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지예
    2025-08-05
    검색기록 지우기
  • 유세윤
    2025-08-05
    검색기록 지우기
  • 전원주
    2025-08-0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667
  • 국교위서 수능 이원화·절대평가 제안 나와…“확정된 것 없다”

    국교위서 수능 이원화·절대평가 제안 나와…“확정된 것 없다”

    2026년부터 10년간 주요 교육정책 방향이 담기는 ‘국가교육발전계획’ 논의 과정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이원화하고 절대평가 하는 방안이 제안됐다. 19일 국가교육발전계획을 수립하는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에 따르면 국교위 산하 중장기 국가교육발전 전문위원회(전문위)는 최근 이러한 방안을 논의했다. 수능 이원화는 언어, 수학, 영어, 탐구 영역 등을 평가하는 수능을 둘로 나눠 언어·수학만 치르는 수능Ⅰ과 선택과목을 평가하는 수능Ⅱ로 나누는 방안이다. 또 수능에 절대평가를 도입하고 논·서술형 문항을 활용하는 방안, 고등학교 내신도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방안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런 방안에 대해 전문위원 내부에서도 이견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교위 관계자는 “전문위가 여러 가지 대안을 논의하던 중 나온 안으로 확정된 바가 없다”며 “추후 전체 회의에서 토론을 거쳐 심의·의결될 때까지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위는 2026~2035년 국가교육발전계획에 담길 내용을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 국교위는 전문위 자문을 바탕으로 전체 회의 논의를 거쳐 올해 말 시안을 발표한 뒤 내년 3월 국가교육발전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국교위가 국가교육발전계획을 마련해 대입 개편안을 추가로 내놓더라도 ‘대입 4년 예고제’에 따라 적용 시점은 2031학년도 이후가 될 전망이다. 대입 4년 예고제는 학생들이 대입과 관련해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대입전형 관련 사항은 입학 연도의 4년 전 학년도가 개시되기 전까지 공표해야 하는 제도다. 이에 따라 현재 중3 학생부터 적용되는 ‘2028학년도 대입 개편안’이 지난해 12월 발표됐으며, 아직 학교 현장에 적용되지 않았다.
  • 교육부 “의대 배정위, 로스쿨과 달라…비공개 유지”

    교육부 “의대 배정위, 로스쿨과 달라…비공개 유지”

    교육부는 증원된 의과대학 정원 2000명을 32개 대학에 배정하는 역할을 담당했던 ‘배정심사위원회’(배정위) 명단·회의록에 대해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교육부는 19일 출입기자단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정원 배정과 의대 정원 배정은 근거 법령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사항으로 볼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야당 의원들은 지난 16일 국회에서 열린 ‘의대 정원 증원에 따른 의대 교육 점검 연석 청문회’에서 의대 증원분 배정 심사가 닷새 만에 이뤄져 졸속이라면서 배정위 규모와 명단, 회의록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교육부가 청문회 초반 배정위 회의록을 파기했다는 취지로 발언한 점도 논란이 됐다. 교육부는 이후 회의록이 아닌 회의 참고 자료를 파쇄했다고 진화에 나섰다. 그러나 의료계는 배정위 회의록 파기 의혹을 제기하며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오석환 교육부 차관 등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했다. 의료계는 이와 함께 2007~2008년 교육인적자원부가 로스쿨을 출범시키기 위해 정원을 심의한 법학교육위원회 규모와 위원 명단을 공개했다며 이번 사안과 대응이 달랐다는 점을 비판하기도 했다. 교육부는 의료계의 고발과 관련해 “고발장 접수 여부 등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관련 사항이 확인되면 성실히 대응하겠다”고 했다. 로스쿨 때와 달리 배정위 회의록 등을 공개하지 않는 이유는 법령상 설치 근거가 다르다는 점을 들었다. 의대 배정위는 법학교육위원회와 달리 비법정위원회이므로 공공기록물 관리법령상 회의록 작성 의무가 없고, 사안의 민감성·보안 유지 필요성 때문에 비공개한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법학교육위원회는 ‘법학전문대학원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법정 위원회지만 의대 증원에 관한 사항은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따라 교육부 장관이 결정하게 돼 있다”고 덧붙였다.
  • 확산하는 코로나19…감염 학생, 증상 사라진 뒤 등교 권고

    확산하는 코로나19…감염 학생, 증상 사라진 뒤 등교 권고

    코로나19가 확산하는 가운데 교육부가 코로나19에 감염된 학생의 경우 증상이 사라진 다음 날부터 등교할 것을 권고했다. 교육부는 16일 질병관리청, 시·도교육청과 각각 협의회를 열어 여름철 코로나19 유행 대응 상황을 공유하고 2학기 개학에 대비해 학교에 적용할 ‘코로나19 감염 예방 수칙’ 등을 논의했다. 수칙에 따르면 코로나19에 감염된 학생은 고열·호흡기 증상 등이 심한 경우 등교하지 않고 가정에서 건강을 회복하는 것이 권고된다. 증상이 사라진 다음날부터 등교할 수 있으며 등교하지 않은 기간은 출석인정결석 처리를 받을 수 있다. 또 일상생활에서 손 씻기, 환기, 기침 예절 등 기본적인 예방 수칙을 지키고, 의료기관 등에 방문할 때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교육 당국은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고, 불필요한 만남이나 외출은 자제하도록 권했다. 학교에서 근무하는 60세 이상 또는 면역저하자 등 상대적 고위험군은 사람이 많고 밀폐된 실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발열·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서 진료받는 것이 권고된다. 교육부는 교육청과의 협의회를 통해 이러한 수칙을 배포하고 개학 직후 학교에서 학생·교직원을 대상으로 자체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 주요 방역물품도 지원한다.
  • 정부 ‘의대 2000명’ 분배한 회의록 파기…野 “법 위반 소지”

    정부 ‘의대 2000명’ 분배한 회의록 파기…野 “법 위반 소지”

    교육부가 지난 3월 2000명이 늘어난 2025학년도 의과대학 학생 정원의 대학별 배분을 심사한 위원회 회의록의 원본을 파기해 현재는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야당은 “명백하게 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고, 정부는 “자료 유출 우려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16일 국회 교육위·복지위원회가 개최한 의과대학 교육 점검 연석 청문회에 출석해 ‘의과대학 학생 정원 배정위원회(배정위)’ 회의록을 파기했냐는 김영호 교육위원장(더불어민주당) 질문에 “배정위 운영되고 기간에 한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배정위는 지난 3월 정부가 의대 입학정원을 2000명 늘리기로 결정한 이후 대학별 증원 배분을 결정했던 회의체로 닷새 동안 세 차례의 회의를 거쳐 결론을 냈다. . 지난 8일 국회 교육위는 이번 연석 청문회의 증인 명단을 여야 합의로 채택하면서 민주당이 제시했던 배정위원장을 제외했다. 정부가 배분 근거와 과정에 대한 자료를 낸다는 조건이었다. 그러나 교육부는 회의록 원본 대신 내용을 요약한 자료를 국회에 제출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배정위는 법정기구가 아닌 장관의 자문을 위한 임의 기구”라며 “간호 등 유사한 배정위의 경우에도 회의록을 작성하지 않은 것이 관례”라고 말했다. 또 배정위원에 대한 정보는 개인정보이고, 배정 사항이 워낙 민감하기 때문에 공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국회법에 따르면 모든 게 허용되지 않는 발언을 한 것”이라며 “국가 안보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른 사유는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 지난 전체회의 때 말한 내용”이라고 지적했다. 야권은 ‘공공기록물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배정위 회의록은 파기 전에 절차를 거쳐야하는데, 임의로 파기해 현행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박주민 민주당 의원은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데 있어 어떤 자료로 했는지 사후 확인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비판했다. 반면 교육부는 의대 증원 배정위 회의록은 해당 법률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거듭 반박했다. 이 부총리는 “혹시라도 자료가 유출돼서 갈등을 더 촉발시킬 수 있지 않나 하는 실무진의 우려가 컸다”고 말했다.
  • ‘악플’같던 교원평가 전면 개편…학부모 조사·서술형 문항 없앤다

    ‘악플’같던 교원평가 전면 개편…학부모 조사·서술형 문항 없앤다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해 시행되지만 ‘교권 침해’ 논란도 일으켰던 교원능력개발평가(교원평가)에서 학부모 조사와 서술형 문항이 폐지된다. 14일 교육부가 공개한 ‘교원평가 개편 방안 시안’에 따르면 교원평가는 ‘교원역량 개발 지원제도’(가칭)로 재설계된다. 기존 교원 평가는 ▲동료 교원 평가 ▲학생 만족도 조사 ▲학부모 만족도 조사로 구성된다. 개편 이후 동료 교원 평가는 교원평가와 별도로 시행되는 동료 평가 제도인 ‘교원업적평가’의 다면평가와 연계하고, 학생 만족도 조사는 ‘학생 인식도 조사’로 개선한다. 학부모 만족도 조사 대신엔 교원 스스로 실시하는 ‘자기 역량진단’이 추가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활동 경험이 많지 않은 학부모도 의무적으로 평가를 하면서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어 대체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는 현재 학부모들이 시행하는 학교평가 일부 항목을 통해 교사를 평가한다. 기존에 학생 만족도 조사 없이 학부모 만족도 조사만 시행하던 초등학교 1~3학년은 교원업적평가 다면평가를 통해 동료들의 평가만 받게될 예정이다. 학생 만족도 조사는 ‘학생 인식조사’로 바꿔 학생의 배움과 성장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는 계획이다. 예컨대 ‘선생님은 수업 시간에 활발하게 질의응답을 한다’는 조사 문항을 ‘선생님의 질문으로 수업에 호기심이 커졌다’는 문항으로 바꾸는 식이다. 학생이 교사에 대한 성희롱성 문구를 적어 문제가 됐던 서술형 문항은 폐지된다. 교육부는 교원평가 진단 결과와 연계한 인공지능(AI) 기반 연수 추천, 학습 연구년제 등 보상을 확대해 역량 개발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개선된 교원역량 개발 지원 제도는 내년 시범 운영을 거쳐 2026년 이후 시행된다. 올해 교원 평가는 유예를 검토한다. 2010년부터 매년 9~11월 시행해 온 교원평가는 교원의 학습·생활지도에 대해 학생·학부모와 동료 교원들이 평가하고 이를 교원들의 연수에 활용하는 제도다. 그러나 익명성을 악용해 인신공격 수단이 되어왔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개편이 추진됐다. 교원단체는 대체로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학생 서술형 평가, 학부모 만족도조사, 강제 연수 부과를 폐지한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며 “교사의 자기주도적 성장을 지원하는 제도로 완전히 탈바꿈해야 한다”고 했다. 교사노동조합연맹은 “학교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고심한 흔적이 보인다. 그러나 평가라는 틀 속에서는 교원 역량을 개발하는 본질을 제대로 찾을 수 없다”고 했다.
  • 인력·공간 숙제 남기고…2학기 늘봄학교, 전국 초등학교로 확대

    인력·공간 숙제 남기고…2학기 늘봄학교, 전국 초등학교로 확대

    초등학생 누구나 정규수업 이후 다양한 교육·놀이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늘봄학교’가 2학기부터 전국 모든 초등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이에 따라 2학기에는 초등 1학년 약 28만명이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늘봄학교 확대만큼 충분한 전담 인력과 공간은 확보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부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런 내용의 ‘2024년 2학기 전국 초등학교 늘봄학교 도입 준비 상황’을 발표했다. 1학기 전국 2963개교에 도입됐던 늘봄학교는 2학기부터 전체 초등학교 6185개교와 초등 과정을 운영하는 특수학교 178개교에서 시행된다. 학교별 2학기 수요조사 결과 전국 초1 학생 34만 8000명 가운데 80.0%인 약 28만명(초등 27만 8286명·특수 1297명)이 늘봄학교 참여를 희망했다. 교육부와 17개 시·도 교육청은 각 학교에 전담 인력과 공간과 프로그램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교사의 늘봄 행정업무 부담이 늘어나지 않도록 전담 인력을 배치했고, 지난 9일 기준 9104명(학교당 1.4명)이 2학기를 준비하고 있다. 학교별 늘봄 전담체계를 만들기 위해 교육 당국은 현직 교사 가운데 ‘임기제 교육연구사’를 선발해 늘봄지원실장으로 배치한다. 지난 7월까지 전국에서 제출한 늘봄지원실장 수요는 2500여명인데, 교육 당국은 교육연구사로 전직하는 인원을 고려해 2025~2027학년도 교원 신규채용 규모를 늘릴 계획이다.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늘봄전담사 선생님이 학교에 한 분씩 배치돼 행정업무를 전담하기 때문에 선생님들에게 부담을 드리지 않는 행정적인 체제는 마련됐다”고 말했다. 전용 교실 37%…나머지는 특별실·교실 이용 공간은 지난 9일 기준 6485개 교실이 환경 개선을 완료했으며 교사연구실도 4435실 꾸려졌다. 전체적으로 늘봄 전용교실은 1만 4253실(37.3%)이며, 나머지는 과학실·음악실·도서관 등 특별실이 46.1%(1만7617실), 일반교실이 16.6%(6327실)를 차지한다. 현장 교사들을 중심으로는 인력·공간 부족의 문제가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지난 1학기 투입된 늘봄 전담 인력 중 일부가 관련 행정 업무에 익숙하지 않아 교사들이 행정 업무를 떠맡게 되는 경우가 빚어졌다는 것이다. 또 늘봄 전용 교실이 부족해 교사들이 수업 연구와 업무 공간으로 사용해야 할 교실에서 쫓겨났다는 비판도 있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늘봄 업무는 학년 초, 학년말에 집중되는데 늘봄지원실장이 3월에 배치되면 학교는 업무에 대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며 “발령 전 실무 연수와 방학 중 늘봄지원실 구축 지원 같은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대부분 교사연구실은 각 학년 수업 협의, 학습자료와 물품 보관 창고로 이미 활용되고 있던 공간”이라며 “업무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매우 열악한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 의대 증원 ‘희망고문’, 초고도 선행학습 붐…초3도 미적분 배운다

    의대 증원 ‘희망고문’, 초고도 선행학습 붐…초3도 미적분 배운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A학원의 ‘초등 의대반’은 초등 5~6학년을 모집해 3년 3개월 안에 중학교 2학년 1학기부터 고교 3학년 이과 수학까지 가르친다. 정상 교육과정대로라면 8년이 걸리는 범위를 2.5배의 속도로 마치는 셈이다. B학원도 초등 3학년부터 모집하는 ‘의대 올케어반’에서 미적분까지 진도를 나간다. 특히 이런 조기 의대반은 비수도권에서도 등장했다. 충남 아산의 C학원은 중학교 2~3학년에게 고교 입학 전까지 미적분을 ‘완료’시켜 준다. 정상 과정보다 3배 빠른 선행학습이다. ●의대 열풍이 부른 과도한 선행학습 서울 대치동이나 목동 같은 ‘사교육 메카’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초등 의대반이 의대 열풍을 타고 대부분 시도에 확산됐다는 조사가 나왔다. 초등학생에게 고교 미적분을 가르치거나 대학에서 배우는 수학 개념까지 가르치는 ‘초고도 선행학습’이 전국적으로 퍼진 것이다.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은 이런 내용이 담긴 실태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지난 7월 15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 조사에 따르면 제주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에서 초등 의대반 홍보물이 발견됐다. 초등 의대반을 홍보하는 학원은 89곳이고 관련 프로그램은 136개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8곳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20곳, 대구 10곳, 광주 6곳, 인천 5곳, 부산 3곳 순이었다. ●전국에 퍼진 의대반 45개 달해 교습 범위를 파악할 수 있는 72개 프로그램 가운데 5년 이상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초등 의대반 프로그램은 45개(62.5%)였다. 대체로 초등 6학년에게 고1 수학까지 5년 과정을 가르치는 식이다. 비수도권 학원들도 이같은 흐름을 앞다퉈 따라가고 있다. 전남 순천시의 한 학원은 “대치동뿐 아니라 이미 전국의 학원들이 의대반을 개설하고 있는 추세다. 문이과 통합 수능으로 선행학습 연령도 앞당겨지고 있다”며 의대반을 홍보했다. 구본창 사걱세 정책대안연구소장은 이날 관련 국회토론회에서 “의대 집중 현상과 수능 비중이 높은 의대 입학 전형, ‘불수능’과 의대 정원 확대가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교습시간 증가로 사교육비 부담도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의대반 선발 고사까지 고1 수준 초등 의대반에 들어가기 위한 레벨 테스트도 과도한 선행학습을 부추기는 것으로 분석됐다. 예컨대 초등 6학년을 대상으로 의대반을 모집하는데 중3 수학까지를 테스트 범위로 공지하거나 초등 2~3학년 대상 의대반 레벨 테스트 문항에 고1 수준 수학이 등장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사교육의 지나친 선행학습을 통제할 규제 장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홍민정 법무법인 에셀 변호사는 “과도한 선행교습은 학생 건강권을 제약하고 학교교육의 황폐화를 가져올 수 있다”며 “지나친 선행교습을 법적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초등학생이 미적분을?…의대 열풍에 전국 퍼진 ‘초고도 선행’

    초등학생이 미적분을?…의대 열풍에 전국 퍼진 ‘초고도 선행’

    서울 강남구 대치동 A학원의 ‘초등 의대반’은 초등 5~6학년을 모집해 3년 3개월 안에 중학교 2학년 1학기부터 고교 3학년 이과 수학까지 가르친다. 정상 교육과정대로라면 8년이 걸리는 범위를 2.5배의 속도로 마치는 셈이다. B학원도 초등 3학년부터 모집하는 ‘의대 올케어반’에서 미적분까지 진도를 나간다. 이런 조기 의대반은 비수도권에서도 등장했다. 충남 아산의 C학원은 중학교 2~3학년에게 고교 입학 전까지 미적분을 ‘완료’시켜준다. 정상보다 3배 빠른 선행학습이다. 서울 대치동이나 목동 같은 ‘사교육 메카’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초등 의대반이 의대 열풍을 타고 대부분 시도에 확산됐다는 조사가 나왔다. 초등학생에게 고교 미적분을 가르치거나 대학에서 배우는 수학 개념까지 가르치는 ‘초고도 선행학습’이 전국적으로 퍼진 것이다.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은 이런 내용이 담긴 실태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지난달 15~30일 진행된 이번 실태조사에 따르면 제주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에서 초등 의대반 홍보물이 발견됐다. 초등 의대반을 홍보하는 학원은 89곳이고 관련 프로그램은 136개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8곳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20곳, 대구 10곳, 광주 6곳, 인천 5곳, 부산 3곳 순이었다. 교습범위는 5년간의 교육과정을 압축적으로 가르치는 경우가 많았다. 교습 범위를 파악할 수 있는 72개 프로그램 가운데 5년 이상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초등의대반 프로그램은 45개(62.5%)였다. 대체로 초등 6학년에게 고1 수학까지 5년 과정을 가르쳤다. 커리큘럼을 공개한 학원들의 수학 선행 속도는 평균 약 4.6년이었다. 초등학교 5학년을 기준으로 중학교 과정을 마친 후 고1 과정까지를 학습한다는 뜻이다.비수도권 학원들도 이같은 흐름을 앞다퉈 따라가고 있다. 전남 순천시의 한 학원은 “대치동뿐 아니라 이미 전국의 학원들이 의대반 개설하는 추세다. 문이과 통합 수능으로 수학의 중요도가 높아지면서 선행학습 연령도 앞당겨지고 있다”며 의대반을 홍보했다. 구본창 사걱세 정책대안연구소장은 이날 관련 국회토론회에서 “의대 집중 현상과 수능 비중이 높은 의대 입학전형, ‘불수능’과 의대 정원 확대가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교습시간 증가로 사교육비 부담도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초등 의대반에 들어가기 위한 레벨 테스트도 과도한 선행학습을 부추기는 것으로 분석됐다. 초등 6학년을 대상으로 의대반을 모집하는데 중3 수학까지를 테스트 범위로 공지하거나, 초등 2~3학년 대상 의대반 레벨 테스트 문항에 고1 수준이 등장하는 식이다. 이 때문에 사교육의 지나친 선행학습을 통제할 할 규제 장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홍민정 법무법인 에셀 변호사는 “과도한 선행교습은 학생 건강권을 제약하고 학교 교육의 황폐화를 가져올 수 있다”며 “학교급을 넘어서는 선행교습을 법적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이주호 “의대 신입생 학습권 보호 논의”…휴학·유급엔 선 그어

    이주호 “의대 신입생 학습권 보호 논의”…휴학·유급엔 선 그어

    의대 증원에 반발한 의대생들이 6개월째 수업 거부를 이어가는 가운데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학생들의 복귀를 위해 ‘채찍’ 대신 설득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집단 유급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내년도 신입생의 학습권을 보호할 방안도 논의 중이라고 했다. 이 부총리는 12일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의대생 복귀 대책의 실효성에 대한 지적에 이같이 말했다. 이 부총리는 “한 명의 학생도 놓치지 않겠다는 원칙으로 설득하고 여러 노력을 하고 있다”며 “40개 의대에 교육부 담당자를 1명씩 배정해 대학과 소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탄력적 학사운영 방안을 통해 의대생들이 복귀하면 언제든 유급 걱정 없이 수업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이 부총리는 대규모 유급이 현실화할 경우 내년도 신입생의 학습권 보호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며 “개별 대학들과 협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 2월 의대생들이 집단 수업 거부에 들어간 뒤 집단 휴학과 유급 모두 불가하다며 복귀를 설득해왔다. 3학기제 도입이나 유급 판단 시기를 학년말로 미루는 등 학사 조정 방안도 제시했다. 하지만 지난 7월 22일 기준 수업에 참여한 학생은 495명으로 전체 의대생(1만 8217명)의 2.7%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정부가 의대생의 휴학을 승인하는 등 입장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또 내년에 돌아올 예과 1학년생 3000여명과 신입생 4500여명을 함께 교육할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이 부총리는 “지금은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설득해야 하는 단계”라며 유급 등 강경책으로 선회할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한편 내년 도입될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가 개인정보 유출 등 우려가 크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부작용을 충분히 검토하고 준비한다면 큰 무리 없이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내년 초등학교 3~4학년과 중1·고1 일부 과목에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목표로 교사 연수 등을 추진 중이다.
  • 비수도권 의대 준비생 70% “지역의대 나와 지역서 의사하고 싶다”

    비수도권 의대 준비생 70% “지역의대 나와 지역서 의사하고 싶다”

    비수도권에 거주하면서 의대 진학을 원하는 수험생 상당수는 지역의대 졸업 후 지역에서 의사 활동을 하길 희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수도권 수험생 가운데 지역의대 졸업 후 지역에서 의사 활동을 하길 바라는 비율은 7%에 그쳤다. 종로학원은 지난 7월 31일부터 8월 8일까지 의대 진학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17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우선 비수도권 학생의 의대 선호도를 보면 지역 소재 의대 지역인재전형을 선호하는 비율이 63.4%, 수도권 의대를 선호하는 수험생이 34.4%로 나타났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학생의 경우에도 지역 의대 수시모집 지원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70.5%였고, 지원 의사가 없다는 응답은 29.5%였다. 하지만 졸업 후 일하고 싶은 지역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비수도권 학생들은 지역 의대 졸업 후 향후 의사 활동을 하길 원하는 지역으로 68.3%가 지방권을 선택했고 28.8%는 서울권, 2.9%는 경인권을 꼽았다. 반면 서울·경인권 학생들은 지역 의대를 졸업하더라도 63.8%가 서울권, 29.1%가 경인권에서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지방권을 선호한다는 응답률은 7.1%에 불과했다. 권역별 의대 선호도는 서울·경인권 학생의 경우 서울대(44.9%), 연세대(18.2%), 성균관대(7.4%) 순이었다. 대구·경북권에서는 경북대(42.9%), 부산·울산·경남권에서는 부산대(34.8%), 호남권에서는 전남대(37.0%)로 가장 높아 거점국립대에 대한 선호도가 컸다. 이에 비해 충청권과 강원권, 제주권에서는 각각 서울대 선호율이 가장 높았다. 종로학원은 “지방권 학생들은 지역인재전형 선호도가 높지만, 대학별로 보면 수도권 의대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며 “수도권·지방권 중복 합격에 따른 이동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의대 모집정원 확대로 향후 교육의 질이 지금보다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한 수험생은 응답자의 59.6%(하락 40.8%+매우 하락 18.8%),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생각한 수험생은 35.4%였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이 의대 모집정원이 10% 이상 늘어난 대학에 대해 평가를 강화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대학과 수험생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는 의견은 53.0%(매우 우려 16.0%+우려 37.0%)로 절반이 넘었다. 영향력 없다는 응답은 23.5%였다. 다만 이러한 불이익으로 의대 지원 의사에 변화가 생기지 않았다는 응답이 98.4%를 차지해, 지원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폐교에 수영장·늘봄학교…학교복합시설 20곳 더 만든다

    폐교에 수영장·늘봄학교…학교복합시설 20곳 더 만든다

    학교의 남는 공간을 활용해 수영장이나 체육관 등 교육·복지시설을 만드는 ‘학교복합시설’ 20곳이 추가로 선정됐다. 교육부는 학생과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학교복합시설 사업 20개를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이로써 지난해부터 총 80개 사업이 선정돼 정부 지원을 받는다. 이번에 선정된 20곳은 초등학교 9곳, 중학교 2곳, 중·고교 1곳, 고등학교 2곳, 학교밖 4곳, 폐교 2곳이다. 유형별(중복 포함)로는 수영장 11개, 다목적체육관 11개, 도서관 4개, 늘봄시설 11개가 있다. 예를 들어 서울 영등포구 학교밖 공간인 신길5구역에 수영장 및 부설 지하주차장이, 강원 속초시에 있는 폐교에는 생존수영센터와 다목적체육관, 스터디카페 등이 만들어진다. 경기 이천시도 폐교를 활용해 수영장, 늘봄공유학교, 디지털교육존 등을 만든다. 교육부는 최종 선정된 사업에 총사업비 4620억원의 45.0%인 2075억원을 지원한다. 특히 학교 교육·돌봄프로그램과 연계한 사업에는 10%를 더 지원한다. 인구감소지역에 해당하거나 생존수영이 가능한 수영장을 설치하는 학교복합시설 신설 사업에는 사업비의 최대 50%까지 지원한다. 학교복합시설은 교육·문화 시설이 부족한 지역에 학생과 지역주민이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설치한 체육관, 수영장, 도서관 등 교육·문화·체육·복지시설이다. 이번에 선정된 20개 사업단은 이르면 2026년부터 학교복합시설의 문을 열 예정이다.
  • 계속 줄었던 초등 임용, 내년엔 늘어난다…늘봄학교 영향

    계속 줄었던 초등 임용, 내년엔 늘어난다…늘봄학교 영향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2025학년도 공립 초등학교 신규 교사로 4200여명, 중·고등학교 교사로 4800여명을 선발할 계획이라고 예고했다. 초등학교 1학년 누구나 학교에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늘봄학교가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초등 교사 선발이 올해보다 대폭 늘어난다. 교육부는 7일 2025학년도 공립 유·초·중등·특수·비교과 신규교사 임용시험 사전예고 현황을 집계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내년 공립 초등학교 신규 교사 선발로 예고된 인원은 총 4245명으로 올해(사전예고 기준 3108명)보다 36.6% 늘어난다. 학령인구 감소로 대부분의 시도가 2024학년도 사전예고 당시부터 선발인원을 줄였던 것과 달리 내년에는 전남을 제외한 16개 지역이 선발인원을 늘릴 예정이다. 지역별 인원은 ▲서울 265명(증가폭 140.9%) ▲부산 411명(24.2%) ▲대구 73명(143.3%) ▲인천 224명(40.0%) ▲광주 45명(650.0%) ▲대전 43명(330.0%) ▲울산 102명(6.3%) ▲세종 39명(290.0%) ▲경기 1765명(33.2%) ▲강원 112명(49.3%) ▲충북 83명(219.2%) ▲충남 250명(25.6%) ▲전북 111명(170.7%) ▲전남 128명(-14.7%) ▲경북 318명(16.1%) ▲경남 182명(2.2%) ▲제주 94명(8.0%)이다. 전국적인 초등 신규교사 선발 인원이 늘어난 것은 ‘임용대란’이 있었던 2018학년도(6022→4088명) 이후 처음이다. 교육부는 “학교별 늘봄지원실장으로 선발돼 임기제 교육연구사로 전직하는 인원을 고려해 1~2년에 걸쳐 한시적으로 신규채용 수요를 반영한다”고 했다. 정부는 늘봄학교 시행으로 늘어나는 업무를 학교에 늘봄지원실을 신설해 총괄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교원이 늘봄지원실장으로 전직하는 경우가 있을 것으로 보고, 채용 규모를 늘린다는 설명이다. 중·고교 23% 증가…유치원도 늘어 중·고교(중등) 교사 선발 사전예고 인원은 4814명으로 올해(3907명)보다 23.2% 늘어난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767명(10.5%) ▲부산 470명(38.2%) ▲인천 296명(159.6%) ▲울산 68명(38.8 %) ▲경기 1256명(16.0%) ▲충북 170명(63.5%) ▲충남 411명(56.9%) ▲전북 236명(4.9%) ▲전남 419명(67.6%) ▲경북 138명(17.9%) ▲경남 352명(14.7%) 등 11개 시·도가 선발인원을 늘린다. 교육부는 “지속적인 결원으로 인한 학교 현장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함”이라며 “1~2년에 걸쳐 한시적으로 결원 해소를 위한 추가 수요를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올해 20% 이상 줄었던 유치원 교사 선발인원은 377명으로 26.9% 늘어난다. 특히 올해 선발인원이 0명이었던 서울은 내년에 15명을 뽑기로 했다. ▲광주 10명(233.3%) ▲전북 54명(200.0%) ▲대구 12명(200.0%) ▲충북 26명(160.0%) ▲전남 49명(145.0%)도 증가폭이 크다. 특수교사 선발인원은 총 733명으로 7.8%가량 늘어난다. ▲세종 15명(200.0%) ▲충북 29명(107.1%) ▲경남 62명(34.8%) ▲대전 20명(33.3%) ▲서울 100명(28.2%) 등 11개 지역이 선발인원을 올해보다 확대한다. 이날 공고된 선발 인원은 변동될 수 있다. 각 교육청은 정년·명예퇴직자, 학생과 학급 수를 반영해 9~10월 최종 선발인원을 공고한다.
  • 지방 공공기관 200곳, 지방대 출신 35% 이상 뽑아야

    지방 공공기관 200곳, 지방대 출신 35% 이상 뽑아야

    앞으로 한국철도공사나 한국전력 등 비수도권에 있는 공공기관은 신규 채용 인원 35% 이상을 지방대 출신 지역인재로 채워야 한다. 다만 경력직을 선발하거나 연간 채용 인원이 5명 이하 소규모인 경우에는 예외로 인정된다. 교육부는 6일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지방대학 및 지역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지방대육성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지방대육성법 개정안에 따라 비수도권 공공기관은 신규 채용인원 35% 이상을 지방대 졸업자나 졸업 예정자로 채워야 한다.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적용된다. 다만 ▲연간 채용인원이 5명 이하일 때 ▲채용 분야와 관련한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만 채용할 때 ▲채용 분야 관련 업무에 일정 기간 종사한 경력을 응시요건으로 할 때는 이를 충족하지 않아도 된다. 또 채용 전형에 지원한 사람 중 지방대 출신이 35% 미만이거나, 채용 전형을 마친 합격 예정자 중 사전 공고한 합격 기준에 못 미치는 이유로 지역인재 비율이 35%를 채우지 못해도 예외를 인정한다. 개정안은 한국철도공사(대전), 한국전력(전남 나주), 강원랜드(강원 정선) 등 비수도권 공공기관 약 200곳에 적용된다. 이들 공공기관에서 신규 채용할 땐 지역이나 권역과 관계없이 비수도권 대학 출신이면 지원이 가능하다. 국회는 지난 2월 지방대육성법을 개정해 기존에 권고 사항이었던 비수도권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비율을 의무화했다. 또 지역인재 채용이 부진한 공공기관과 300인 이상 규모의 기업은 명단을 공개하도록 했다.
  • 의대 ‘불인증’ 우려에…교육부 “인증 지원안 만들겠다”

    의대 ‘불인증’ 우려에…교육부 “인증 지원안 만들겠다”

    2025학년도에 정원이 늘어난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 평가 인증을 받지 못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데 대해 교육부가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의학교육 선진화 방안을 9월에 발표할 예정”이라며 “대학들이 늘어난 정원으로 인해 의평원에서 미인증되지 않도록 하는 지원 방안이 담긴다”고 말했다. 이어 “의평원이 내년 2월에 조건상 의대를 미인증하는 부분이 있어도 유예기간을 두는 것으로 안다”며 “2025학년도 신입생 모집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게 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의평원은 내년도에 입학 정원이 10% 이상 늘어난 30개 의대를 대상으로 6년간 매년 주요변화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항목도 15개에서 51개로 늘리기로 했다. 의평원이 내년 1월까지 계획서를 평가해 결과보고서를 작성하면 판정위원회가 2월 각 대학에 결과를 통보한다. 평가가 강화되면서 일각에서는 의평원의 인증을 통과하지 못하는 의대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다만 의평원 규정에 따르면 ‘불인증 판정을 유예받은 대학은 1년 이내에 재평가를 받아야 하며, 이 기간은 인증 상태로 한다’고 1년 유예 기간을 두고 있다. 의대생들이 장기간 수업에 복귀하지 않는 것과 관련해 교육부는 “학생들을 설득해 돌아오게 하는 게 최선”이라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구 대변인은 “탄력적 학사운영 가이드라인을 교육부가 제공했고 대학은 그에 기반해서 관련 학칙을 개정 중”이라며 “규정 개정과 동시에 학생들에게 돌아오라고 설득하고 있다”고 했다.
  • 의대 ‘의평원 인증’ 뭐길래…정부·대학과 갈등 커질까[에듀톡]

    의대 ‘의평원 인증’ 뭐길래…정부·대학과 갈등 커질까[에듀톡]

    2025학년도에 정원이 늘어나는 의과대학에 대한 평가·인증을 두고 평가 주체인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과 대학·정부가 대립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의평원의 인증을 받지 못하면 신입생 모집이 불가능할 수 있어, 의대 준비생들 사이에서도 우려가 나옵니다. 대입 수시모집을 약 1개월 앞둔 시점에 ‘의평원 이슈’가 떠오른 배경은 무엇일까요. 의평원은 교육부에서 인정기관으로 지정받아 의대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을 평가하는 민간 기관입니다. 의대 교수를 비롯한 의료계 전문가들이 2년이나 4년, 6년 주기로 각 의대를 평가하고 의학교육기관으로 인증합니다. 인증을 받지 못하면 신입생 모집이 중단되고 최악의 경우 폐교될 수도 있습니다. 예컨대 2018년 서남의대가 평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문을 닫았습니다. 최근 의평원은 내년도 정원이 10% 이상 늘어나는 의대 30곳에 대해 ‘주요변화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평가 기준을 강화했습니다. 학생이 급격히 늘어나는 만큼 교육의 질을 담보해야 한다는 취지입니다. ▲평가 항목 수를 기존 15개에서 51개로 늘리고 ▲계획서 제출 기한은 2025년 1월 말에서 올해 11월 말로 앞당기고 ▲6년간 매년 평가를 시행한다는 게 주요 내용입니다. 각 대학은 이에 따라 시설·교원 확충안, 교육병원 변화 계획, 재정확보 방안 등을 의평원에 제출해야 합니다. 안덕선 한국의학교육평가원장은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설명회에서 “의대 정원이 2~3배 늘어났을 때 전과 같은 수준의 교육이 제공될지 국민이 우려를 갖는 건 당연하다”며 “의대의 준비 상황이 신뢰를 얻기 위해 하는 활동”이라고 했습니다. 대학들은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평가를 부담스러워하는 분위기입니다. ‘시험 범위는 늘었는데 공부할 시간은 줄었다’는 겁니다. 또 기존 중간평가에 주요변화평가를 추가로 대비해야 하고, 단기간에 시설·교원 충원계획을 내기 어렵다고 호소합니다. 한 비수도권 의대 관계자는 “이대로면 대학들은 시설 측면에서 통과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며 “평가에 유예기간을 두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의평원 “의학 교육 질 유지하려면 평가 강화 필요” 대학들은 정부의 의대 지원안과 정부 예산안이 나오지 않았다는 점도 지적합니다. 교육부는 ‘의대교육 선진화 방안’을 오는 9월 발표합니다. 의대를 운영하는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은 “의평원의 결정이 불합리하다”는 입장을 교육부와 의평원에 보내기로 했습니다. 반면 의평원은 “대학의 어려움은 이해하지만 의대 교육은 점검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교육부는 의평원에 ‘사전심의’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의평원의 평가가 합리적인지 교육부가 그 계획을 들여다본다는 겁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의평원의 평가가 공정하고 객관적일 수 있게 주요변화평가 계획안을 심의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행 권고나 보완 지시를 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그러자 서울대 등 ‘빅5’ 의대 교수들은 “교육부와 대학이 최소한의 검증조차 거부하려 한다”며 반발했습니다. 수험생들 “합격해도 의사 못 되나” 걱정 의료계와 정부·대학의 대립은 어떻게 결론 날까요. 일단 의평원은 조만간 평가 지표를 확정하고 오는 31일까지 대학들에 재인증 평가 신청서를 받을 예정입니다. 반면 교육부는 지표가 확정되기 전 의평원에 평가 항목을 줄이거나 완화하라는 식의 지시를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의평원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교육부가 의평원의 인정기관 지위를 박탈하는 초강수를 둘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의정 갈등은 더 심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의대 준비생들 사이에서는 벌써 우려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의평원 인증을 받지 못한 의대에 입학하면 의사의 꿈을 이루지 못할지 걱정하는 겁니다. 수험생 온라인 커뮤니티엔 “합격해도 의사가 못 되는 것 아니냐”, “인증에서 떨어지지 않을 의대에 원서를 넣어야 한다”는 글들이 올라옵니다.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최악으로 치닫지 않기를 수험생들도 바라고 있습니다.
  • 연 2회 의무인데…학교폭력 실태조사 공개 안 하는 교육부[현장블로그]

    연 2회 의무인데…학교폭력 실태조사 공개 안 하는 교육부[현장블로그]

    교육부가 이번 주 ‘2023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다가 돌연 취소했다. 학교폭력 실태조사는 연 2회 실시하고 공표해야 하는데, 석연찮은 이유로 갑자기 계획을 바꾸면서 학교폭력 실태가 나빠져 부담을 느낀 게 아니냐는 뒷말이 나온다. 교육부는 지난 26일 오전 ‘2023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이달 말 발표하기로 했다. 그런데 이날 오후 “결과를 당분간 발표하지 않겠다”고 입장을 바꿨다. 기자단이 국민 관심이 큰 사안이므로 구체적인 사전 설명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는데, 몇시간 뒤에 자료 공개를 아예 미루기로 한 것이다. 학교폭력 실태조사는 초·중·고교생에게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유형 등을 설문 조사한 결과다. 매년 상반기에 진행되는 1차는 전수 조사, 하반기에 이뤄지는 2차는 전체 학생의 4% 표본 조사다. 학교폭력 예방법에 따라 교육부는 각 교육청이 조사한 결과를 취합해 1년에 두 차례 발표하고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한다. 통상 교육부는 1차 결과는 그해 하반기, 2차 결과는 이듬해 상반기에 발표해왔다. 지난해 실시한 2차 조사를 이달 말에 공개한다고 하더라도 이미 시점이 늦은 셈이다. 교육부는 연기 이유에 대해 “9월에 2024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발표할 예정”이라며 “한 달 반 사이에 두 차례 통계를 내는 것은 기간이 짧아 9월에 함께 발표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1·2차 조사는 조사 시점과 방법이 다른데다, 이미 교육청에서 취합한 지난해 2차 조사 결과를 올해 1차 조사와 같이 발표할 이유도 없다는 점에서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일각에선 지난해 하반기 학교폭력 피해 실태가 악화해 이를 숨기고자 발표를 연기한 것이라는 의심까지 흘러나온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9월에 발표하기 때문에 수치를 은폐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적기에 활용해야 할 실태조사를 감추는 건 학교폭력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난해 1차 조사에선 피해 응답률이 1.9%로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심각해지는 문제에 적절한 대책을 만들려면 자료 공개는 기본이다.
  • 의대생들 “국시 거부 당연”…추가 국시에도 부정적

    의대생들 “국시 거부 당연”…추가 국시에도 부정적

    대부분의 의대생이 내년 의사 국가시험(국시)를 거부한 가운데 의대생 단체가 “의학 교육 파행의 결과물”이라며 정부를 비판했다. 또 정부가 검토 중인 추가 국시에 대해서도 부정적 반응을 내비쳤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29일 성명을 내고 “96%의 본과 4학년이 국시를 접수하지 않은 것은 교육부로 말미암은 의학 교육 파행의 결과”라며 “이는 예정된 문제”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6일 마감된 국시 실기시험 접수인원은 총 364명이다. 이는 본과 4학년 졸업예정자뿐만 아니라 전년도 시험 불합격자와 해외 의대 졸업생 등도 포함된 규모다. 재응시 학생이 아닌 졸업 예정자 3000여명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5%에 불과한 159명만이 접수했다. 의대협은 “본과 4학년 학생들이 임상 실습을 진행하며 국시에 응시하고 의사 면허를 취득하기 위한 학문·기술적 소양을 갖추는 데는 1월부터 7월까지 긴 시간이 필요하다”며 “현재 본과 4학년 학생들은 졸업 예정자로서 국시 응시 자격을 취득할 수 없는 상태”라고 했다. 이어 “의학 교육 현장의 붕괴는 정부의 명백한 책임”이라며 “교육부는 휴학 승인은 불허하면서 막상 종강 일자가 다가오자 ‘I(미완료) 학점’을 임의로 신설해 F(낙제) 학점을 가림으로써 교육받지 못한 학생들을 강제로 유급하지 못하게 조작했다”고 주장했다. 의대협은 “정상적 학사 일정을 밟지 못한 학생들이 국시에 응시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며 부정적인 반응이지만, 정부는 추가 국시를 협의 중이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추가 국시 가능성에 대해 “보건복지부와 협의 중이며 결정되는 대로 공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최상위권은 무조건 메디컬…내신 1.06등급 모두 ‘의한약수’ 갔다

    최상위권은 무조건 메디컬…내신 1.06등급 모두 ‘의한약수’ 갔다

    지난해 치러진 2024학년도 대입의 자연계열 전공 진학자를 분석한 결과, 고교 내신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최상위권은 대부분 의약학 계열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정원이 늘어나는 내년도 입시에서는 이런 쏠림이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8일 종로학원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대학정보포털 ‘대학어디가’ 공시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24학년도 자연계열 수시모집 내신 합격점수가 1.06등급 이내인 125명 전원이 의약학 계열에 진학했다. 의대엔 93명(74.4%)이 진학했고, 약대 25명(20.0%), 수의대 4명(3.2%), 한의대엔 3명(2.4%)이 진학했고 의약학 계열을 제외한 이공계 일반학과에 진학한 수험생은 한 명도 없었다. 내신 1.07등급 이내 수험생 157명 중에선 153명(97.5%)이 의약학 계열에 진학했다. 의약학 계열을 뺀 나머지 이공 계열 일반학과에 진학한 수험생은 4명(2.5%)에 불과했다. 학과별 진학생은 의대 121명(77.1%), 약대 25명(15.9%), 수의대 4명(2.5%), 한의대 3명(1.9%)이다. 내신 1.23등급 이내 수험생 1246명 중에서도 의약학 계열에 1137명(91.3%), 이공 계열 일반학과에 109명(8.7%)이 각각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 위주 전형인 정시모집에서도 자연 계열 최상위권은 의약학 계열로 몰렸다. 수능 국어·수학·탐구 영역 백분위 평균이 98.62점(상위 1.38%) 이내인 488명은 전원이 의약학 계열에 진학했고, 이 가운데 87.5%는 의대생이 됐다. 백분위 점수가 98.33점(상위 1.67%) 이내인 652명 가운데에선 98.5%인 642명이 의약학 계열을 선택했다. 의대 진학생은 87.4%였다. 백분위 점수 98.0점(상위 2%) 이내에서는 918명 중 778명(84.7%)이 의약학 계열로 진학했다. 종로학원은 “2025학년도 의대 정원 확대로 최상위권에선 이공계 일반학과보다 의약학 계열로 집중되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며 “의약학 계열보다 이공계 일반학과 합격선이 더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부모들이 학폭 중재 나섰더니… 학폭위 안 가고 81% 해결

    부모들이 학폭 중재 나섰더니… 학폭위 안 가고 81% 해결

    학교폭력(학폭) 건수와 관련 소송이 매년 늘어나는 가운데 지역 학부모들이 중재자로 나서 8개월간 20여건의 학폭 문제를 조정·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눈높이에서 학생·학부모와 소통한 게 효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서울시 북부교육지원청은 ‘학부모 관계가꿈 지원단’이 작년 11월부터 올해 7월까지 초등학교 13건, 중고교 14건 등 총 27건의 학폭 사안 관계 조정을 시도해 22건(81%)의 조정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가운데 10건은 학부모 간 갈등으로까지 번진 심각한 사안이었다. 학폭의 경우 학교장 자체 해결이 어려우면 교육지원청에서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를 개최한다. 학폭위에서는 피해 학생 보호, 가해 학생 선도 조치 등을 내리는데 갈등이 심한 경우 소송 등 법적 다툼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학부모 관계가꿈 지원단은 학폭위가 열리기 전 학교 안에서 사안을 자체 해결하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서울에선 처음 만들어진 학부모 지원단이다. 지원단 운영 기간에 북부교육지원청이 접수·심의한 학폭위 건수가 162건임을 고려하면 조정 22건은 많은 편이라는 게 지원청의 설명이다. 지원단에서는 지역 학부모 총 20명이 활동 중인데 이 가운데 자녀가 학폭에 연루됐던 경험으로 학폭 문제에 관심을 가진 부모들도 있다. 학폭 조정에서 가장 중요한 건 갈등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신속하게 서로의 입장을 듣는 것이다. 고화정 학부모 관계가꿈 지원단 대표는 “학부모 마음으로 양쪽 이야기를 충분히 경청하고 공감하면 격했던 감정이 사그라들고 오해가 풀리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얼굴도 안 보겠다던 학생들 사이에 지원단이 다리를 놓으면서 가해자 사과로 이어져 해결되기도 한다”며 “교사도 ‘이게 되네?’라며 놀란다”고 덧붙였다. 신재영 북부교육지원청 학교통합지원센터 장학사는 “최근 소모적인 갈등이 많아 학교도 많은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런 고충을 줄여 주는 대안이 될 것”이라고 했다.
  • “학폭 해결, 이게 되네?”…지역 학부모가 중재 나서 갈등 풀었다

    “학폭 해결, 이게 되네?”…지역 학부모가 중재 나서 갈등 풀었다

    “선생님들도 ‘이게 되네?’라고 하시기도 해요.” 학교폭력(학폭) 건수와 소송이 매년 늘어나는 가운데 서울 지역 학부모들이 중재자로 나서 8개월간 20여건의 학폭 문제를 조정·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선 처음으로 학부모가 참여한 서울시북부교육지원청의 ‘학부모 관계가꿈 지원단’ 얘기다. 고화정 학부모 관계가꿈 지원단 대표는 24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원단 활동에 대해 학교도 긍정적”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서울시북부교육지원청에 따르면 학부모 관계가꿈 지원단은 작년 11월부터 올해 7월까지 초등학교 13건, 중·고교 14건 등 총 27건의 학폭 사안 관계 조정을 시도해 22건(81%)의 조정에 성공했다. 이 가운데 10건은 학부모 간 갈등까지 번진 심각한 사안이었다. 지원단 운영 기간 북부교육지원청이 접수·심의한 학폭위 건수가 162건임을 고려하면, 조정 22건은 많은 편이라는 게 지원청의 설명이다. 학폭의 경우 학교장 자체 해결이 어려우면 교육지원청에서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를 개최한다. 학폭위에서는 피해 학생 보호, 가해 학생 선도 조치 등을 내리는데 갈등이 심한 경우 소송 등 법적 다툼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학부모 관계가꿈 지원단의 역할은 학폭위가 열리기 전 학교 안에서 사안을 자체 해결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지원단에는 지역 학부모 총 20명이 활동 중이다. 이 가운데 자녀가 학폭에 연루됐던 경험으로 학폭 문제에 더 관심을 갖게 된 학부모도 있다. 그러다보니 갈등 사안에 더 깊이 공감할 수 있다고 한다. 고 대표는 “학교폭력 갈등에도 골든타임이 있다. 양쪽 이야기를 최대한 듣는 게 해결의 시작”이라며 “학부모 마음으로 충분히 경청하고 공감하다보니 격했던 감정이 사그라들고 오해가 풀린다”고 말했다. 시교육청은 이런 조정이 학폭 문제를 처벌 중심에서 예방·회복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 있다. 신재영 북부교육지원청 학교통합지원센터 장학사는 “최근 소모적인 갈등이 많아 학교도 많은 고충을 겪는데 이를 줄여주는 대안이 될 것”이라며 “학교 관계자들의 협조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했다.
연관검색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