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내한공연
    2025-08-10
    검색기록 지우기
  • 지드래곤
    2025-08-10
    검색기록 지우기
  • 형편
    2025-08-10
    검색기록 지우기
  • 건강
    2025-08-10
    검색기록 지우기
  • 연애
    2025-08-10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640
  • 문화소비 양극화 - 해법은

    문화소비 양극화 - 해법은

    ‘문화 양극화 해소의 가장 원초적인 방법은 문화예술 교육’ 문화 양극화가 사회 문제로 거론되면서 문화 나눔의 손길이 늘어가고 있다. 정부뿐 아니라 기업, 각종 사회단체들이 나서서 소외 계층에 공연 티켓을 전달하거나 직접 찾아가 공연을 여는 행사가 주류를 이룬다. 나눔을 받는 입장에서는 무척 반갑고 고마운 일이기도 하지만 일회적이고 이벤트성이라는 한계 때문에 양극화 해소의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미흡하다. 그래서 자주 거론되는 대안이 소외계층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이다. 아동복지시설 지온보육원의 김혜숙 팀장은 “소외 계층, 특히 상처받기 쉬운 어린이들에게는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면서 “티켓 나눔이나 찾아가는 예술 공연 등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좋지만 골고루 자주 혜택을 받을 수 없어 안타깝다.”고 말했다.“오히려 지속적으로 문화예술을 배우는 과정에서 닫혀 있던 마음을 열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한국메세나협의회는 문화관광부의 위탁을 받아 2004년부터 보건복지부에 등록된 아동복지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 국악 미술 연극 무용 영화 등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2004년 196개,2005년 201개 시설에서 올해 212개 시설 8300여명으로 그 대상을 점점 늘리고 있다. 복권기금과 30개 기업의 지원으로 그 규모는 50억원에 달한다. 메세나협의회는 경기지역 공부방 어린이를 대상으로 작은 크기의 문화예술교육도 꾸리고 있다. 유유미 한국메세나협의회 문화예술교육팀장은 “문화예술 교육을 통해 예술가를 만들려는 것은 아니다.”면서 “소외계층 아동들의 문화향유 능력을 기르면서 장기적으로는 밝고 건강하게 사회에 나갈 수 있는 마음을 갖추게 하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단순히 즐기는 차원보다는 직접 배우는 과정을 통해 자기를 표현하는 방법을 알게 되고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새로운 것을 할 수 있다는 자부심과 자신감을 준다는 것이다.“아이들이 미술을 배우며 처음에는 어두운 색을 쓰다가 점점 밝은 색을 사용해 그림을 그리는 걸 보게 된다.”는 문화예술교육 미술 강사의 말은 이러한 교육의 성과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유 팀장은 그러나 “장애인과 노인층까지 교육을 확대하려고 했으나 당장 효과가 드러나지 않을 뿐더러 그 효과를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도 없어 지원에 있어서 회의적인 반응도 있다.”고 전했다. 문화관광부는 창작자 지원 중심에서 향유층 육성 지원으로 정책 방향을 달리한 이후 소외계층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원 규모를 2004년 35억원, 지난해와 올해 약 100억원으로 늘려가고 있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 견줘 상대적으로 미약한 수준이다. 문화관광부 관계자는 “아직은 걸음마 단계로 적확한 수요를 찾아가는 중”이라면서 “저소득층 맞벌이 부부 자녀, 노인, 장애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 소년원, 교정시설 등으로 지원을 점차 확대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 사회단체 등에서 단기적으로 효과가 드러나지는 않더라도 장기적인 차원에서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첫걸음인 소외계층의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 문화생산도 부익부 빈익빈…창작·유통·공유시스템 구축해야 문화 양극화는 소비뿐 아니라 생산의 영역에서도 심각한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장르간 불균형과 장르 내부의 극심한 편차는 문화의 다양성을 위협하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당장 공연계만 해도 대형 해외뮤지컬과 대학로 연극의 제작, 유통 규모는 하늘과 땅 차이다. 2001년 ‘오페라의 유령’의 폭발적 흥행 이후 뮤지컬계에서 제작비 100억원은 그리 놀랄 만한 액수가 아니다. 반면 대학로에서는 제작비 5000만원을 구하지 못해 정부 지원금에 목을 매는 극단들이 많다. 클래식과 국악도 마찬가지. 세계적인 음악가들의 내한공연은 발 디딜 틈이 없지만 전통공연은 찬밥 신세다. 메타기획컨설팅 최도인 실장은 “정부가 기초예술부문에 대한 공공 재원을 늘렸지만 오히려 민간 단체의 자생력을 약화시키는 측면이 없지 않다.”고 지적했다. 장르 내 ‘부익부 빈익빈’현상은 자본의 논리가 가장 첨예하게 적용되는 영화계에서 도드라진다. 거액을 들인 블록버스터급 영화나 할리우드 영화는 언론의 요란한 조명을 받으며 수백개의 스크린을 독점하지만 독립 영화는 단관 개봉조차 감지덕지하는 실정이다. 출판 분야도 마찬가지다. 연매출이 수백억원대에 이르는 출판사가 있는가 하면 단 한권의 책도 내지 못하는 출판사가 있다. 미술계에서도 억대를 호가하는 미술품을 사고파는 경매시장은 활기를 띠는 반면 인사동 화랑가는 찬바람을 맞고 있다. 문화평론가 김헌식씨는 “문화 양극화는 지출비용 차이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돈이 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다양한 문화 콘텐츠들을 창작, 유통,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문화 양극화 해소 방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 [B사이드 스토리] 해외가수 내한 공연이 음반시장 파이 키운다

    [B사이드 스토리] 해외가수 내한 공연이 음반시장 파이 키운다

    국내에서 해외 유명 아티스트들의 공연을 보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이제는 팝 전문 방송 또한 쉽게 찾아 볼 수 없다. 사실 국내 음악 시장에서 팝이 차지하는 비중은 다른 나라와 비교가 힘들만큼 부진하다. 세계적인 가수를 부르기에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정상급 뮤지션을 위한 무대시설이나 관객 호응도를 비롯한 전반적인 요건 자체가 미비하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꼽히는 음반시장을 가진 일본은 음반 활성화 효과로 해외가수들을 불러 모은다. 중국은 한국 시장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거대한 시장 규모를 가졌기에 수많은 해외가수의 방문이 줄을 잇는다. 반면 한국은 해외가수의 세계 투어 일정에서 제외되는 일이 많다. 음반시장이 작고, 게다가 오랜 침체기에 빠져 있다. 그리고 문화적 차이로 인한 마찰로 한 번 다녀간 해외스타 대부분이 다시 방문하지 않으려 한다는 소문까지 돌기도 한다. 국내에서 팝을 듣는 인구도 현저하게 줄었고, 팝 전문 프로그램이 드물다보니 내한 공연을 홍보할 통로도 마땅치 않다. 오직 마니아층만 관심을 기울여 객석을 채우지 못하고 공연이 허다하다. 국내 가수 공연에 비해 비싼 입장료도 한 몫 거든다. 악순환의 고리가 끊임없이 이어진다. 마이클 잭슨 내한 공연을 추진하는 비용이면 국내 실력파 아티스트들의 공연을 수십 번 할 수 있다고 외치는 팝 칼럼니스트도 있다. 솔직히 부담스러운 고액 개런티에 낮은 수익률을 감수하고 내한 공연에 투자를 아끼지 않을 기획사가 얼마나 있을지 의구심도 든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해외 아티스트들의 방문이 오히려 음반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원동력이 된다고 한다. 침체된 국내 음반시장, 나아가 음악산업을 회복시키기 위해 장기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수많은 음악 팬들의 욕구와 성향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킬 기획이 선행돼야 한다. 내한가수도, 기획사들도, 팬들도 모두 윈-윈하는 방향으로 보다 많은 내한공연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say0290@cj.net
  • [우리구 최고야!] 중랑구 區심포니 오케스트라

    [우리구 최고야!] 중랑구 區심포니 오케스트라

    ‘연주회가 열리는 날 오후 오케스트라 단원들과 지휘자는 마무리 연습에 한창이다. 연주 시작시간이 가까워지면서 청중들은 도우미들의 안내로 자리에 앉아 연주회 프로그램을 읽으며 기대에 부푼 표정을 짓고 있다. 연주가 끝나자 청중들은 지휘자와 연주자의 사인을 받기 위해 길게 늘어선다.’ 다름 아닌 우리 중랑구에서 매월 벌어지는 중랑심포니 오케스트라 음악회의 풍경이다. 베를린 필하모닉, 비엔나 필하모닉, 뉴욕 필하모닉, 런던 심포니, 모스크바 필하모닉 등은 독일 오스트리아 미국 영국 러시아 등이 자국의 문화적 자존심으로 내세우고 자랑하는 오케스트라의 이름들입니다. 우리나라에도 KBS교향악단, 서울시립 교향악단, 부천 필하모닉, 대전 시립교향악단 등 뛰어난 오케스트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수도권과 지방의 시립교향악단들도 일급 오케스트라로 도약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무료 공연 런던 시민들은 롤스로이스보다 런던 심포니를 더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음악의 도시 비엔나 시민들은 시내 중심에 위치한 국립 오페라극장과 콘서트 하우스에서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듣는 것을 가장 행복한 일로 여긴답니다. 2000년대로 넘어올 즈음 미국의 권위 있는 한 일간지에서도 인류의 10대 발명품 중 하나로 오케스트라를 뽑은 적이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우리나라의 디자이너 한 분은 외국 유명 오케스트라의 내한공연 때 티켓을 수십장씩 구입해 재한 외교관들을 음악회에 초청, 문화외교를 하는 것은 이미 유명한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정말 오케스트라가 그렇게 대단한 것일까요? 저의 대답은 ‘그렇다.’입니다. 실제로 오케스트라 연주회가 열리는 클래식 공연장을 한번도 가보지 않은 사람이나 클래식 음악을 부담스러워하는 사람들도 매일 오케스트라 음악을 접하며 삽니다. 생각해 보십시오. 드라마나 영화의 감동적인 장면에서 오케스트라의 아름다운 사운드가 빠진다면 마치 수프를 치지 않은 라면을 먹는 것과 같지 않겠습니까? 현대인들에게 있어 클래식 음악은 우리 삶의 중심에 깊이 스며들어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누구나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듣는 꿈을 꾸지요. 그러나 만만치 않은 티켓 값과 불편한 이동 거리 등으로 생각만큼 쉬운 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 중랑구에서는 2001년 5월에 중랑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창단해 지금까지 6년 동안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에 중랑구청 대강당에서 ‘해설이 있는 금요 음악회’를 개최해 오고 있습니다. 멀리 예술의 전당에까지 가지 않아도 수준 높은 음악을 우리 구에서 들을 수 있다는 것이 구민들에겐 자긍심을 주고 있지요. ●해외 유학파등 단원 우수 티켓 값도 6년 동안 무료로 하여 구민들의 부담을 없앴습니다. 하지만 무료 티켓은 오케스트라와 청중 모두에게 좋지 않은 관습임을 공감해 유료화를 조심스럽게 검토하고 있답니다. 오케스트라 단원들도 여느 오케스트라처럼 해외 유학파들과 국내 음대졸업생들 중 우수한 자들로 선발해 뛰어난 앙상블을 자랑한답니다. 부족한 예산으로 인한 운영상의 어려움 가운데서도 구민들의 폭발적인 관심과 사랑에 힘입어 오늘까지 성장해온 중랑심포니 오케스트라의 뒤에는 구청 문화체육과 직원들의 헌신적인 도움과 지원이 있었습니다. 올해 신축되는 문화체육센터에 입주해 안정된 연습실을 확보하게 되면 보다 나은 앙상블을 기대할 수 있게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예산의 증액과 더불어 오케스트라를 구립화하는 문제는 구청과 문화체육과에서 가장 큰 관심을 갖고 심혈을 기울이는 숙원사업입니다. 중랑구는 중랑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문화를 선도하는 자치구로서 구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 [주말에 뭘 보러갈까]

    ●미술 ■ 대지의 노래 28일까지 서울 인사동 갤러리 아트사이드. 현대 분청도자 분야에서 두각을 보여온 작가 변승훈의 개인전. 사각형의 편편한 접시에 한지를 덧대어 구워낸 ‘만다라’연작과, 분청을 구워 거대한 나무형상으로 조립한 ‘나무’ 연작,10여년 작업여정을 보여주는 드로잉 작품 등을 선보인다.(02)725-1020. ■ 꿈꾸는 도시 우리들의 실낙원 4월17일까지 경기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 한길북하우스. 도시 속에 살아가는 소시민들의 불안정한 삶과 심리를 다양한 시점으로 포착해낸 이흥덕의 열세번째 개인전. 이번 전시에선 ‘도시’를 모티프로 한 전작 ‘서울 Cafe’,‘지하철 연작’을 비롯하여, 작가의 삶의 터전인 분당에서의 소소한 일상을 다룬 신작들도 여러점 소개된다.(031)949-9305. ■ 이진경 초대전 23일부터 4월1일까지 서울 청담동 박영덕화랑. 무의식에 담겨 있는 삶의 편린들을 달을 매개체로 하여 화면에 담아내온 재불 추상화가 이진경이 ‘영혼의 노래’ 시리즈 등 최근작 30여점을 선보인다.(02)544-8481. ●뮤지컬■ 지하철1호선 7월30일까지 학전그린소극장.12년 장기 운행해온 극단 학전의 대표작. 독일 그립스극단의 원작을 김민기 연출가가 1990년대 한국 사회현실에 맞게 번안했다.3000회를 맞아 28∼30일 3일간 역대배우들이 출연하는 특별공연이 열린다. 화∼금 7시30분, 토 4시·7시30분, 일 4시.1만 7000∼2만 8000원.(02)763-8233. ■ 벽을 뚫는 남자 4월2일까지 화∼금 8시, 토 4시·8시, 일 3시·7시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자유자재로 벽을 드나들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된 소심한 남자의 인생 역전기. 임도완 연출, 박상원 엄기준 등 출연.4만∼7만원.1588-7890. ■ 미스터 마우스 4월2일까지 화∼금 8시, 토 4시·7시, 일 3시·6시 사다리아트센터 네모극장. 뇌수술로 천재가 된 바보 인후의 삶을 통해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묻는다. 이현규 연출, 서범석 김태한 출연.3만원.(02)747-2070. ●어린이■ 하마가 난다 23일∼4월26일 화목금 2시·4시30분, 수 11시·3시, 토일 1시·3시30분 사다리아트센터 동그라미극장. 하늘을 나는 꿈을 이룬 라이트형제와 조선시대 정평구의 이야기.2만원.(02)382-5477. ■ 꾸러기 제동이와 엔젤머신 24일∼5월14일 화∼금 3시, 토 12시·2시, 일 1시. 심술궂은 제동이의 착한어린이 변신기. 청담동 시어터드림.2만∼2만 5000원.(02)3443-3073. ●클래식■ 체칠리아 바르톨리 독창회 30일 오후 8시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이탈리아 출신 세계적인 메조 소프라노의 첫 내한 무대. 지휘자 정명훈 피아노 반주. ■ 캐나디언 브라스 내한공연 28일 오후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금속이라는 차가운 이미지를 넘어 따스함과 유머를 전해주는 금관주자 5명의 환상적인 연주. ■ 오혜숙 첼로 독주회 23일 오후 8시 금호아트홀. 쇼스타코비치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등 연주. ●연극■ 주공행장 26일까지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조선시대 금주령을 내린 왕에게 한잔 술을 권하는 소년 주공의 이야기. 극단 미추 20주년 기념작이다. 배삼식 작·손진책 연출, 윤문식 김종엽 출연. 화∼금 7시30분, 토 4시·7시30분, 일 3시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1만 5000∼3만원.(02)747-5161. ■ 상당한 가족 4월16일까지 화∼목 7시30분, 금·토 4시30분·7시30분, 일 3시 사다리아트센터 세모극장. 배우 인생 45주년을 맞은 전무송이 딸(현아), 아들(진우)과 함께 서는 무대. 사위 김진만이 연출을 맡았다.1만 5000∼3만원.(02)741-6779. ■ 선착장에서 4월2일까지 화∼금 7시30분, 토 4시30분·7시30분, 일 3시·6시 소극장 축제. 섬이라는 단절된 공간에서 벌어지는 욕망과 광기를 그린 작품으로 문화예술위원회 ‘올해의 예술상’을 수상했다. 박근형 작·연출, 엄효섭 이규회 등 출연.1만 2000∼2만원.(02)741-3934.
  • 극동방송, 50주년 런던심포니 공연

    극동방송(사장 김장환 목사)은 창사 50주년 기념으로 18일 오후 7시30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내한공연을 갖는다.100년 전통의 런던 심포니가 한국을 찾는 것은 1996년 이후 10년만이다. 서울시향 상임지휘자 정명훈이 지휘하고 중국 신예 피아니스트 윤디 리가 협연한다.또 영락교회 성가대 200여명이 특별출연, 헨델의 메시아 중 ‘할렐루야’를 들려줄 예정이다. 극동방송은 “수준높은 클래식 공연을 통해 지난 50여년간의 방송선교에 감사하고, 새로운 50년을 향해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02)3200-114.
  • Hi-Seoul 잉글리시 (29)

    #1. 마이클 볼튼 내한공연 Popular US pop singer Michael Bolton performs in Seoul at Sejong Center on March 31st and April 1st,and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Daegu on April 4th. 미국의 인기가수 마이클 볼튼이 3월 31일·4월 1일에 세종문화회관과 4월 4일 대구 경북대학교에서 내한공연을 갖습니다. His repertoire will include a number of his classic songs,including the Grammy-winning ‘When a Man Loves a Woman’ and “How Am I Supposed to Live without You.” 공연 레파토리에는 그의 명곡인 ‘남자가 여자를 사랑할 때’‘어떻게 내가 당신 없이 살 수 있나요.’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국립국악원에서 전통공연 For traditional Korean performances,go to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한국 전통공연을 감상하려면 국립국악원에 가세요. In warmer months,they hold concerts on a big outdoor stage,usually on Sunday afternoons. 날씨가 따뜻해지면 국립국악원은 일요일 오후에 야외공연을 엽니다. And performances are held on Tuesdays,Thursdays and Saturdays. 공연은 화요일, 목요일, 토요일에도 열립니다. Tuesday’s mostly concerts,Thursday’s various performances and Saturday introduces many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화요일에는 음악회를, 목요일에는 다양한 공연을, 토요일에는 한국 전통문화의 다양한 면모를 선보입니다. ●어휘풀이 *a number of 많은 *performance 공연 *outdoor 야외의 ■ 제공 tbs 교통방송, FM 95.1 MHz, ‘Hi Seoul’(9:06∼9:09), ‘I Love Seoul’(21:06∼21:09)
  • [주말에 뭘 보러갈까]

    연극 ■ 사랑은 흘러간다 열정적 사랑, 용기 없는 사랑, 파괴적 사랑 등 세 남녀가 들려주는 세 가지 빛깔의 사랑이야기. 원작은 헝가리 작가 산도르 마라이의 소설 ‘결혼의 변화’. 채승훈 연출, 남명렬 이항나 박인서 출연.334-5915. ■ 타이피스트 3∼4월30일 인켈아트홀2관. 하루의 일상에 40년의 인생을 담아내는 기발한 2인극.‘휴먼코메디’의 사다리움직연구소가 만든 신작이다. 임도완 연출, 정은영 김재구 등 출연.(02)744-0300. ■ 3월의 아트 4월30일까지 학전블루 소극장. 그림 한 점 때문에 생긴 오해를 풀어가는 세 남자들의 이야기. 야스미나 레자 작, 황재헌 연출, 송승환 정원중 김일우(화목토)김석훈 오용 이성민(수금일) 출연.(02)764-8760. ■ 그린 벤치 12일까지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자폐적인 가족의 일상을 섬세하게 그린 수작. 재일교포 작가 유미리의 소설을 각색했다. 이성열 연출, 예수정 이지하 등 출연.(02)745-0308. ■ 복어 6월11일까지 아리랑소극장. 세금도, 병역의 의무도 없는 새로운 세상 ‘신천지공화국’에서 생긴 일. 김태수 작·차태호 연출, 김태훈 함건수 등 출연.(02)747-5016. 미술 ■ 천경자 작품전 8일∼4월2일 사간동 갤러리 현대·두가헌 갤러리. 천 화백이 1950∼1960년대에 그린 미공개 작품 6점과 1970∼1990년대 대표작 30여점 공개. ■ 백남준에게 헌정하는 요제프 보이스 전 10일∼4월 20일 갤러리 더 컬럼스. 보이스의 인물 사진이 담긴 오리지널 및 에디션 사진 70여점과 백남준의 TV 설치작품 모차르트, 첼로 등 2점. 뮤지컬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셰익스피어의 비극 ‘로미오와 줄리엣’을 현대적으로 각색한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고전. 초연 50주년을 앞두고 36명의 배우와 26명의 오케스트라 단원이 국내 첫 내한공연을 갖는다.1544-1599. ■ 행진!와이키키 브라더스 3∼4월2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영화 ‘와이키키브라더스’의 줄거리에 대중가요, 팝을 입힌 편집뮤지컬. 이원종 연출, 이휘재 춘자 안정훈 등 출연.1588-7890. ■ 벽을 뚫는 남자 4월2일까지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자유자재로 벽을 드나들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된 소심한 남자의 인생 역전기. 임도완 연출, 박상원 엄기준 등 출연.1588-7890. ■ 빨래 4월23일까지 상명아트홀1관. 좁은 달동네 골목길, 그 안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들의 가슴 따뜻한 이야기. 추민주 작·연출, 한정림 음악, 김영옥 박은영 출연.(02)762-9190. ■ 미스터 마우스 4월2일까지 사다리아트센터 네모극장. 뇌수술로 천재가 된 청년의 고통과 좌절. 대니얼 키스 작·이현규 연출, 서범석 김태한 임강희 출연.(02)747-2050. 어린이 ■ 큐빅스 대모험 5일까지 대학로 컬투홀. 아름다운 미래도시 버블타운에서 벌어지는 로봇 큐빅스와 아이들의 신나는 모험담.1544-1555. ■ 재크와 요술저금통 5월28일까지 명동 펑키하우스. 꿈나무가 자라는 요술 저금통을 보며 저축의 소중함을 깨닫는 재크의 이야기.1588-1089. 클래식 ■ 토스카 2∼5일 오후 7시30분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한국오페라단의 올 시즌 개막작.‘토스카’는 ‘라보엠’‘나비부인’과 함께 푸치니의 3대 걸작으로 꼽히는 오페라. ■ 중국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 연주회 4일(오후 3시),5일(오후 4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중국의 촉망받는 지휘자 리 신차오 지휘. 피아니스트 김대진(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바이올리니스트 백주영(서울대 교수) 등 협연. ■ 옌스 페터 마인츠 첼로 독주회 2일 오후 8시 호암아트홀. 독일 함브르크 출신인 마인츠의 첫 한국 독주회.‘첼로의 구약성서’로 불리는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중 3번과 6번 등 연주.
  • [문화 캘린더]

    ●관악구평생학습센터 3∼5월 3개월 동안 강좌를 들을 수강생을 모집한다. 모집인원은 56개 과목 1055명이다.14일(화)∼23일(수) 오전 9시∼오후 6시까지 신청할 수 있다. 참가 희망자는 관악구평생학습센터에 직접 방문해 등록해야 한다.(02)880-3426.●서대문자연사박물관 동물, 식물, 곤충, 광물, 암석 및 화석 등 자연사 관련 표본을 기증받는다. 표본 기증자에게는 기증 증서와 감사패를 수여한다. 기증표본 특별전도 개최하며, 기증자는 박물관 주요 행사에 내빈으로 초청 받는다. 연중 수시로 접수한다. 문의 서대문자연사박물관 학예연구팀 (02)330-1733.●인천시 유럽과 아시아를 넘나들며 명성을 떨치고 있는 ‘요코 고마쓰바라 무용단’ 내한 공연을 시작으로 ‘2006 인천&아츠’ 상반기 일정이 시작된다. 지난해 도쿄 필하모닉 내한공연과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초청 연주회 등을 열어 큰 호응을 얻은 ‘인천&아츠’는 올해 시민 문화프로그램을 10회로 늘리고 공연 장르를 다양화했다.▲19일 요코 고마쓰바라 무용단 내한공연 ▲4월15·16일 유니버설 발레단 ‘잠자는 숲속의 미녀’ ▲5월13일 백혜선의 ‘엄마하고 나하고’ ▲6월21일 베이스 4중주단 연주회 ▲8월4일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연주회 ▲8월14일 마에스트로&프렌즈 트리오 ▲8월19·20일(일) 재즈와 보사노바의 만남 ‘정선과 그 친구들’이 마련된다.
  • [B사이드 스토리] 음악으로 승부하라

    [B사이드 스토리] 음악으로 승부하라

    대중음악 세계의 감춰진 이야기를 들려주는 ‘B-사이드 스토리’ 연재를 시작합니다. 화려한 스타들이 무대 뒤에서 어떤 모습인지, 또 음악 방송 현장을 뛰고 있는 PD는 어떤 애환을 갖고 있는지 생생하게 전하게 됩니다.‘B-사이드 스토리’ 연재는 음악전문채널 KM에서 연출을 담당하고 있는 홍수현, 조윤호, 안소현, 조은석 PD 등이 맡습니다. 지난해 여름 어느 토요일 오후였다. 핸드폰이 울렸다. 노브레인의 보컬 성우였다.“형 큰일 났어요!”라며 약간은 장난기가 섞인 목소리로 지상파 쇼프로그램 알몸 노출 사건을 전했다. 필자는 바로 럭스의 원종희에게 문자를 날렸다. 파문이 번질 것이라고 예상을 못한 채 철모르게 ‘축하’를 담았다. 이후 뉴스를 보며 후회했지만. 개인적으로 이미 외국이나 국내 밴드 공연에서 노출을 경험한 탓인지 당황하지는 않았다. 물론 생방송에 일어났던 사건과는 비교할 수 없는 문제이다. m.net에서 레드핫칠리페퍼스 내한공연 중계 연출을 맡았던 때가 떠오른다. 이 밴드는 노출 퍼포먼스로 유명했고, 당시 공연에서도 서포트 밴드가 국내 최초로 노출을 감행했다. 그러나 그 퍼포먼스로 공연 수준이 떨어졌거나 난잡해진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방송에 앞서 외국 스태프에게 급한 연락이 왔다. 당시 공연 사운드에 만족할 수 없어서 귀국한 뒤 베이스를 다시 연주하고, 드럼 부분을 조금 고쳤다고 했다. 그걸로 방송해 달라는 부탁이었다. 그들이 그렇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될 케이블 방송이었기에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그만큼 그들은 음악에 대해서 프로였던 것이다. 그때 음향감독이었던 선배의 말이 기억난다.“홍 피디, 농담하지마. 뭐하러 그걸 다시 해서 주겠어?” 얼마 전 노출 사고의 주역(?)이었던 원종희를 만났다. 늘 자신감에 차있고 남자다운 모습은 달라지지 않았다. 한편으로는 어느 정도 세상과 타협하는 방법을 배운 듯했다. 자신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겼을 때 주변으로부터 매우 냉정하게 재단되는 뼈아픈 현실을 느낀 것 같았다. 솔직히 필자도 개인적으로 친하다는 이유로 ‘단독 인터뷰나 해볼까?’하는 마음을 먹었다. 이 자리를 빌려 용서를 구하고 싶다. 또 펑크가 순식간에 매도되기도 했으나 해프닝으로 무너져서는 안 된다는 말을 해주고 싶다. 팬들이 무엇보다 원하는 것은 음악으로 승부를 거는 프로의 모습일 것이다. 럭스도 펑크 정신을 살려갈 수 있는 훌륭한 밴드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홍수현 음악전문채널 KM 제작팀장 korn@cj.net
  • 라르크 앙 시엘·god 공연실황 즐기기

    물론 현장만큼 생동감은 없을게다. 아까운 기회를 놓쳤다면 늦은 감이 있어도 안방에서 편안하게 공연을 즐기는 것은 어떨까. 설 연휴 다양한 콘서트와 공연이 시청자들을 유혹한다. 음악채널 MTV 코리아는 28일 오후 7시30분 MTV스페셜을 통해 일본 록 밴드 ‘라르크 앙 시엘’의 공연을 준비했다. 지난해 가을 첫 내한공연을 갖기도 했던 ‘라르크 앙 시엘’은 현재 일본을 대표하는 최고의 비주얼 록 밴드이다. 91년 데뷔 이후 통산 2500만장의 앨범 판매고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일본에서 열렸던 ‘어웨이크 투어 2005’의 실황이 안방을 찾는다. 나고야 레인보우홀, 오사카성홀, 국립요요기경기장 등에서 무려 13만 관객을 동원했던 무대가 90분 동안 시청자들을 즐겁게 한다. KM도 30일 오후 1시 일본의 또 다른 비주얼 록 아티스트 각트의 내한 공연을 내보낸다. 지난 14일 올림픽공원 펜싱경기장에서 열렸던 ‘라이브 투어 2006 디아블로스 인 아시아’ 콘서트 실황이다. 일본인 가수로서는 처음으로 한국어 앨범을 내기도 한 각트는 공연 마다 열정적이고 강렬한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번 공연에서도 노래를 부르다가 실신까지 하는 소동이 빚어지기도 했다. YTN스타는 30일 낮 12시 국민그룹 god의 마지막 공연을 설 선물로 마련했다. 이제는 서로 각자의 길을 가게 될 god가 지난해 11월부터 20차례 꾸렸던 ‘god 더 라스트 콘서트’이다. 그룹 결성에서부터 해체에 이르는 과정을 뮤지컬 형식을 도입해 3막으로 꾸몄다.10여 회 이상 무대가 전환되고, 회전 세트를 포함한 초대형 무대와 뮤지컬 전문 배우가 20명 이상 동원된 god 최고의 공연이다. Mnet은 30일 오후 9시 올해 군 입대를 앞두고 있는 조성모의 여름 콘서트를 방송한다. 지난해 8월에 열렸던 것으로, 겨울에 여름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색다른 맛이 있다. 조성모가 올림픽공원 내 올림픽홀을 꽉 채운 7000여 관객 앞에서 ‘아시나요’,‘가시나무’,‘피아노’등 히트곡들을 열창한다. 지상파 가운데에서는 SBS가 3일 연속 다채로운 음악 티켓을 풀어놨다.28일 밤 2시5분 보니 엠 콘서트를 내보내는데 이어,29일 밤 1시40분 뮤지컬 ‘와이키키 브라더스’를 방영한다.또 30일 밤 12시55분 지난 10여 동안 세계 오페라계를 평정해온 루마니아 출신 소프라노 안젤라 게오르규 공연을 선사한다. 지난해 11월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렸던 내한공연이다.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 70년대 ‘팝 우상’ 레이프 가렛 무임승차·마약소지 혐의 기소

    아역 배우에서 가수로 전업,1970~80년대 큰 인기를 누린 레이프 가렛(44)이 지하철 무임 승차 및 마약 소지 혐의로 17일(현지시간) 기소됐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인터넷판에 따르면 가렛은 지난 14일 로스앤젤레스의 퍼싱 광장 지하철 역에서 불심검문을 받았는데 승차권을 갖지 않고 탑승한 데다 헤로인을 소지한 사실까지 드러나 법원에 정식 기소됐다. 첫 재판은 이번주에 열릴 예정이다. 특히 가렛은 지난해 3월 코카인류 마약을 구입하려다 적발됐다. 집행유예 처분 기간이어서 이번에 보석이 허가되지 않고 구치소에 수감됐다. 팝 아이들(우상)의 원조 격인 가렛은 ‘아이 워즈 메이드 포 댄싱’이란 곡으로 국내에서도 큰 인기를 끌어 내한공연을 갖는 등 10대들의 우상으로 자리잡았지만 마약 문제로 잦은 말썽을 일으켜 왔다. 임병선기자 bsnim@seoul.co.kr
  • 다시 佛어오는 노트르담 물결

    프랑스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가 1년 만에 다시 서울을 찾았다. 빅토르 위고의 원작 ‘노틀담의 꼽추’를 각색한 ‘노트르담 드 파리’는 아름답고 서정적인 노래, 열정적인 춤, 현대적인 무대, 비극적 러브스토리의 탄탄한 결합으로 지난해 첫 내한공연에서 예상 밖의 성공을 거둔 작품.30회 공연에 7만 1000여명의 관객이 관람했고, 평균 좌석점유율 81%를 기록했다.‘노트르담 드 파리’의 흥행은 올해 줄줄이 무대에 오를 ‘십계’‘챈스’‘벽을 뚫는 남자’등 때아닌 프랑스 뮤지컬붐을 일으키기도 했다. 콰지모도역의 매트 로랑, 에스메랄다역의 나디아 벨, 그랭구아르역의 리샤르 샤레스트 등 지난해 내한했던 배우들이 대부분 그대로 출연한다. 팬 카페를 만들어 이들을 응원했던 마니아 관객들로서는 반가운 일이다. 주최사인 인투스테크놀로지는 지난 16일 열성 팬과 배우들의 만남을 주선하기도 했다. 공연은 2월26일까지.5만∼20만원.1544-1555.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 [새 음반]

    ●이타마라 쿠락스 앨범 17일 발매 브라질 출신 여성 재즈 보컬리스트 이타마라 쿠락스의 베스트 앨범 ‘The best of Ithamara Koorax’가 17일 발매된다. 쿠락스는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지난 2001년 미국 그래미상 3개 부문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안토니오 카를로스 조빔과의 작업으로 유명해졌다. 이번 앨범에서는 영화 ‘남과 여’ ‘카사블랑카’,‘문리버’ 등의 주제곡과 보사노바의 거장 안토니오 카를로스 조빔이 작곡한 ‘Amor Sem Adeus’,‘How Insensitive’ 등 쿠락스가 발표했던 5장 앨범의 노래 가운데 폭넓은 사랑을 받았던 15곡이 담겨있다.2번 트랙 ‘Moon River’의 달콤하고 부드러운 보컬에서부터 4번 트랙 ‘Mas Que Nada’의 폭발적인 가창력까지 쿠락스의 다양한 목소리를 즐길 수 있다.●케니 지가 직접 고른 히트곡 모음내한 공연을 앞두고 있는 세계적인 색소폰 연주자 케니 지의 베스트 음반 ‘디 에센셜 케니 지(The Essential Kenny G)’가 최근 발매됐다.‘Songbird’‘Going Home’‘Silhouette’‘Forever in Love’ 등 케니 지가 직접 고른 히트곡 31개가 2장의 CD에 실렸다. 아론 네빌, 마이클 볼튼 등 유명 가수와 듀엣으로 녹음한 곡이나, 루이 암스트롱의 생전 음성에 색소폰 연주를 입힌 곡, 라이브 공연 실황 등 다양한 레퍼토리를 감상할 수 있다. 케니 지는 CD 속지에 수록곡에 얽힌 사연이나 곡을 만든 배경 등을 직접 소개하며 또 다른 감상포인트를 제공한다. 데뷔 30주년을 맞아 발간한 이번 앨범은 그의 자서전적인 음반이라고 할 수 있다. 케니 지는 오는 24일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데뷔 30주년 기념 내한공연을 펼친다.
  • [주말에 뭘 보러갈까]

    ●무용 ■ 바보온달과 평강공주의 시소게임 12일 오후 7시30분 아르코예술극장(옛 문예진흥원 예술극장). 우리 고전 ‘바보온달과 평강공주’를 패러디한 어른들을 위한 ‘춤동화’.(02)2263-4680. ■ 김윤정의 춤 2006 서울 14,15일 오후 6시 아르코예술극장. 한국과 독일의 드라마가 있는 공동 춤 프로젝트. ●미술 김상윤 개인전/17일까지 서울 관훈동 도스갤러리 갖가지 색깔의 빗금을 칠하는 다양한 회화와 부조작품을 ‘낯설면서도 익숙한 옵틱(Optic Stereo)전’이란 타이틀로 선보인다.2차원의 평면 속에서 다양한 선들의 반복을 통해 일상의 단면들을 표현하고자 했다.(02)735-4678. ■ 전경애 개인 사진전 15일까지 서울 소격동 갤러리 선. 도회지를 벗어나 대지와 하늘을 호흡하고 싶은 인간 심리를 표현.(02)720-5789. ■ 김희정 개인전 26일까지 서울 대치동 송은갤러리.‘김희정의 아름다운 오아시스’란 주제로 미술 밖의 자연 공간으로 작품세계를 확장한 작품들을 선보인다.(02)527-6282. ■ 이종근 개인전 22일까지 서울 소격동 빛갤러리. 새해를 맞아 복(福)을 테마로 한 다양한 작품들을 ‘복적복적’(福積福積)이란 타이틀로 선보인다.(02)720-2250. ●뮤지컬 프로듀서스/13~24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일부러 망하는 공연을 만들어 한몫 챙기려는 사기꾼 뮤지컬 제작자의 계획은 성공할까. 토니상 12개 부문을 수상한 브로드웨이 최신 흥행작을 라이선스 뮤지컬로 만난다. 빌 번즈 연출, 송용태 김다현 최정원 출연.(02)501-7888. ■ 사운드 오브 뮤직 13일∼2월5일 성남아트센터. 오스트리아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따뜻한 가족애. 김재서 연출, 김아선 류창우 출연.1588-7890. ■ 스텀프 2월5일까지 한전아트센터. 온갖 잡동사니들로 폭발적인 리듬을 만들어내는 영국 오리지널팀의 내한공연.(02)568-4205. ■ 록키 호러 쇼 15일까지 코엑스 컨퍼런스룸 기성문화와 가치, 위선에 정면도전하는 파격적이고 유쾌한 컬트 록 뮤지컬. 홍록기 연출, 김태한 조서연 출연.(02)516-1501. ●어린이 ■ 백설공주와 마법에 걸린 일곱난쟁이 14일∼2월4일 호암아트홀. 위기에 처한 백설공주를 구하려다 마법에 걸린 일곱 기사의 이야기.(02)368-1515. ■ 할아버지 보물창고 22일까지 세종문화회관 소극장. 삭막한 도심속 보물창고에서 벌어지는 할아버지와 어린 남매의 한바탕 대소동.(02)396-5005. ●클래식 ■ 2006 스쿨 클래식 미뉴엣과 왈츠 15일 오후 4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서울 클래시컬 플레이어즈(지휘 박영민)가 연주하는 방학을 맞은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음악회. 음악평론가 장일범씨의 친절한 해설이 곁들여져 이해를 돕는다.(02)780-5054. ■ 존 오코너 피아노 독주회 18일 오후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피아노의 시인’으로 불리는 오코너가 연주하는 베토벤 소나타.(02)3436-5222. ■ 임동혁 피아노 리사이틀 15일 오후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1996년 국제 청소년 쇼팽 콩쿠르에서 2위 입상하면서 이름을 알린 젊은 거장 임동혁 연주회. 쇼팽 발라드 1∼4번, 슈베르트 즉흥곡 작품번호 142 No.1∼3번 등을 들려준다.(02)598-8277. ●연극 소풍/18~22일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천상병 시인의 일대기를 다룬 연극으로 지난해 서울연극제에서 우수상과 희곡상, 남우주연상을 받은 작품. 연출가 양정웅의 어머니인 김청조씨가 극본을 썼다. 중견 배우 정규수가 초연에 이어 천 시인으로 분한다.(02)3673-1390. ■ 해일 27일까지 행복한극장. 전쟁터에서 낙오된 두 군인의 혼란을 통해 인간 본성의 나약함을 되돌아본다. 이해제 작·연출, 권오진 이천희 출연.(02)747-2070. ■ 이 22일까지 극장 용. 연산군이 사랑한 남자 광대 공길의 이야기. 영화 ‘왕의 남자’의 원작이다. 김태웅 작·연출, 이남희 박정환 출연.1544-5955. ■ 영영 이별 영 이별 2월19일까지 산울림소극장. 단종과 이별하고 한많은 인생을 살아온 정순왕후의 일대기를 그린 윤석화의 1인극. 김별아 작·임영웅 연출.(02)334-5915.
  • 아찔한 불꽃같은 뉴욕, 流慾!

    아찔한 불꽃같은 뉴욕, 流慾!

    1990년대 중반, 미국 젊은이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얻은 뮤지컬 ‘렌트’의 월드 투어팀이 13∼26일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내한공연을 갖는다. 요절한 천재 아티스트 조너선 라슨이 극본과 작사, 작곡을 맡은 ‘렌트’는 푸치니의 오페라 ‘라보엠’을 현대적으로 각색한 작품. 가난한 예술가들이 모여 사는 뉴욕 이스트 빌리지를 배경으로 청춘남녀의 꿈과 열정, 사랑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렌트’의 매력은 에이즈 환자, 알코올중독자, 동성애자 등 파격적인 소재뿐 아니라 록, 탱고, 발라드, 가스펠을 아우르는 폭넓은 음악의 향연.1996년 초연 당시 작품상, 음악상, 각본상, 남우조연상 등 토니상 4개 부문을 수상했다.10주년을 맞아 열리는 이번 월드투어 공연에서는 홍콩 스타 막문위가 에이즈 환자이자 약물중독 댄서인 여주인공 미미로 출연한다.4만 4000∼9만 9000원.1588-7890.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 케니지, 이달24일 성시경과 내한공연

    연말연시 떠들썩한 공연장에서 스트레스를 확 풀었는가? 그렇다면 이제는 감미로운 음악을 즐기며 차분하게 새해를 구상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세계적인 재즈뮤지션 케니 지가 때맞춰 한국에 온다. 오는 24일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데뷔 30년 기념 콘서트 ‘I wish 4 your DREAMS’를 연다. 그의 내한 공연은 6년 만이다. 이번 공연에서 케니 지는 더욱 화려해진 멜로디와 현대적인 연주기법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케니 지가 직접 연출에 참여,400만 한국 팬들과 새해를 함께 맞이하는 무대를 꾸민다. 관객 2600명의 소망이 담긴 종이가 무대를 장식하는 것도 볼거리. 이를 위해 스태프 70명이 ‘케니 지 블로그’(blog.naver.com/kennyg2006) 게시판에서 팬들의 소망을 받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발라드의 ‘귀공자’ 성시경이 게스트로 나오는 것도 희소식. 지난해 수요예술무대에서 함께 연주했던 두 사람이 다시 만나 멋진 듀엣 연주를 펼친다.5만∼20만원. 서울예술기획 (02)548-4480.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 백화점들 연초부터 기선잡기 세일

    백화점들 연초부터 기선잡기 세일

    ‘새해에도 신장세가 이어질까?’ 새해벽두부터 대형 백화점들의 판촉전이 치열하게 진행된다. 올해 평균 20∼30%의 매출 신장에 고무된 유명 백화점들은 소비심리가 새해에도 계속 이어지길 바라며 공격적인 판매전략들을 쏟아내고 있다. 특히 2일부터 일제히 새해 첫 정기바겐세일에 들어가는 등 그 어느때보다 화끈한 판촉전을 펼친다. 롯데백화점 상품총괄팀 황범석 팀장은 “겨울 외투류의 매출 신장이 높게 나타나는 등 판매신장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새해는 초반부터 소비자들의 눈길을 끄는 특집행사들이 집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백화점 본점을 포함해 수도권 전점에서 새해 1월 5일까지 ‘연말 방한용품 패션소품 마감전’이 진행된다. 니나리찌, 닥스, 메트로시티, 아쿠아스큐텀의 겨울 패션 장갑을 정상가 대비 50∼60% 저렴한 가격인 4만원에 판매한다. 스카프·머플러의 경우 메트로시티, 발만, 레노마, 파코라반 스카프 및 머플러를 정상가 대비 50∼70% 저렴한 3만 5000원에 판매한다. 또 6일부터 22일까지는 새해 첫 정기바겐세일을 펼친다. 벌써부터 매장에는 간절기 상품류를 20% 이상 진열해 구매 유도 및 높은 매출 신장을 기대하고 있다. 이번 신년세일의 브랜드 참여율은 작년(86%의 참여율)보다 다소 높아진 88%대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간동안 유명 브랜드 인기 아이템에 대해 가격을 정상가 대비 60% 수준으로 대폭 낮춰 선보이는 ‘골든벨 상품전’, 직수입 한정생산, 수입소재 한정 기획전 등의 고가 프리미엄급 상품 가격 한정기획 행사인 ‘프리미엄 상품전’, 바겐세일 첫 5일 집중적으로 시즌 인기상품을 균일가에 선보이는‘균일가 상품전’ 등을 진행한다. 또 겨울시즌을 맞아 ‘스키·스노보드 신년 축하 페스티벌’,‘겨울방학 YOUNG 페스티벌’,‘겨울 등산 아웃도어 특집전’ 등 시즌 인기상품의 대량기획전을 진행한다. 특히 빈폴, 폴로, 블루독 등 대형 브랜드들의 ‘시즌 OFF행사’, 노세일 브랜드에 대한‘프리미엄 한정판 특별기획전’ 등의 행사도 진행된다. ●신세계백화점 개띠 새해를 맞아 브랜드 세일을 펼치는 한편 다양한 신년 이벤트를 열어 방문 고객들의 ‘만복을 기원한다.’는 전략이다. 먼저 내년 1월 2일부터 5일까지 4일간 ‘새해 첫 브랜드 세일’을 열고 6일부터는 ‘새해 첫 바겐세일’을 준비하고 있다. 신세계는 남성과 여성 패션을 중심으로 겨울 상품 클리어런스 세일에 돌입한다. 여성 캐주얼 장르의 쥬크와 나이스 클랍 등이 30%, 앤클라인이 20% 세일을 실시하는 등 여성 장르는 10∼30% 세일에 돌입하고 남성도 갤럭시와 로가디스 등 신사정장 30%를 비롯해 전품목 10∼30% 세일을 실시한다. 이외에도 해외 명품과 아동, 스포츠, 생활, 잡화 등 전 장르가 10%에서 최고 40%까지 세일을 실시할 계획이다. 남성과 여성 패션은 물론 생활, 잡화 등 모든 장르의 유명 브랜드 상품을 5만원 균일가에 판매하는 ‘신년 복 상품전’도 주목되는 이벤트다.1월 2일 단 하루만 실시되며 점별로 선착순 500명에게 순번표를 나눠준 후, 고객들이 직접 추첨해 자신의 행운을 시험하게 된다. 새해 신년 이벤트도 풍성하게 펼쳐진다. 먼저 개띠해를 맞아 2일부터 5일까지 4일간 전국 7개점에서 3만원 이상 구매고객을 대상으로 점포별로 매일 500∼1000명에게 ‘럭키 퍼피’ 인형은 나누어 준다. 또 강아지 인형을 받은 고객 중 추첨을 통해 모두 70명에게 ‘강아지 캐릭터 반지(금 2돈)’를 행운 경품으로 나누어 주는 행사도 펼친다. ●현대백화점 내년 설날 선물세트 매출을 7∼8% 가량 신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선물세트 준비에 열을 올리고 있다. 소비심리 회복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설날 선물세트 매출이 10% 이상 신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추가 물량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호남지방의 폭설과 관련해 배, 사과, 한라봉 등 과일세트의 경우 바이어들이 산지 저장고 확인 및 추가 물량 확보를 위해 1월초까지 산지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전통적 선호상품인 정육세트의 경우에도 세트물량을 10% 가량 늘려 잡았다. 특히, 갈비 외 프리미엄급 냉장육 상품의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정육담당 바이어들이 폭설속에서도 주요 한우 산지별로 추가 신상품 개발을 위해 뛰어 다니고 있다. ●갤러리아백화점 내년 1월6일부터 신년 첫 정기세일에 들어간다. 이에 앞서 2일부터 브랜드 세일로 소비자들의 눈길을 끈다는 전략이다. 많은 해외 명품 브랜드들이 11월 말부터 시작해 1월 말, 길게는 2월 말까지 세일을 실시하고 국내 브랜드도 상당수 지난 12월 송년세일부터 1월 말까지 세일을 진행해 오고 있다. 이와 더불어 내년 첫 브랜드 세일이 시작되는 1월 2일부터 다수 브랜드들이 신규로 세일에 참여해 상승세를 타고 있는 소비회복의 특수를 기대하고 있다. 1월 정기세일 이후에는 봄 신상품의 본격적인 판매에 들어갈 예정이다. 따라서 이번 새해 첫 정기세일이 겨울상품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마지막 절호의 찬스가 된다. 갤러리아 명품관의 경우,1월 세일에 신규로 라모제, 젠, 트리시아, 네레이드, 타테오시안 등의 액세서리 브랜드가 10∼20% 세일을 실시한다.22일까지 숙녀화 브랜드 ‘세라’가 30%,‘까메오’가 10% 세일을 각각 진행한다.‘휴고보스 오렌지라벨’은 1월16일부터 31일까지 20%,‘솔리드옴므’는 1월6일부터 22일까지 20% 세일을 펼친다. ●그랜드백화점 일산점과 수원 영통점에서는 이달 26일부터 브랜드 바겐세일을 실시한다. 이달 30일부터 내년 1월15일까지 17일간 한발 앞선 신년 첫 정기세일도 펼친다. 브랜드 세일엔 75% 정기세일엔 90% 이상이 참여한 가운데 의류, 생활잡화, 가전, 식품 등 최고 50%까지 할인해 판매한다. 또 세일 기간 동안 당일 15만원이상 구매고객에게는 1만∼7만원권 상품권을 사은품으로 증정하는 사은행사를 동시에 진행한다. 세일초반부터 대대적인 기획행사를 준비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특히 날씨 때문에 더욱 재고떨이 행사가 치열하여 50% 이상 할인품목도 다수 포함되어 있는 게 특징이다. 이달 26일부터 29일까지 일부 브랜드를 중심으로 ‘유명브랜드 바겐세일’을 실시하고 겨울 신상품은 20∼50%, 기획·이월상품은 60∼80% 싸게 판매한다. 브랜드세일 기간 동안 일산점은 명품 모피·피혁 성원 감사전, 유명 커리어 캐주얼 겨울창고 대공개, 신사정장 코트 종합전 등 알뜰 초특가 기획전 행사에 집중한다. 그랜드백화점 백운학 여성의류팀장은 “올해는 물량 부족 현상이 일부 발생될 전망으로 조금이나마 일찍 쇼핑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애경백화점 새해 1월1일부터 슬로건을 교체한다.2001년부터 사용해오던 ‘Shopping & More’를 대신해 리조트처럼 편한 이미지를 강조하는 ‘Shopping Resort’를 사용한다.‘More’의 개념을 더욱 확장시키고 구체화한 것이다. 신년 분위기를 돋우기 위해 1월2일부터 갖가지 행사를 진행한다. 구로점은 고객에게 자동차도 준다.2일부터 15일까지 고객에게 응모권을 준 후,15일 6시에 추첨해 GM대우 SX-M/T(수동)를 증정한다. 일정금액 이상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가훈을 써드립니다.’‘혁필화를 그려드립니다.’,‘달마도를 그려드립니다.’ 등의 이색행사도 마련한다. 신년 세일 중반부인 14∼15일 이틀동안은 로봇전시회를 연다. 수원점에서는 2일부터 5일까지 5만원 이상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1인 2장씩 ‘빈소년합창단 내한공연 입장권’을 증정하고,8일까지 20명의 고객에게는 대관령 눈꽃 축제 테마여행 참석권을 준다. ●삼성플라자 분당점은 새해 1월6일부터 22일까지 17일간 신년 정기 세일에 들어간다. 겨울 상품을 정리하는 세일인 만큼 브랜드 참여율이 80%가 넘을 예정이다. 이때가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겨울 의류를 구입 할 수 있는 기회다. 특히 프라다, 구찌, 페라가모 등 해외 명품도 가격 인하에 들어간다. 구치, 로로피아나, 프라다, 코치, 던힐, 페라가모 등 해외명품들도 30%까지 할인 판매된다. 또 데코, 앤클라인, 비아트, 쉬즈미스, 데미안, 캐리스노트, 엠씨 등 여성캐주얼은 20% 할인행사가 진행된다. 닥스, 지방시, 빨질레리 등 남성정장도 마찬가지다. 30일부터 내년 1월5일까지는 로가디스 종합전도 열려 신사복 정장 29만∼39만원, 재킷 23만∼37만원, 하프코트 29만원, 칠부코트 35만원 등에 구입할 수 있다. 이동구기자 yidonggu@seoul.co.kr
  • 영국판 ‘난타’의 터질듯한 에너지

    영국판 ‘난타’의 터질듯한 에너지

    넌버벌 퍼포먼스 최고의 흥행작으로 꼽히는 ‘스텀프’가 1월3일부터 서울 한전아트센터에서 내한공연을 갖는다.1996년 호암아트홀,2000년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뉴욕 오프브로드웨이팀이 두차례 내한공연을 가졌지만 영국 오리지널팀의 방한은 이번이 처음이다. 1991년 영국 브라이튼에서 초연한 ‘스텀프’는 빗자루, 드럼통, 쓰레기통, 열쇠고리 등 손에 닿는 모든 것들에 신나는 리듬을 부여해 세계 공연 팬들의 열광적인 환호를 받은 작품. 10년간 공동작업을 해온 연출가 루크 크레스웰과 스티브 맥니컬러스가 거리밴드의 멤버들과 합세해 만든 ‘스텀프’는 영국 빈민가를 무대로 밑바닥 인생들의 현실을 가장 원초적인 리듬에 실어 보여준다. 정확한 비트, 터질듯한 에너지로 가득찬 ‘스텀프’의 매력은 국내 공연 제작자들에게도 영향을 줬는데 1998년 탄생한 ‘난타’를 비롯해 ‘도깨비 스톰’‘두드락’등이 대표적이다.2월5일까지 4만 4000∼11만원.(02)568-4205.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 ‘오아시스’ 첫 내한공연

    리암과 노엘 갤러거 형제가 이끄는 영국의 대표 모던록밴드 ‘오아시스’(Oasis)가 내년 2월 21일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첫 내한 공연을 펼친다. 이번 공연은 지난 5월 발매된 6집 ‘Don’t Believe the Truth’ 홍보를 위한 세계 투어의 일환.93년 결성된 오아시스는 지난 12년 동안 ‘Live Forever’,‘Supersonic’,‘Stand By Me’ 등 수많은 히트곡을 내놓고 전세계에 3500만장(국내 30만장)의 앨범을 판매하는 등 브릿팝의 정상을 지켜왔다. 지난 6월에는 ‘Don’t Believe The Truth’를 발표하고, 수록곡 ‘라일라’(Lyla)가 UK 차트 1위에 오르며 건재를 과시했다. 티켓 판매는 이달 27일 인터파크 인터넷 홈페이지와 전화를 통해 가능하다.(02)3444-9969.이영표기자 tomcat@seoul.co.kr
  • ‘성탄 콘서트’ 어떤것 즐길까

    ‘성탄 콘서트’ 어떤것 즐길까

    올해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안방에서 따뜻한 콘서트를 즐기는 기회를 가져보는 게 어떨까. 방송에서 다채로운 음악 선물 보따리를 푼다. MBC는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리는 특별 공연 ‘희망콘서트’를 25일 오후 4시40분에 녹화방송한다. 장애인 콘서트팀 ‘희망으로’가 청와대에 초대된 장애인, 소년소녀 가장들과 함께 하는 감동의 무대이다. 지체부자유 성악가 최승원, 시각장애인 클라리넷 연주자 이상재, 지체부자유 가수 박마루,‘네 손가락 피아니스트’ 이희아 등으로 구성된 ‘희망으로’는 이미 수십 차례 전국 공연을 통해 희망을 전달해 왔다. 영화 ‘말아톤’의 실제 주인공 배형진, 자폐 장애인 수영선수 김진호, 여성 보컬 그룹 빅마마, 임정희, 월드비전 선명회 어린이 합창단 등도 참여한다. 노무현 대통령 부부도 ‘사랑으로’를 열창할 예정이다. MBC는 같은 날 오후 11시30분에 지난 6일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렸던 ‘2005 한·일 우정의 해 기념 콘서트-프렌즈’도 내보낸다. KBS 1TV는 세계적인 소프라노 조수미의 콘서트를 준비했다.24일 오후 2시30분 ‘조수미의 화이트 콘서트’를 방송한다. 스카를라티의 ‘크리스마스를 위한 전원 칸타타’ 등 성가곡들이 선사된다. 지난 17일 서울 예술의 전당에서 열렸던 공연 실황이다.27일(경북대),29일(제주 ICC),31일(일산 킨텍스)에는 현장에서 신이 내린 소프라노를 직접 들을 수 있다. EBS가 내놓은 카드는 천상의 목소리라는 평가를 받는 빈 소년 합창단. 이들은 새해 내한공연을 앞두고 있다.24일 오후 6시20분 ‘2005 빈 크리스마스 콘서트’를 내보낸다. 지난 3일 빈 콘체르트 하우스에서 열린 빈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빈 소년 합창단의 공연분이다.‘고요한 밤’ 등 캐럴과 ‘스케이터스 왈츠’ 등 계절에 어울리는 음악을 들려준다. EBS는 또 김선경 정세훈 이건명 백민정 엄기준 홍금단 등 뮤지컬 실력파의 뮤지컬 넘버들을 듣는 시간(24일 오후 10시30분)과, 풍부하고 편안한 보컬이 돋보이는 CCM 아티스트 송정미가 들려주는 CCM과 캐럴, 첼리스트 양성원이 연주하는 클래식 소품 등을 즐길 수 있는 시간(25일 오후 10시30분)을 준비했다. 음악채널 MTV는 그동안 폭넓은 사랑을 받았던 ‘스쿨어택’을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꾸몄다. 가수 테이가 부산 삼성여자고등학교를 찾아 벌였던 깜짝 콘서트를 담고 있다.24일 밤 12시에 방송된다.KM은 같은 시간 패닉, 거미, 원타임, 에픽하이, 리쌍,SS501,MC 더 맥스, 다이나믹 듀오, 채연, 원우, 부가킹즈 등 인기 가수가 총출동하는 90분 특집 ‘쇼! 뮤직탱크’로 맞불을 놓는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