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요금 개편… 후발주자 희비
‘후발사업자중 유선은 웃고,무선은 울었다’ 유·무선 통신의 요금체계 개편안에 따라 통신업계의 후발사업자간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유선부문의 후발주자인 데이콤,온세통신은 대폭적인 시외전화 접속료 감면방침에 따라 260억원을 추가로 절감받게돼 내심 쾌재를 부르고 있다.
반면 이동전화요금 8.3%인하(SK텔레콤 요금기준)로 무선이동통신의 후발주자인 KTF와 LG텔레콤은 8.7∼8.9%인하되는 꼴이 돼 내년 수입이 2,500억원 이상 줄게됐다며 울상을 짓고 있다.
LG텔레콤 등은 후발사업자의 사정을 전혀 고려치 않았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고, 유선분야에서도 접속료 수입이 크게 줄어든 한국통신이 정통부의 조치를 정면으로 비난하고 나서는 등 ‘요금전쟁’을 둘러싼 갈등은 상당한 후유증을 남길 전망이다.
***유선,후발사업자 260억 추가절감.
■한통, 정통부에 맹공= 시외전화 접속료 인하로 한국통신의 망을 이용하는 후발 사업자들이 지불하는 접속료가 추가로 감면돼 후발사업자들이 상당한 혜택을 보게 됐다.
데이콤과 온세통신은 올해 각각 201억원과 59억원의 추가원가절감 효과를 거둘 전망이다.
데이콤은 1분기 52억원의 영업적자를 냈지만,2분기 144억원,3분기 207억원의 영업이익을 내고 있어 이번 호재로 흑자경영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다.
반면 후발사업자의 이득만큼 수입이 줄게 된 한국통신은 반박자료까지 돌리며 정통부의 조치를 비난하고 있다.
한국통신 관계자는 “시외전화 매출이 크게 줄고 있는 상황에서 후발사업자에게는 과도한 지원을 하면서 한국통신만 계속 손해를 감수하라는 정통부의 방침은 받아들일수 없다”고 말했다.
***무선,후발사업자 수입 2,557억 줄듯.
■KTF,LGT '빈익빈' = 이동전화 요금 8.3% 인하안이 1일 당정협의에서 확정되면 KTF는 8.7%,LG텔레콤은 8.9% 인하하는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통화료를 SK텔레콤 기준으로 10초당 22원에서 21원으로 내리면 현재 18원인 후발사업자도 따라서 17원으로 내릴수 밖에 없어 인하폭이 훨씬 커진다는 지적이다.
LG텔레콤 관계자는 “정통부의 인하안은 후발사업자를 고사(枯死)시키려는 것으로 밖에 볼수 없다”고 비난했다.
정통부의 자료에 따르면 이번 요금인하안으로 내년부터 KTF는 1,689억원,LG텔레콤은 868억원의 수입이 줄어들게 된다.
■내년 1월부터 이동전화 부담 월평균 2,160원 준다= 요금인하로 2002년 SK텔레콤은 3,888억원,신세기통신 751억원을 비롯,무료통화까지 계산하면 이동통신사업자의 수입은 모두 7,320억원 줄게 된다. 이 액수를 9월말 현재 이동전화 가입자 2,824만명으로 나눠서 단순계산해보면 연간 1인당 평균2만5,920원,월 2,160원의 요금을 덜 내게 되는 셈이다.
김성수기자 ss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