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분리개발’ 현실성 있는 대안찾기로
강행 여부를 놓고 부처간 갈등양상을 보였던 새만금 간척사업이 ‘부분개발’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동진강 지역의 개발을 먼저 추진하되, 수질이 문제가 된 만경강 지역은 추후 수질개선 여부를 보고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는 게 골자다.
5일 당정협의에서 민주당과 농림·환경·해양수산부 등 관계 부처는 이런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협의에서는 네가지방안이 폭넓게 논의됐다.
먼저 농림부의 당초 원안대로 추진하는 방안이다.3조원이넘는 총사업비 중 이미 1조1,385억원이 들어간 만큼 2003년까지 방조제 건설을 모두 끝내고,2012년까지 완공해야 한다는 것이다.그러나,갈수기때 만경강지역의 수질이 문제가 된다는 환경부의 주장으로 현행대로 전면시행은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지배적이었다.
환경단체의 주장대로 사업을 ‘전면보류’하자는 방안에 대해서도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배수갑문 등 이미 만들어진 시설이 무용지물이 되면 1조원 이상의 투자비를 날리게 되고,매년 기존 시설의 유지관리비에 200억원 이상이 소요된다는점을 들어 반대 의견이 많았다.
세번째 안은 수질이 문제가 된 만경강지역은 제외하고,동진지역만 개발하는 방법이다.이 경우,만경지역을 간척지로 만들기 위한 신시도와 군장지역의 방조제 건설을 완성하지 않는 대신 신시도∼심포리 21km 구간에 방조제를 새로 쌓아야한다.이미 상당부분 진척된 신시도 북측 방조제가 무용지물이 되고,무려 2조원 이상의 공사비가 든다는 점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이 문제로 지적됐다.
마지막 안은 방조제를 모두 완성하되 먼저 동진강지역을 개발하고 추후 만경강지역의 수질이 개선되면 개발을 확대하는방안이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2006∼2007년쯤 만경강 개발에착수할 예정인데 분리추진의 경우,수질 개선 여부를 봐야 하기 때문에 2∼3년 정도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새만금 개발로 얻게 될 총 간척지 2만8,300ha 중 만경강지역 1만5,100ha를 포기하게 될 수도 있지만 원안 시행과 전면보류가 팽팽하게 맞서는 현재로서는 가장 현실성 있는 대안이라는 지적이다.
김성수기자 ss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