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특별법’추진
기업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한 ‘기업구조조정 특별법’제정이 추진된다.특별법은 부실징후 기업을 조기에 가려내 회생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신속하게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내용을 담게 된다.
진념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은 27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열린 1차 4대개혁점검 특별위원회에서 “파산법·화의법·회사정리법 등 도산 3법의 통합이 필요하지만 시일이 많이 걸리는 점을 감안해 우선 기업구조조정 특별법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오는 5월15일까지 특별법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며,6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별법안에는 기업 회계의 투명성 제고,금융기관 부실방지,법정관리기업 통제강화,파산재단의 신속한 매각 등이담길 것으로 알려졌다.이와 관련,정부와 민주당·국회의관계자들은 “특별법안에는 도산 3법의 주요 내용이 포함될 것”이라며 “회사의 감사,금융기관,법정관리인 등이기업의 부실여부를 조사해 보고 또는 공개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계자는 “회생 가망이 있다고 판정되는기업은 지원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은 파산되도록 해 시장논리에 따라 상시퇴출이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정부는 특별법 제정 외에 기존 법을 개정해 기업구조조정을 촉진시키는방안도 검토중이다.
한편 회의에서 당정은 공적자금 투입 금융기관을 내년 하반기에 민영화하려던 방침을 바꿔 조기에 민영화해 공적자금 회수시기를 앞당기기로 했다.위탁매매에 매달려 있는증권사가 인수업무를 강화하도록 해 경쟁력을 갖춘 대형투자은행(Investment Bank)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당정은 부실채권정리 실적을 앞으로는 분기별로 점검,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을 지난해 말 8.9%에서 연말까지 5% 이하로 줄여나가기로 했다.분기재무제표에 대한 공인회계사의 검토제도도 도입,금융회사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부실징후를 조기에 포착해 나가기로 했다.
강동형 박정현기자 jh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