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배추 8만t 긴급수매/당정 오늘부터/농안기금 120억 방출
정부와 신한국당은 3일 무·배추값의 폭락에 따른 농가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농어촌안정기금을 활용,4일부터 이달말까지 단계적으로 무·배추 8만t을 긴급수매하기로 했다.
당정은 지난달 말 강운태 농림부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고위당정회의를 갖고 『올해는 태풍피해가 없어 무·배추의 작황이 예년에 비해 좋은데다 10월 중순부터 출하되기 시작한 경기지역 재배농가의 무·배추까지 겹쳐 계속적인 가격폭락이 우려된다』고 지적,이같이 결정했다.
당정은 이를 위해 농안기금 약 1백2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올 무·배추의 예상 생산물량은 각각 95만∼96만t,1백65만∼1백70만t으로 무는 5만∼6만t,배추는 5만∼10만t이 남아돌아 당정이 긴급구매키로 한 8만t은 초과생산 예상물량의 60%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현재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무·배추가격이 안정세를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신한국당의 한 고위당직자는 이날 『정부의 계약재배 물량을 묶어두고 김치공장의 무·배추 조기 구매 등의 조치와 대대적인 소비운동이 전개되면 가격이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이번 긴급 수매조치에도 불구,가격이 계속 내리면 다음달 초 2단계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정의 이번 수매조치는 지역구마다 집단민원이 발생하기 시작한 신한국당 경기지역 의원들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번에 긴급 수매한 무·배추 전량을 모두 폐기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그러나 서리등 냉해에 따른 가격폭등을 우려,일단 12월초까지는 산지에 그대로 보관하기로 했다고 한 당의 관계자는 전했다.
이에 앞서 정부는 무·배추가격이 폭락함에 따라 재배농가의 반발이 잇따르자 지난 9월말 1만t을 긴급 수매,폐기한 바 있다.
한편 서울 가락동농수산물상에 따르면 무·배추는 하루에 5t트럭 약 1천600대 가량이 반입돼 지난해보다 2배가량 많으며,5t트럭 한대당 가격은 무가 80만∼90만원,배추가 80만∼1백20만원에 거래되고 있고 무 1개,배추 1포기당 산매가격은 각각 5백원씩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