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어디로] 민관합동위 민간위원 16명 면면 살펴보니
정부가 11일 고위당정회의를 거쳐 발표한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 명단에는 세종시 수정을 둘러싼 갖가지 논란들이 그대로 반영돼 있다.
●대학교수 9명으로 가장 많아
정부는 이날 민간위원 명단을 지역별로 분류해 발표했다. 세종시 대안 결정의 가장 큰 변수는 지역이라고 본 것이다. 위원 가운데는 충청권이 6명, 영남권이 3명, 호남권이 3명, 수도권 및 강원 출신이 4명이다.
일단 충청 출신 인사들이 가장 많지만 대다수는 나머지 지역이다. 따라서 충청 출신 위원들의 의견에 따라 대안 결정 과정이 좌우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문 분야별로 보면 지역개발이 3명, 행정 3명, 경제·경영 2명, 언론·문화 2명이다. 또 인문사회, 법률, 도시건축, 보건의료, 시민사회, 과학기술 분야가 각각 1명이다. 현직은 총장을 포함한 대학교수가 9명으로 가장 많다. 출신 대학은 별다른 의미가 없어보이지만, 고려대 출신이 없다는 것이 이채롭다.
총리실 관계자는 “충청권 분들, 지역 현지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실 수 있는 분들을 많이 포함시켰다.”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16명의 위원 가운데 공개적으로 세종시 원안 추진을 주장하는 인사는 강용식 전 행복도시자문위원장과 김광석 민주평통연기군회장 등 2명 정도다. 김광석 회장은 연기군 원주민으로서 소유 땅이 수용된 장본인이기도 하다.
총리실 관계자는 “누가 찬성론자인지 반대론자인지를 딱 잘라서 말하기는 어렵다.”면서 “내용을 아시는 분이 위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총리실 관계자는 이와 함께 “가능하면 정치권은 배제했다.”고 말했다. 정부 측은 당초 충남 출신의 정치인과 자치단체장들도 위원회에 포함시키려 했으나 정치적으로 워낙 민감한 사안이어서 현실화되기 어려웠다.
●이규성씨 민간위원장직 고사
이에 따라 정부는 명단 발표 직전까지도 위원 명단을 확정하지 못해 애를 먹었다. 정부는 당초 충남 논산 출신인 이규성 전 재정경제부 장관을 민간 측 위원장으로 영입하려 했다. 그러나 이 전 장관이 끝내 고사했다. 이 밖에 정부가 ‘명망가’로 참여시키고자 했던 인사들이 대거 위원회 참여를 거절했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또 총리실로부터 세종시 관련 용역을 맡은 국토연구원의 박양호 원장도 참여해 공정성 논란의 여지가 있다.
정부 측에서는 정운찬 국무총리가 공동위원장을 맡게 되고 기획재정부·교육과학기술부·행정안전부·지식경제부·국토해양부 장관과 국무총리실장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당초 8개 부처 장관이 포함될 예정이었으나 환경·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은 빠졌다.
이도운기자 daw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