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AI시대 한류 콘텐츠의 지속가능한 미래…고삼석 교수 ‘넥스트 한류’ 출간
‘엔터테인먼트와 테크놀로지의 결합이 한류의 미래다.’
콘텐츠·정보기술(IT) 정책 전문가 고삼석 동국대 AI융합대학 석좌교수(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가 인공지능(AI) 시대 한류의 지속가능성을 진단하는 신간 ‘넥스트 한류’(새빛)를 최근 출간했다.
저자는 지난 30년 동안 정부와 대학에서 콘텐츠(한류), 미디어와 IT 분야 정책과 행정, 연구와 강연을 통해 우리나라를 문화강국, IT강국으로 만드는데 크게 기여했다.
김대중 정부 당시 콘텐츠 산업 육상 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의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정 작업에 참여했으며,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대통령비서실에서 ‘방송과 통신의 융합’ 업무를 총괄했다. 이번 대선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직속 글로벌책임강국위원회 산하 K-컬처전략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이 책은 한류가 걸어온 30년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앞으로 한류가 가야 할 ‘새로운 길’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가 제시하는 ‘넥스트 한류’는 ‘엔터테인먼트와 테크놀로지가 결합한 한류’다. ‘엔터테크’(Entertainment+Technology) 기반의 K-콘텐츠 육성을 통해서 국내 콘텐츠 산업을 혁신하고, 한류를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한류 정책을 일방적인 ‘콘텐츠 수출’에서 한류 소비국 및 이용자들과 ‘함께 만들고 즐기는 한류’로 패러다임을 대전환하자고 주장한다. 이를 기반으로 대한민국을 ‘문화의 힘이 강한 나라, 품격있는 경제강국’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저자는 먼저 한류의 지난 30년을 돌아보며 주요 성과와 정책의 한계를 짚었다. 넷플릭스와 유튜브 같은 글로벌 플랫폼 의존이 초래한 국내 콘텐츠·미디어 생태계 왜곡과 콘텐츠 다양성 부족, 팬덤 피로도 등 한계점을 지적하며 새로운 구조적 성찰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엔터테크’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콘텐츠 산업의 미래를 제시한다. 저자는 ‘엔터테크’를 단순한 기술 트렌드가 아닌 콘텐츠 산업 패러다임의 전환점으로 인식한다. AI, 확장현실(XR),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이 콘텐츠의 창작·제작·소비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며 ‘기술이 곧 문화산업의 생존 전략’이란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촉구한다.
특히 저자는 콘텐츠·미디어 플랫폼 주도권 확보를 위해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육성 계획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단순히 콘텐츠 수출국으로서의 위상을 넘어 이용자와 함께 콘텐츠를 공동 창작하고 경험하는 ‘문화적 동반자’로 한류를 진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의 이 같은 구상은 ‘K-컬처 시장 300조원 시대’ 개막을 위해 K-컬처 플랫폼 육성에 집중하겠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실현 과정에서 구체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류의 중심지인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연대도 제안한다. 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등을 직접 방문해 현지 한류 팬들과 관계자들을 인터뷰 한 저자는 공동 제작, 인적 교류, 기술 협업을 통해 아시아 전체가 함께 성장하는 ‘공진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도서출판 새빛, 262쪽, 2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