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經硏 분야별 토론회,“규제개혁 체감지수 낮다”
정부가 추진 중인 규제개혁작업이 건수 채우기로 이뤄져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경제연구원 한광석(韓光奭) 연구위원은 22일 서울 명동 전국은행연합회에서 한경연 등의 주최로 열린 ‘규제개혁 어디까지 왔나’ 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수량적으로 많은 규제들이 폐지 또는 개선됐는데도 규제개혁의 체감지수가 여전히 낮은 것은 규제의 중요도나 규제수준이 높지 않은 것들을 건수 채우기식으로 실행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김덕봉(金德奉) 청와대 정책비서관은 이에 대해 “과다·저질·행정편의주의적인 우리의 규제 실정에 비춰 양적인 목표를 강조한 것은 정부부처의 이행을 독려하고 경쟁심을 제고하기 위한 불가피한 전략이었다”면서 “앞으론 양적 측면의 추진전략을 보완,규제품질 향상 등 규제개혁의 질적 개선으로 전환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이날 발표된 분야별 현황과 평가의 내용이다.
금융·재경(姜哲駿 한국금융연수원 교수) 금융감독위원회의 경우 정비대상 630건중 70%인 446건을 폐지 또는 개선했다.▲금융기관 지급보증한도 및 대손충당금 비율 설정 폐지 ▲유상증자 규제 정비 ▲보험계약 양도 금지 폐지등은 높이 평가할만 하다.그러나 증권거래소와 금융감독원에 이중으로 각종보고서를 제출하거나 신고해야 하는 문제 등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
재정경제부도 정비대상 509건 중 390건(77%)이 완료됐다.그러나 금융부문규제의 핵심인 금융업 인가규제는 한 건도 폐지되지 않았다.
산업(高東秀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산업자원부는 총 667건의 정비대상 중519건을 완료,77.8%의 정비율을 기록하고 있다.그러나 ‘원칙적 금지,예외적 허용’이라는 사전적 규제에서 ‘기준 설정후 사후 처벌’로 규제의 개념을 바꾸겠다는 규제개혁위원회의 개혁방향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건설·교통(裵舜錫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건설교통부 관련 규제는 917개의 정비대상 중 696건(76%)이 폐지 또는 개선됐다.
전체 규제의 74%(685개)를 차지하고 있는 경제관련 규제는 폐지율도 55%나돼 사회적 규제나 기타 규제보다월등히 높다.
노동·법무(司空永滸 평택대 교수) 국가기술자격 관리제,직업소개업,직업훈련분야,공인노무사업 등의 분야에서 획기적인 개혁이 이뤄졌다.특히 국가기술자격법상 국가기술자 보수교육 의무제를 폐지,자격증 소지자의 교육부담 해소와 연 340억원의 비용절감을 가져온 점이 돋보인다.그러나 최저임금제,퇴직금제,정리해고,대체근로자 채용금지 등 근로계약의 자유와 노동시장 유연성을 제한하는 규제들이 심사대상에서 빠진 것은 문제가 있다.
법무부 규제개혁 성과중 가장 높이 평가할만한 것은 사업자단체 규제개혁차원서 이뤄진 변호사단체 설립·가입강제 폐지다.그러나 법무사의 시장진입 규제에 대해 ‘법원이 행하는 사무’라는 이유로 규제개혁위원회가 손을 대지 않고 있는 것은 잘못된 처사다.변호사,변리사,세무사,관세사 등 다른 전문자격인 규제에는 칼을 대면서 유독 법무사만 무풍지대로 남겨두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시험선발 인원의 대폭 확대 등 경쟁촉진을 유도하는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김영삼정부의 규제개혁(李柱善 한경연연구위원) 김영삼 정부는 규제개혁추진회의 등 6개 추진기구를 설치,임기중 4,477건의 규제개혁 대상 중 3,891건을 완료했다.이는 현 정부가 설정한 개혁대상 1만1,125건의 35%에 육박하는 수치다.그러나 ▲외환위기의 한 원인이었던 금융부문 개혁이 전체의 4.2%에 불과했던 점 ▲개혁실적의 93% 이상이 사소한 절차변경이나 부분완화에그친 점 ▲정책적 규제의 개혁이 미흡했던 점 ▲담합적 경제구조 타파와 시장경쟁 활성화에 소홀했던 점 ▲지방정부 소관 규제개혁을 등한히 한 점 ▲공무원들의 인센티브 결여 및 규제개혁 사후관리 시스템이 없었던 점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