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포럼] 전략적 입당은 뭔가
‘쉬운 일은 어려운 듯,어려운 일은 쉬운 듯 하라.’는 말이 있다.어려운 일일수록 가닥을 풀어가며 차분하게,쉬운 일도 아무렇게나 처리해서는 안된다는 충고일 것이다.
그런데 지금 노무현 대통령과 정치권이 펼치고 있는 정치는 오히려 쉬운 일은 더 꼬이게 하고,어려운 일은 될대로 되라는 식으로 풀어나가는 것 같다.예를 들면 이라크 파병이나 부안 핵폐기장 문제 같은 것은 엄청나게 어려운 일이다.이런 현안들에는 외교,국방,경제,과학,환경,문화,지역개발 등 중장기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하지만 지금껏 정부나 정치권은 한번이라도 종합 대책이나 중장기 전망을 내놓은 적이 없다.
그저 사람마다 부처마다 말이 틀리고 여론이나 저울질하면서 시간만 때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이런 일이 정치권이 격돌하고 투쟁할 어려운 일이다.
쉬운 일을 한번 보자.정치권의 개혁일 것이다.과거 잘못이 있다면 고백하고,책임지고,열심히 일하면서 심판 받으면 된다.남을 손가락질할 것이 아니라 자기만 추스르면 되는 일이다.그런데 정치권은 이렇게 쉬운 일들을 엄청나게 비비꼬아서 도대체 어떻게 돌아가는지 갈피를 잡지 못하게 만든다.‘노무현 대통령 측근비리 의혹 특검법’ 공방도 결국 ‘법대로’ 결론이 났다.국민들이 볼 때는 치고 받고,단식하고,국회를 팽개칠 만큼 어려운 일이 아니었음이 분명하다.
노무현 대통령의 재신임 문제나,무당적 문제도 같은 맥락이다.쉽고,예측가능하고,안정된 방법이 얼마든지 있다.노 대통령이 측근의 비리를 알았다면 사과하고 법대로 처리하면 될 일인데 느닷없이 재신임 문제를 들고나와 지금껏 혼란의 불씨가 살아있다.누가 재신임을 묻자고 했나.결국 정치권을 들쑤셔놓아 특검대치 정국과 국회 실종까지 초래하고 말았다.
노 대통령의 무당적 문제도 마찬가지다.노 대통령이 낡은 정치의 기득권 구조를 통째로 와해시키고 싶었다면 집권당이었던 민주당의 구조개혁에 힘을 실어주거나 앞장서서 신당의 손을 들어주었으면 그것으로 할 일을 다하는 것이다.그런데 민주당의 구조개혁도,신당인 열린우리당의 창당 과정에서도 노 대통령은 수수방관했다.결국국가의 최고 정치지도자가 ‘차려주는 밥상’만 기다린 꼴이 됐다.
최근 노 대통령이 한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열린우리당 입당 문제에 대해 “입당 하나 안 하나 저를 그 당 소속으로 알고 있지 않으냐.”면서 “정치적 공방 가운데 가장 대미지가 적고 전략적으로 입당 효과가 좋은 시점에 입당하겠다.”고 말했다.얼핏 노 대통령의 말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열린우리당의 지지도를 올릴 수 있는 시점에 입당하겠다는 것으로 들린다.뒤집어 생각하면 대선수사 및 특검정국 등 앞으로의 정치 상황에서 대미지가 크고 전략적 효과가 나쁘다면 입당하지 않겠다는 뜻도 될 것이다.대의 민주주의,정당정치가 기본인 현실에서 대통령의 이런 언급은 정당들은 물론 국민들까지 혼란스럽게 한다.소속 정당도 없이 바로 국민들을 상대하겠다는 것인지.
울고 싶은데 빰 때려줄 상대만 기다리고 있는 거대 야당들에 둘러싸인 노 대통령의 고군분투를 이해한다고 하지만 이런 ‘전략적 사고’는 너무 협소해 보인다.국민들이 노 대통령에게 요구하는 것은 전략적인 모습이 아니라 예측가능한 믿음을 주는 정치,좌충우돌하는 정치가 아니라 안정된 정치일 것이다.그러자면 노 대통령은 지금껏 해 온 충격정치나 이벤트정치,오기정치는 포기해야 한다.당장 소수면 어떤가.작지만 의미있는 변화도 많다.
김 경 홍 논설위원 ho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