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선관위에 ‘준법투쟁’…“일일이 물어볼것”
벼랑 끝에서 특유의 오기가 또 발동됐다. 노무현 대통령은 중앙선관위 결정은 존중하겠지만, 말문을 닫지는 못하겠다고 버텼다. 일종의 ‘준법투쟁’이다. 대선판에서 물러나지 않고, 공세적 이슈 제기로 정국을 계속 장악하겠다는 의사 표명이다.“참여정부에 레임덕은 없다.”는 집착일 수도 있다.
다시 선관위에 공을 넘겼다. 앞으로 시비를 일으킬 만한 내용은 발언 전에 미리 선관위에 물어볼테니 판단해달라고 했다. 발언 수위는 조절하겠지만, 하고 싶어서 하는 것이 아니라 모호한 법 체계 때문에 마지못해 하겠다는 것이다. 불만과 냉소의 레토릭이다. 법적 대응 카드도 “막연히 미루지 않겠다.”며 손에서 놓지 않았다.
유례없이 대통령이 선관위와 신경전을 벌이는 양상이다. 정치권에선 역풍이 불고, 각계에선 쓴소리가 쏟아졌다.
밤새 고민한 끝에 청와대는 19일 오전 선관위의 선거법 위반 결정에 공식 반응을 내놨다. 문재인 비서실장이 주재한 정무관계 수석회의 직후였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대통령의 입을 봉하라는 선관위 결정을 존중한다.”면서도 “대통령의 정치적 권리를 포기할 수 없는 노릇이니 선관위 결정에 충돌하지 않도록 발언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천 대변인은 “(선거법상)어디까지는 허용되고, 어디부터 걸리는지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발언하기 전에 일일이 선관위에 질의하고 답변을 받아서 하겠다.”고 말했다.“선관위가 답변을 회피하지 않을 것”,“조만간 헌법소원과 권한쟁의의 범위 내에서 법적 대응 방침을 결정할 것”이라며 압박하기도 했다.
천 대변인은 이어 “민주주의, 법치주의가 갈 길이 아직 멀다. 법도 법이지만 운용도 답답해 후진 정치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고 선관위에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냈다. 또 “한나라당이 대통령의 입을 봉하려고 하는 것을 보면 불공정하고 유치하다.”면서 “한나라당은 ‘정권 교체’와 ‘대선 승리’를 수백건도 넘게 외쳤는데, 사전선거운동이 아니냐.”며 선관위에 ‘짐’을 안겼다.
한나라당은 날을 세웠다. 지도부는 선관위의 사전선거운동 판단 유보와 관련, 노 대통령을 검찰에 고발키로 하고 구체적인 시기를 20일 조율키로 했다. 나경원 대변인은 “노 대통령은 더 이상 헌법을 무시하는 광란의 질주를 하지 말고, 개과천선하길 바란다.”고 논평했다.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 실행위원인 이현우(정치외교학) 서강대 교수는 “대통령의 발언은 선관위의 독립기관으로서 의미를 무색케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교수는 “향후 정치 발전을 위해서도, 법을 가장 존중해야 할 대통령의 즉자적이고 신경질적인 반응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박찬구기자 ckpar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