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섬 식히는 도시의 오아시스 “나무야 고맙다”
뜨거운 여름, 콘크리트 숲으로 둘러싸인 도시는 숨막히는 공간이다. 늘어선 빌딩이 바람길을 막아 온갖 오염물질이 떠도는 더운 공기를 가둔 탓이다. 이같은 열섬(Heat Island) 현상은 도시화와 도시개발에 따른 필연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가로수와 도시공원내 작은 숲은 도시를 생태적으로 지탱해 주는 빛나는 존재일 수밖에 없다. 오염물질을 들이키고 맑은 공기를 내뿜는, 그러면서 쉴 곳도 넉넉하게 제공하는 나무의 덕목은 오래 전부터 칭송받아 왔다. 그렇다면 잘 자란 나무 한 그루는, 좋은 숲은 어느 정도의 가치와 효용을 지닐까, 가로수와 녹지공간을 어떻게 가꾸어야 할까.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런 물음에 대답하는 ‘도시숲의 환경형성 기능’ 연구결과를 최근 내놓았다.
●산림과학원 3년간 대구 숲 조사
산림과학원은 지난 2002년부터 3년 동안 대구시의 가로수와 도시공원내 녹지를 대상으로 도시숲의 유형과 특성, 환경에 기여하는 나무의 효용가치 등을 조사했다. 우선 사람과 생태계에 베푸는 나무의 구실은 놀랍기까지 하다. 플라타너스로 불리는 양버즘나무 가로수 한 그루(높이 8m, 줄기 지름 25㎝)가 들이키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CO3/8) 양은 하루 평균 4㎏에 이른다. 광합성을 하면서 내뿜는 산소량은 3㎏ 정도.“양버즘나무 한 그루가 성인 4명이 맘껏 숨쉴 수 있는 산소를 제공하는 셈”(산림과학원 성주한 박사)이라고 한다.
●가로수 한그루가 성인 4명 산소 공급
증산작용으로 나뭇잎에서 새나오는 수분의 환경개선 효과도 지대하다. 양버즘나무는 하루 360g의 수분을 방출하는데, 이로써 제거되는 대기중의 열에너지가 22만kcal(킬로칼로리)에 이른다.15평형 에어컨 8대를 5시간 동안 가동하는 효과다. 나무의 이런 기능은 실제 온도변화 측정을 통해서도 확인됐는데, 한여름 대구 두류공원내 녹지와 나지에서 디지털온도계를 이용해 기온을 잰 결과, 녹지가 맨땅보다 2.6∼6.8도의 기온 저감효과를 보였다.“나무야, 고맙다.”는 말이 절로 나올 법하다.
연구팀은 위성영상 측정을 통해 대구시의 열섬 현상 지도를 그려냈는데, 도시공간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빌딩이 밀집한 도심 한 가운데의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등의 표면온도는 40도까지 치솟은 반면 잘 가꿔진 도시숲 공간에서는 20도 아래로 떨어졌다. 산림과학원 권진오 박사는 이를 두고 “도시숲이 초록우산을 받쳐든 것이라면 그외 지역에서는 햇볕이 그대로 내리쬐는 온돌 위에 서 있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
●도시숲, 야생동물까지 배려해야
산림과학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가로수와 도시숲의 수목이 도시의 대기환경개선과 온도저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확인됐다.”고 자평했다. 그러면서 “우선은 도시에 나무를 많이 심어야겠지만 동시에 숲가꾸기를 통한 ‘좋은 숲’ 조성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도시숲이 더욱 숲다워져야 한다는 얘기다.
나무가 주는 혜택은 사람만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새와 곤충 등 야생동물이 깃들고 먹이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서식처 역할까지 해내야 비로소 생태적 완결성을 갖추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우리나라 가로수와 공원 등 도시숲은 대부분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편이다. 시민에 대한 휴식처 제공 등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식생도 사람의 미관을 주로 고려했기 때문이다. 대구시의 가로수와 도시공원의 조류·곤충 서식실태 조사에서도 이같은 현상이 그대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지난해 6월 한달 동안 현장을 살펴본 결과, 도로변에 한 줄로 심은 가로수에선 새가 10마리를 밑도는 선에서 관찰됐다. 그러나 인도를 끼고 양쪽으로 늘어선 곳(신천대로변)에서는 최고 300여마리 가량으로 늘어났다. 곤충도 마찬가지다.‘시민휴식공간’ 개념에 치우친 곳(달성·국채보상기념공원)은 은신처와 산란처가 부족해 4과 6종만 발견된 반면 같은 도심이지만 주변 야산과의 연계 등을 고려한 곳(두류·범어공원)에선 59과 70종의 곤충이 서식했다. 권 박사는 “새들이 곤충을 잡아먹고, 나무에 둥지를 틀 수 있게 하려면 한 줄 가로수로는 부적합하고, 나무들이 마주보고 서 있는 수림대가 조성되어야 한다. 나아가 서식처에서 번식까지 할 수 있도록 하려면 다각형 형태의 녹지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시숲의 형태뿐 아니라 수종에 대한 면밀한 고려도 요구된다. 권 박사는 “다른 지역에 대한 조사결과가 뒷받침돼야 하겠지만 대구지역의 경우 느티나무와 소나무 그리고 잔가지가 많이 뻗어있는 가시나무 종류가 새들이 둥지를 틀기 쉬운 수종인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생물서식을 위해 도시내 녹지와 숲의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며, 향후 연구에선 효과적인 수종이 어떤 것인지를 검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산림과학원은 대구시에 이어 올해는 부산·광주시를 대상으로 도시숲의 역할과 기능 등을 조사하고 있다. 내년부터 대전과 울산, 인천 등으로까지 확대한 뒤 오는 2008년까지 관련 연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박은호기자 unopar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