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가 삼킨 물건/내시경 이용해 꺼낸다
◎서울대병원,개복 않는 새 시술 사례 발표/식도 걸리면 가장 위험… 하루내 병원 찾아야/날카롭지 않은 작은 물체는 변으로 나올수도
동전,열쇠,건전지,머리핀,바둑돌,못,반지,토큰,압핀….놀랍지만 어린아이들의 뱃속에서 꺼낸 물건들의 목록이다.
대책없이 아무거나 입안에 넣는 아이들때문에 부모들은 당황할때가 많다. 그냥 놔두면 대변으로 나온다는 얘기를 들은 것 같은데 그때까지 무작정 기다려도 좋은 건지,아니면 상태가 나빠지기 전에 개복수술을 해서 빼내야 하는 건지 난감하기 짝이 없다.
최근 서울대병원 소아과 서정기 교수팀(027603627)은 이런 어린이 환자들을 개복수술하지 않고 내시경을 이용,이물질을 빼낸 사례를 발표했다.
진단용으로만 쓰이던 내시경은 이처럼이 치료에도 자주 쓰이게 되었다.
서교수에 따르면 날카롭거나 뾰족하지 않은 둥근 물체는 크기가 작은 경우 대부분 「식도위장소장대장」을 통과해서 변으로 나온다.이때는 한두달 가량 기다려도 괜찮다.하지만 둥근 물체라해도 100원짜리 동전은 직경 2.5㎝로 위장을 통해 대변으로 나오기가 쉽지 않다.큰 물체나 긴 물체도 식도나 위를 통과하지 못한다.이때는 내시경으로 꺼내야 한다.
특히 위험한 것은 못이나 면도날,끝이 뾰족한 안전핀 등 날카로운 물체.몸안에서 장천공을 일으킬수 있으므로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한다. 이물질이 걸려있는 「위치」도 중요하다.만약 식도에 걸려 있다면 24시간내에 어린이 내시경을 시행할 수 있는 병원에 가야 한다.식도에 24시간 넘게 이물이 박혀 있으면 눌린 부위가 헐어 구멍이 나거나 심한 출혈로 사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이물질이 이미 식도를 통과해 위장안에 있다면,날카로운 물체나 독성이 있는 물체가 아니면 기다려봐도 좋다.그 기간은 소아내시경 전문의마다 최소 72시간에서 1∼2개월까지 의견이 다르다.
최근에는 위험성이 적은 이물이라도 위안에서 2주 이상,십이지장 안에서 1주 이상 빠져 나가지 못하면 내시경을 이용해 끄집어내야 한다는 추세다.
결론적으로,날카롭고 뾰족한 물체(안전핀,면도날,이쑤시개),4㎝이상의 긴 물체,직경 2㎝이상의 큰 물체,독성이 있는 물체(건전지)등은 내시경을 사용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시경을 사용해 이물을 제거할 때도 갖가지 기발한 아이디어가 등장한다.
바둑돌이나 큰 구슬,볼베어링,보석 등 표면이 매끄러워 내시경 집게로 잘 잡히지 않는 경우는 특수 고안한 콘돔에 망을 얽어 꺼낸다.
반지나 열쇠등 구멍이 뚫려 있는 물건을 삼켰을때는 바늘에 실을 꿰듯 구멍을 통해 줄을 꿰어 꺼내는 방법을 쓴다.건전지나 쇠붙이를 빼낼 때에는 자석을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