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가청렴도 27위/독 「국제청렴기구」 보고서
◎뉴질랜드·성항 1.3위… 인니·중국 바닥권/홍콩·말련·대만 공무원 우리보다 “깨끗”
국가기관,공무원들의 부정부패 정도를 가늠하는 국가청렴도 조사에서 우리나라가 서구 각국은 물론 홍콩,말레이시아,대만 등에 훨씬 뒤지는 27위로 평가됐다.
독일의 디 벨트지는 11일 베를린의 부정부패추방운동기구인 국제청렴기구가 작성한 부패국 순위보고서를 인용,이같이 보도했다.
공무원,정치가,기업가들의 뇌물수수 행위,불법특혜 제공,가격담합 등 부정부패의 확산 정도를 기준으로 한 이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0점 만점중 4.29점을 기록,조사대상 41개국중 중하위권으로 평가됐다.
부패 정도는 특히 아시아권에서 심각해 인도네시아가 1.94점(41위)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중국이 2.16점(40위)으로 부패국 그룹의 선두에 섰다.다른 아시아권 국가들도 파키스탄(2.25점,39위),필리핀(2.77점,36위),태국(2.79점,34위) 등으로 하위그룹을 형성한 반면 싱가포르는 9.26점으로 3위를 차지,아시아권중 유일하게 10위권 청렴국 대열로 평가됐다.
홍콩은7.12점으로 17위,일본은 6.72점으로 20위,말레이시아 23위(5.28점),대만은 25위(5.08점)에 각각 올라 우리나라보다 공무원 청렴도가 우위로 평가됐다.
공직및 국가기능의 투명성을 가늠하는 이 조사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나라는 9.55점을 기록한 뉴질랜드였으며 덴마크(9.32점)가 2위를 차지했다.
또 핀랜드(4위),캐나다(5위),독일(13위),미국(15위) 등 북미와 유럽연합(EU)국들은 대체로 20위 이내의 상위권을 형성했다.
신문은 이와관련,최근 부정부패가 저개발국이나 개도국에서만 특유한 현상이 아니라 브뤼셀,독일 등지에서도 흔히 신문지상을 장식하는 사건으로 등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독일에서는 특히 공공건설 부문의 부패가 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공무원과 결탁한 기업인들의 부정행위로 연간 국민경제 손실규모가 1백억마르크를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신문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