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 로스쿨 합격자 86%는 SKY… 심해지는 쏠림
최근 5년간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의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합격자 대부분이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배경의 학생을 선발한다는 로스쿨 취지와 달리 일부 대학으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한 것이다.
종로학원은 2020~2024학년도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로스쿨 합격자 총 1998명을 분석한 결과 이른바 ‘스카이’(SKY)로 불리는 3개 대학을 졸업한 이들이 1726명(86.4%)이었다고 13일 밝혔다.
학교별로는 서울대 출신이 888명(44.4%)으로 가장 많고 고려대가 426명(21.3%), 연세대가 412명(20.6%)이었다. 세 대학 출신 합격자는 2020년 85 .4%에서 올해 86.9%로 소폭 상승했다.
이외에는 최근 5년간 성균관대 출신이 62명(3.1%)이었고 한국과학기술원 41명(2.1%), 경찰대 36명(1.8%), 한양대 26명(1.3%), 외국어대 23명(1.2%), 이화여대 19명(1.0%), 서강대 15명(0.8%), 포항공대 13명(0.7%)이 뒤를 이었다. 비수도권 일반 대학에서는 5년간 전남대·충남대·전북대·충북대·고려대 세종캠퍼스에서 각각 1명씩 합격했다.
최근 5년간 자교 출신 학생의 로스쿨 합격 비율은 서울대가 66.1%, 연세대가 44.5%, 고려대 45.8%였다. 자교 출신 다음으로는 서울대 졸업생을 많이 뽑았는데 연세대 로스쿨에선 196명(31.5%), 고려대에선 188명(30.7%)을 선발했다. 계열별로는 인문계열이 1496명(74.9%), 자연계열은 272명(13.6%), 사범계열은 109명(5.5%)을 차지했다.
로스쿨은 규정상 자교가 아닌 다른 대학에서 모집정원의 3분의1 이상을 선발해야 한다. 로스쿨 합격자가 특정 대학 출신으로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인데 세 대학은 신입생을 최대한 자교 출신으로 뽑은 셈이다. 종로학원은 “인문계열에서는 로스쿨 합격생을 많이 배출한 학교·학과로의 집중화가 심해질 수 있다”며 “각 대학은 이러한 흐름을 무전공 학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