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에 50년간 저가임대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의 싼 임대료에 50년간 빌려쓸 수 있는 100만평 규모의 ‘임대 전용 산업단지’가 비수도권에 조성된다. 현재 5년간 임대한 뒤 분양을 받는 조건의 ‘국민임대 산업단지’와 외국인 투자기업에 저가에 장기임대해 주는 ‘외국인투자기업 임대단지’는 있지만, 내국인들이 장기임대할 수 있는 산업단지가 만들어지는 것은 처음이다. 당정은 6일 한덕수 국무총리 직무대행과 강봉균 열린우리당 정책위 의장 주재로 ‘제6차 일자리 만들기·양극화 해소 당정공동특위’를 열고 창업·중소기업 투자활성화와 신성장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을 확정했다. 당정은 연간 평당 임대료 5000원 수준의 임대전용 산업단지를 3∼5년에 걸쳐 연차적으로 조성, 혁신형 중소기업과 수도권에서 이주하는 중소기업 등에 우선적으로 입주권을 주기로 했다. 정부는 중국의 경우 임대료가 평당 연간 1149∼6364원, 베트남은 2645∼4628원 수준으로 한국에서 평당 5000원이면 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승우 재경경제부 정책조정국장은 “미분양된 국민임대산업단지 가운데 활용가능한 땅이 30만평 정도되는데 우선 이를 임대전용산업단지로 전환하면 올해 4·4분기부터 입주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필요한 자금은 407억원으로 추산됐다. 노웅래 열린우리당 공보부대표는 “중소기업과 함께 이전하는 대기업도 대상”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가 기존 산업단지의 미분양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개정을 추진, 유휴부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당정은 또 상반기 중 산업은행이 메자닌 파이낸싱(리스크가 큰 기업에 대한 자금공급을 위해 금리 외에 성공보수를 받는 금융상품)을 활용한 프라이머리 회사채 담보부 증권(P-CBO)을 발행, 혁신형 중소기업에 100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자동차, 반도체, 통신 등 10개 주요업종에 대해서는 업종별로 투자로드맵(2006∼2015)을 만들어 투자 확대 및 제도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공공기관이 하이브리드차를 구매할 때 주는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교육·재난방지 등 공익 분야에 지능형 로봇 시범사업을 실시하는 등 성장동력산업을 빠른 시일 안에 사업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환경 분야에서는 하수처리수를 공업용수 등으로 다시 이용하는 산업을 중점 육성하기 위해 올해 안에 ‘물의 순환이용 촉진을 위한 법률안’을 마련키로 했다.장택동 구혜영기자 taeck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