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 동이름 참신하게 바꾼다
봉천동·신림동·남현동 이외에는 동 이름이 없는 관악구가 대대적인 동이름 변경작업에 나선다. 관악구는 21일 이를 위해 동명칭변경추진위원회와 추진반 구성에 들어갔다. 위원회는 의원, 시민단체, 주민 등 각계 전문가 16명으로 구성된다. 관악구의 동명칭 변경시도는 이번이 네번째로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관악구가 성공할 경우 다른 자치구에서도 동명변경작업이 잇따라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봉천 12개동, 신림 14개동 관악구는 인구가 53만여명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5번째로 많다. 그러나 동이름(법정동)은 신림·봉천·남현동 3개뿐이다. 중소도시 규모만한 ‘거대한 법정동’을 관리하기 위해 관악구는 행정동 명칭을 법정동(봉천동, 신림동)에 숫자를 더하는 방식으로 분동을 했다. 보통 인구 3만명이 넘으면 분동을 하는데 봉천동은 본동부터 11동까지 12개의 동으로 나눠져 있다. 신림동은 본동부터 13동까지 14개 동이나 된다. 행정편의적인 분동으로 신림3동 옆에 신림4동이 있는 게 아니라 신림13동이 위치하게 되는 기이한 결과를 초래했다. 특히 달동네의 상징처럼 불리던 봉천동이 아파트 단지로 깨끗하게 변해 신도시를 방불케 해 달라진 이미지와 역사를 바탕으로 참신한 동이름을 지어 관악구의 이미지를 바꿀 방침이다.●어떤 절차 거치나 그동안 동이름 변경절차가 까다로웠으나 관련법이 바뀌어 관악구의 동명개정성공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지방자치법이 개정(2005.3.24)돼 과거에는 자치단체에서 읍면동의 명칭 및 구역변경에 관한 한 행정자치부 장관 및 시·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했으나, 개정법에는 자치단체장에게 그 권한이 모두 위임됐다. 주민투표법에 따라 동명칭 변경을 추진할 수 있게 되는데, 투표권자 3분의1이상 참여와 과반수이상의 찬성으로 동 명칭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종전에는 지방자치법상 90%이상의 주민동의라는 선행조건 때문에 1981년,1993년,1995년 등 3차례에 걸친 동명칭 변경 시도는 모두 실패했다.●관악동, 청룡마을, 화가리, 허리목… 관악구의회 김효겸(52)의장은 최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름다운 옛지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12대째 이 지역에서 살고있는 토박이로 12곳의 옛 지명을 기억하고 있다. 김의장에 따르면 서울대 정문앞쪽은 자하동으로, 학교 우측은 복은마을, 낙성대 일대는 탑골, 중앙시장일대는 박재궁 등으로 불렸다고 한다. 구는 또 허리목, 화가리, 청룡마을, 원당리 등 아름다운 옛지명들을 모두 찾아 지역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동명칭 변경 추진위원회와 추진반은 이런 아름다운 지명들을 찾아 주민들에게 알리고 새로운 동명을 선정, 동의를 이끌어 낼 계획이다. 김희철 관악구청장은 “신도시 수준으로 바뀐 지역의 이미지를 제대로 표현하고 역사·문화적인 지역색을 살릴 수 있는 명칭을 찾아내겠다.”고 말했다.이동구기자 yidonggu@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