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 내시·젤텐·하시니 업적
◎「게임이론」 경제학 전반에 발전적 접목/“과점시장내 균형점 도출” 기본틀 제공/내시/“경제주체 의사결정비교” 이론 체계화/젤텐/통계적상황 초점 정보경제학 조류개척/하사니
올해 노벨 경제학상 공동 수상자인 존 하사니(74),존 내시(66) 및 라인하르트 젤텐(64)은 게임이론을 발전시켜 경제학 분석에 적용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이들은 각자 개별적으로 체스나 포커와 같은 일상적인 게임에 참가한 사람들이 어떤 전략을 짜고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분석하고 이를 경제학에 응용했다.특히 이를 통해 「비협조적 게임이론의 균형분석」이라는 독자적인 학문 영역을 여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이 이론은 게임에 참가한 선수(또는 기업의 경영자)들이 상대방의 입장에 대해 한정된 정보만 주어진 상태에서 서로 어떤 전략을 취하는가에 연구의 초점을 맞췄다.부분적으로는 생물학의 자연도태 이론을 차용하기도 했다.
이들의 연구성과는 환경연구에서 대외교역·정보산업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 적용된다.또 균형이론은 거의 모든 경제이론 분야에서복합적이고 전략적인 상호작용을 밝혀내는 데 효과적인 분석 수단을 제공했다.
내시는 상호간 정보의 교류를 전제로 한 「협조적인 게임」(담합행위)과,서로 합의가 있을 수 없는 「비협조적인 게임」(경쟁)으로 구분,수학적인 분석을 통해 시장 내에서의 균형점을 찾아내는 데 기여했다.그의 이론은 기업들의 과점경쟁을 수학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쿠르노·내시 균형이론」으로도 불린다.
젤텐은 내시의 균형 개념에 다양한 경제 주체가 참여,비교 분석하는 역동적 이론으로 한 단계 높였다.하사니는 현실에 비슷한 상황을 가정,불완전한 정보에 바탕을 둔 기업이나 시장의 움직임을 게임 이론에 근거,구체적으로 밝혔다.
그는 상대방의 정보를 알 수 없는 통계적 상황에 초점을 맞춰 개인과 사회 전체의 복지를 연관시키는 방법으로 경제학의 새로운 조류인 「정보 경제학」의 이론적 토대를 세웠다.
결국 내시는 분석의 방법을 제공했으며,젤텐은 다이나믹한 경제 영역으로 이론을 이끌었고,최종적으로 하사니가 정보의 차이에 바탕을 둔 정보 경제학의한 분야로 발전시켰다.이들의 이론은 자연적 선택같은 생물학적 개념에서 시작된 것으로 기업간의 행태분석을 비롯해 환경분야,국제 무역,정보 등의 연구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내시는 1928년 미국 서부 버지니아의 블루필드에서 태어나 피츠버그의 카네기 기술연구소에서 공부했다.48년 명문 프린스턴대에 들어가 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그는 게임이론 이외에 순수 수학 분야에서도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MIT에서 교수를 지낸 뒤 현재는 모교인 프린스턴대에서 가르치고 있다.
젤텐은 1930년 독일 브레슬로 지방에서 태어나 61년 프랑크푸르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베를린대와 비엘레페드대에서 교수를 지낸 뒤 84년에 본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
하사니는 1920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태생으로 헝가리가 공산화되자 미국으로 건너가 스탠포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딴 뒤 64년부터 버클리대에서 교수를 지냈다.
◎게임이론이란/과점시장에서 기업 의사결정 산출도구
게임,사업,군사문제 등에 수학적인 방법을 준용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다는 경제학적인 원리로 발전된 이론이다.
1921년 프랑스의 수학자 에밀 보렐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된 이 이론은 2차 대전을 겪으면서 군사문제와 관련해 눈부신 발전을 이뤘다.폰 노이만과 모르겐슈타인이 기초를 다진 40년대 이후 과점시장에서의 각 기업의 의사결정을 설명하는 유용한 분석도구로 자리를 굳게 다졌다.
2∼3개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는 과점시장에서 기업 간의 의사결정을 설명할 때 이용되는 게임이론은 수학을 준용했음에도 불구,수식을 통해 일반화되지 않는 경영학 이론적인 성격을 띤다.게임이론은 게임에 참가하는 게임자들이 자신의 전략을 수립한 뒤 상대방이 선택할 수 있는 전략들을 가정,상대방이 선택할 수 있는 각각의 전략에 대한 효과를 산출해 낸 뒤 그에 따라서 자신의 효용을 최대화 하는 전략을 선택한다는 내용이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