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애자, 동성·이성애자보다 덜 건강하다”
양성애자들이 동성애자나 이성애자들보다 상대적으로 건강하지 못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텍사스 라이스대학 연구팀은 성인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 1만128명과 성인 이성애자 40만 514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고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팀은 먼저 설문지를 통해 연구 대상자들에게 자신의 건강상태를 자가진단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 결과 양성애자 남성의 19.5%와 여성의 18.5%가 자기 건강에 대해 보통 혹은 낮음 등급을 매긴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다른 두 집단과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비율이다. 동성애자 그룹은 남성 11.9%와 여성 10.6%, 이성애자 그룹은 남성 14.5%, 여성 15.6%만이 보통 혹은 낮음 등급을 매겼다. 다음으로 연구팀은 사회경제적 지위, 교육 수준, 고용 여부, 연간 수익 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소들에 대해서도 질문했으며, 그 외에 의료보험 적용 상태, 흡연 및 음주 습관, 체질량지수, 대인관계 등도 조사했다. 그 결과 이들 요소에서도 양성애자 그룹의 결과가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단적인 예로 대졸 이상 최종학력자 비율은 양성애자 사이에서 가장 낮게 나타난 반면 흡연자 비율은 양성애자 그룹이 가장 높았다.
또한 양성애자 중 연 수입 2만5000 달러(약 2800만 원)이하인 사람의 비율은 남녀 각각 39.5%, 42.1%씩 이었는데, 이 역시 동성애자(남성 22.9%, 여성 25.4%)나 이성애자(남성 24.8%, 여성 29.5%)와 비교해 가장 높은 수치였다.
논문의 공동 저자 저스틴 데니는 “만약 양성애자들이 성소수자들 보다 더한 소수 집단으로 취급받고 있는 실태라면 이로 인한 극심한 차별대우가 발생, 수입 및 교육수준 등에서 격차가 벌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며 “더불어 흡연습관 등 건강에 관련된 기타 요소들에도 모종의 악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그는 이번 연구가 향후 성소수자 보건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공동 저자 브리짓 고먼 교수는 “성소수자들의 건강에 대한 기존 연구는 드문 편이고 이들 연구조차 서로 다른 종류의 성소수자들 간 전반적인 건강상의 차이는 명확히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표는 이러한 차이점을 드러내는 한편 성 소수자 건강에 대한 부정적 요소들의 작용 방식을 알아내기 위한 것”이었다며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 논문은 ‘인구통계학’(Demography) 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
사진=ⓒ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