들쭉날쭉했지만 10위권 진입은 처음이어서 시사하는 바가 적잖다.
부문별 순위에서 한국은 정보통신 시장·규제·인프라 환경 17위, 정보통신 이용준비도 3위, 실제 활용현황 4위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세항목을 따지면 환경 부문이 상대적으로 열악해 시장환경 7위를 제외하곤, 정치·규제 환경 20위, 인프라 환경 17위에 머물렀다.
68개 세부항목 중 5위권에는 기업의 인터넷 활용(1위), 인터넷서비스 시장 경쟁력(1위), 개인이용자 세련도(2위), 정부의 첨단제품 조달비율(2위), 전자적 수단을 통한 참여지수(2위), 클러스터(산학협동) 발전(3위), 디지털 콘텐츠 접근도(3위), 저렴한 광대역 비용(3위) 등 15개가 포함됐다.
반면 창업 소요시간(36위), 언론의 자유(51위), 안전한 인터넷 서버(51위) 등 4개 세부항목에선 50위 이하여서 전반적인 사회환경에 대한 평가가 비교적 낮게 나왔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용어클릭
●NRI(네트워크 준비지수) 국가별로 경제발전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보통신(IT)을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이다.WEF가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세계적인 경영대학원(MBA)인 인세아드(INSEAD)와 공동으로 해마다 발표한다. 개인과 정부, 기업의 정보통신기술 발전도와 경쟁력을 68개 세부항목에 대해 10점 만점으로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