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철의 플레이볼] 신인드래프트 전략
매년 6월은 미래의 선수를 뽑는 드래프트의 달이다.메이저리그는 이미 지난 7일 뉴욕의 메디슨 스퀘어가든에서 드래프트를 실시했다.
한국도 1차 지명은 이미 끝났고,30일 2차 지명을 할 예정이다.한국과 미국의 신인 지명에 임하는 구단의 전략은 서로 같은 점도 있고 다른 점도 있다.
먼저 같은 점으로는 골치 아픈 선수는 피한다는 사실이다.올해 메이저리그 드래프트 최대어는 투수 제레드 웨버와 유격수 스테픈 드루.둘 다 형이 메이저리그 선수로 활약하고 있으며 구단에는 악명 높은 에이전트 스콧 보라스의 고객들이다.
첫 지명권을 행사한 샌디에이고부터 이들 둘을 외면했다.샌디에이고는 자기 지역 고교 출신인 176㎝의 유격수 매트 부시를 지명해 주위를 놀라게 했다.두번째 순번인 디트로이트,다음 차례인 뉴욕 메츠까지 외면하자 구단들이 보라스의 선수는 선발하지 않기로 담합했다는 루머까지 돌았다.
보라스의 고객들이 외면을 받는 이유는 이들이 상당히 까다로운 조건을 요구하기 때문이다.지난 1997년 드래프트에서 J D 드루는 필라델피아가 1순위로 지명했지만 엄청난 계약금을 요구하다가 타협에 실패하자 1년을 독립리그에 가서 뛰고 다음해 드래프트에 다시 나왔다.이번에 드래프트에 나온 스테픈이 바로 그의 동생이다.결국 웨버는 12번째로 애너하임,드루는 15번째로 애리조나가 뽑았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예상된다.메이저리그 트라이아웃으로 파문을 빚은 서동환 때문이다.대부분의 고졸 선수들이 프로에 바로 입단하는 것을 당연시하는 게 최근 경향이지만 그는 대학과 해외,그리고 국내 구단 등 세 다리를 걸치고 있다.1순위인 롯데는 1차 지명에서 그를 제외했고,2차에서도 외면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한다.
한국과 미국이 닮은 점 또 하나는 구단 사이의 드래프트 간격이 다른 스포츠에 견줘 엄청나게 짧다는 것이다.메이저리그의 경우 30초면 선수 지명을 끝낸다.
미프로농구(NBA)나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는 자기 팀 지명순서가 넘어 오면 수십 분을 끈다.한국도 첫 라운드 지명은 한 구단에 5분을 주지만 거의 30초 이내에 끝낸다.3라운드 정도나 가야 가끔 타임 요청을 할 정도다.
다른 점은 메이저리그가 대학 선수를 좋아하는 데 반해 국내 구단은 고교 선수를 좋아한다.이번 메이저리그의 1차 지명은 25개 팀이 대학 선수를 지명했고,고교 선수를 지명한 팀은 불과 5개 팀이다.대학 선수가 훨씬 성숙했다는 것이 이유다.반대로 한국은 7개 팀이 고교 선수를 1차 지명했고,대학 선수는 삼성이 유일하게 지명했다.선수 자원이 워낙 부족한 한국적 현상이어서 매우 안타깝다.
‘스포츠투아이’상무이사 tycobb@sports2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