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유럽세 대타협의 산물/한·일 월드컵 공동개최결정 배경
◎아벨란제 세불리 확인뒤 막판 “수용” 선회/「공동안」 관철 요한손 차기대권 발판 마련
국제축구연맹(FIFA)의 2002년월드컵 한·일공동개최 결정은 FIFA내 양대세력의 대타협 결과라는 게 지배적인 시각이다.
FIFA를 움직이는 양대산맥은 주앙 아벨란제 회장(브라질)을 축으로 한 남미세와 레나르트 요한손 유럽축구연맹(UEFA)회장(스웨덴)을 기수로 한 유럽세.두세력은 FIFA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어오다 2002년 월드컵 개최지 결정을 놓고는 힘겨루기 양상으로까지 치달았다.요한손을 축으로 한 개혁성향의 유럽세가 22년째 회장을 맡고 있으면서 일본을 노골적으로 지지한 「노회한 군주」 아벨란제에게 제동을 걸고 나섰기 때문.
유럽세는 ▲월드컵 수익의 공정배분 ▲TV중계권 선정의 투명성 보장 등을 내세워 아벨란제의 독단과 전횡을 비난하는 한편 「왕당파」에 대한 공세차원에서 공동개최안을 강력하게 밀어 붙였다.
아시아연맹이 처음 제기한 공동개최안을 요한손이 앞장 서 관철시킨데는 유럽권의 공동개최를 위한 선례를 만들려는 포석이기도 하지만 아벨란제를 압박해 FIFA의 개혁과 자신의 「차기대권」 도전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겠다는 계산이 짙게 깔려 있었다.
요한손은 지난 30일의 회견에서 『아벨란제는 그동안 3차례나 공식석상에서 2002년 월드컵은 일본에서 열려야 한다고 말했다.중립을 지켜야 할 회장이 취할 도리가 아니었다』면서 『아벨란제는 꽤 나이가 많다.98년 파리총회때는 유럽에서 FIFA회장 후보를 내야 한다고 본다』고 말해 공동개최 추진이 아벨란제 견제와 깊은 관계에 있음을 내비쳤다.
요한손은 아벨란제가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 『공동개최는 문제가 많다』며 일본지지를 노골화 한 지난 24일 로마 유럽연맹 확대집행위원회에서 공동개최안 상정을 결의하고 29일 스톡홀름에서 이 방침을 재확인하는 등 정면대결 태세를 갖췄다.
요한손의 이같은 대공세는 지난 29일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지가 『유럽연맹은 31일 FIFA집행위원회에서 아벨란제의 목에 칼을 들이댈 것』이라고 보도할만큼 큰 반향을 일으키며 유럽세를 하나로 묶었고 방황하던 아프리카를 끌어들이는 효과까지 가져와 일본의 「대리인」격인 아벨란제로 하여금 심각한 위기감을 느끼게 만들었다.
요한손을 중심으로 똘똘 뭉친 유럽세의 공동개최 요구를 거부하고 개최지 결정투표를 강행하면 유럽세가 한국에 몰표를 던질 가능성이 높아 자신이 민 일본이 패할 가능성이 있는데다 설사 일본이 근소한 표차로 이긴다 하더라도 유럽세의 반발을 더욱 키워 자신의 집권기반을 뒤흔드는 사태로 확산될지도 모르기 때문이었다.아벨란제는 이같은 최악의 사태를 막고 자신의 영향력을 지키기 위해 공동개최를 받아들이는 타협에 나설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결국 2002년 월드컵 개최지는 한국과 일본의 전쟁을 방불케 한 유치활동과는 관계없이 아벨란제와 반아벨란제 세력으로 나눠 진 FIFA의 역학관계에 의해 판가름 나고 만 셈이다.〈오병남 기자〉
□공동개최 추진 일지
▲94년 4월8일=피터 벨라판 아시아축구연맹(AFC)사무총장,로이터통신과의 콸라룸푸르 인터뷰에서 『아벨란제 FIFA회장이 한일공동개최를 신중히 검토중인바 공동개최를 적극 제안한다』고 발언해 표면화.이후 벨라판은 기회있을 때마다 공동개최 촉구
▲95년 3월3일=벨라판 사무총장 공동개최 다시 제안
▲95년 3월3일=제프 블래터 FIFA사무총장,공동개최 불가 강조
▲95년 7월11일=김윤환 한일의원연맹회장,미야자와 전 일본총리와의 회동에서 공동개최 제의
▲95년 7월19일=정몽준 대한축구협회장,공동개최 반대 공표
▲95년 7월21일=한국,정부차원서 단독개최로 공식입장 정리
▲96년 3월=술탄 아마드 샤 아시아축구연맹(AFC)회장,4개 대륙연맹 회장에게 공동개최 제안,촉구서한 발송…올림픽 아시아 최종예선이 열린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에서 정몽준·나가누마 양국 축구협회장에 의견 타진.정회장은 유연한 대응을,나가누마회장은 단독개최를 고수
▲96년 3월=레나르트 요한손 유럽축구연맹(UEFA)회장,슐탄AFC회장의 공동개최 제안에 동의 표명…유럽측 FIFA집행위원 8일 회동으로 공동개최에 의견통일
▲96년 4월=공로명 외무장관,공동개최안 수용의사 피력
▲96년 4월=FIFA,1개국개최 원칙 확인
▲96년 4월=하시모토 일본총리,단독개최 의사 확인
▲96년 5월3일=이수성 총리,단독개최가 원칙이나 FIFA결정땐 공동개최도 수용 표명
▲96년 5월4일=FIFA,공동개최 거부 재확인
▲96년 5월4일=하시모토 일본총리,단독개최 재확인
▲96년 5월8일=FIFA,한일 양국에 1개국개최 규정 준수여부 질의공문 발송
▲96년 5월10일=정몽준 축구협회장,단독개최 의사 불변 발표
▲96년 5월12일=일본축구협회,단독개최 준수 답신 FIFA에 발송
▲96년 5월13일=일본 여당정책책임자 회의,공동개최론 대두
▲96년 5월15일=대한축구협회,단독개최 준수할 것이며 FIFA 결정에 따르겠다는 답신 FIFA에 발송
▲96년 5월21일=가와부치 일본유치위 부위원장,공동개최 가능성 발언…일본 축구계 고위인사로서는 첫 공동개최 공식 거론
▲96년 5월23일=안드레아스 헤렌 FIFA대변인,공동개최에 대비한 FIFA정관 개정 가능성 시사
▲96년 5월24일=UEFA집행위원회(로마),31일 FIFA집행위원회에 공동개최안 상정 최종결정
▲96년 5월31일=공동개최안 FIFA집행위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