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처·농림부 이견 못좁혀
내년도 예산편성과 관련해 밭농업 직불제 등 주요 사업에대해 기획예산처와 농림부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2일 농림부와 예산처에 따르면 밭농업 직불제 신규 도입,논농업 직불제와 농작물재해보험 확대 등을 놓고 두 부처의 입장은 매우 다르다.
농림부는 내년부터 밭농사를 짓는 환경이 나쁜 곳에 대해논농사처럼 정부에서 보조해주는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농림부는 3,000평(1㏊)당 50만원의 보조금을 밭농사의 경우에도 줘야한다고 요구했다. 하지만 예산처는 내년부터밭농업 직불제를 당장 도입하는 것에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우선 내년부터 밭농업 직불제를 실시해야 하는지에 관해 조사를 한 뒤 결정을 해야한다는 입장이다.일본,스위스등도 5∼10년간 정교한 분석후에 도입했는데 제대로 분석도 없이 당장 내년에 도입한다는 게 문제가 있다는 시각이다.
논농업 직불제와 농작물재해보험 확대를 놓고도 두 부처의 이견(異見)은 여전하다.
농림부는 올해 도입한 논농업 직불제를 내년에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올해에는 3,000평당 20만∼25만원을 보조금으로 지원해줬으나 내년에는 50만원으로 올리고 가구당 1만5,000평(5㏊)으로 대상도 늘려야 한다는주장이다.올해에는 가구당 6,000평(2㏊)까지다.
이에 대해 예산처는 그렇지 않아도 현재 쌀이 남아도는상황에서 그럴 필요가 있느냐는 반론이다.예산처는 지난해예산을 편성할 때에도 논농업 직불제를 도입하는 것에 대해 별로 달가워하지 않았다. 재정사정도 좋지않지만 농업구조조정과 역행한다는 이유에서다.
또 농림부는 올해 사과와 배에 대해 시범적으로 도입한농작물 재해보험을 감,귤,복숭아,포도까지 확대하고 정부보조도 대폭 늘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예산처는 사과와 배에 대해 시범적으로 도입한 제도의 성과도 제대로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대상을 늘린다는 게 너무 성급하지 않느냐는 반론을 펴고 있다.가입률도 높지않아 농작물 재해보험이 별로 실효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예산처는 보고있는 것이다.
예산처는 지난달 말 끝난 1차 예산심의에서 밭농업 직불제 도입,논농업 직불제와 재해보험 확대 등에 관한 농림부의 요구를받아들이지 않았다.이번주로 끝나는 2차 예산심의(문제사업 심의)도 마찬가지다.
농림부의 한 관계자는 “실무자의 선은 끝났다”면서 “장관협의와 당정협의의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말했다.특히 여당이 내년 선거를 앞두고 농민에 대한 생색용으로 밭농사 직불제 도입 등을 요구할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기 때문이다.
곽태헌기자 ti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