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이용과 나무/박태식 서울대 명예교수·산림경영학(굄돌)
국토를 농업적으로 이용하는 형태를 세가지로 구분할 때 경종업적 이용(좁은 뜻의 농업)과 목축업적 이용및 임업적 이용으로 나뉜다.경종업적 농지는 평야지대에 발달되고 목축지는 중산간지에,그리고 임지는 농업과 목축업을 하기 어려운 산간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국토이용의 형태이다.즉,임업은 농축산업을 하기 어려운 곳에서 이루어지므로,국토를 완전히 이용한다는 의미에서도 중요하다.
나무는 여러가지 식물중 가장 강한 생리작용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한랭지·건조지·습지등 어느 곳에서도 자란다.그러므로 나무를 가꾸는데 마음만 쓰면 한치의 국토도 놀리지 않고 완전히 활용할 수 있다.나무를 산지에만 심을 것이 아니라 산지와 농지의 경계선,농지주변,주택주변,동네입구,구릉지,공한지,하천부지,도로변,철도주변,학교,공장,아파트 주변,도시공원,어린이놀이터등에 특성에 따라 속성수·유실수·밀원식물·화목(꽃나무)·녹화목 등을 심도록 하면 국토미화뿐만아니라 소득도 올릴 수 있다는 견지에서 큰 뜻이 있다.
이와 같은 임업을 사회임업(사회림업)이라하여 인도,동남아지역의 여러 나라가 국가시책으로 장려하고 있다.옛날 우리나라의 지방행정사를 살펴보면 마을 주변,농네 입구,집주위에 밤나무·살구나무·감나무·대추나무·가래나무 등을 심도록 하여 그것이 오늘까지 존속되어 밤나무골,살구나무골등의 이름을 계승하게된 예를 흔히 볼 수 있다.
8·15해방후 우리나라에서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전반까지 연료림 조성,1960년대 후반부터의 밤나무림 조성,1970년대의 속성수 조림(새마을조림)시책등으로 앞서 말한 사회임업적 견지에서 많은 나무를 심어 국토를 잘 활용하도록 노력하였으나,근래에 와서는 빛을 잃어 가고 있다.연료림은 기름연료 대체로 중요성이 없어졌고,밤나무조림은 값싼 중국밤때문에 수출이 안되어 수확을 포기할 지경에 이르렀다.하천부지에 많이 심었던 포플러는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하천관리상 조림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앞으로는 지역사회의 사회림을 밀원식물로 조성,공해없는 꿀을 생산하여 소득을 올리고 환경도 미화하도록 하는 국토활용의 전환이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