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보와 타협의 정신 계승될길/나는 이렇게 평가한다/김석준
◎기득권·자기주장 고집 말아야
1987년 6월 민주항쟁에 뒤이어 6·29선언이 있은지도 이제 5년이 지났다.당시 5공 권위주의 강권통치에 대항하여 일어난 전국적인 국민항쟁의 절정에서 정부와 국민간의 타협의 산물이 6·29선언이었다.대통령 직선개헌,공정한 대선경쟁보장,김대중씨등 사면복권,국민기본권 신장,언론자유 창달,지방자치제및 교육자율화 실시,정당활동 보장및 밝고 맑은 사회건설 등이 이 선언의 핵심내용들이다.
지금에 와서 이러한 내용들을 살펴보니 참신하기 보다는 너무나 당연한 것들이라는 생각이 든다.그러나 당시로서는 강경한 정권이 국민들에게 「항복」한 것이고 이의 채택을 둘러싸고 강경세력과 온건세력 사이에 심각한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또한 이 선언이 36·6%의 유효투표에 기반을 둔 6공화국 정당성의 요체로 원용되고 있다.
6·29이후 한국의 정치민주화는 빠른 속도로 전개되었다.다소의 시행착오와 시련은 있지만 이 선언의 내용들이 대부분 현실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선언의 주체가 의도했건 하지 않았건 지난 5년간 여야합의에 의한 헌법개정,17년만에 실시된 대통령직선과 후보자간의 치열한 경쟁,4·26총선에 의한 「여소야대」의 13대국회 등장,「5공 특위」와 「광주특위」등에 의한 청문회 개최,「5공비리」의 부분적인 척결과 전직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백담사 유배·지방자치제의 부분적인 시행 등은 정치민주화의 주요 실적들이다.또한 이를 가능케 한 것이 언론의 활성화,정당활동 보장,사면복권 등이므로 6·29선언이 직·간접의 방법으로 정치민주화에 기여한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6·29」가 비판되어 왔음도 유념해야 할 필요가 있다.선언주체를 둘러싼 논쟁,「야권분열 기도」,인위적인 정계개편에 의한 「여대야소」국회로의 복귀,대선공약인 중간평가의 포기 등이 주된 비판의 내용들이다.
무엇보다도 6·29의 내용중 가장 큰 문제로 부각되는 것이 최근의 지방자치 단체장 선거와 교육자율화실시 문제이다.이 두 문제는 6·29선언의 실천을 공약해온 6공 정부 임기후반의 가장 중요한 정치적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지방자치단체장 선거는 정부·여당에는 큰 정치적 짐으로 남아 있다.
6·29선언은 기본적으로 국민과 정부간의 타협의 산물이다.타협의 정신은 상대방을 동등한 대화의 상대로 존중,인정함을 근본으로 한다.6·29가 한국의 참민주주의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기득권 세력이나 정부·여당이 자신의 이익이나 논리만 고집하지 않고 야당이나 재야세력의 주장을 포용·양보·타협하면서 정당성의 기반을 넓히는데 있다.정부·여당이 진정한 6·29정신인 타협정신을 회복하여 정치적·경제적 민주대개혁을 더욱 과감히 추진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