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환경 등 4부문 긍정적 평가/한국가입 어느단계 와있나
◎투자자유화 일정 당겨 7월통과 노력/3개부문 이미 통과… 빠르면 9월비준
우리나라가 선진국들의 모임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가입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필수코스인 7개 위원회중 해운,보험,금융시장 등 3개위원회는 이미 통과했고 자본이동 및 경상무역외거래(CMIT),국제투자 및 다국적기업(CIME),환경,재정 등 4개위원회를 남겨놓고 있다.지난 16일 열린 노동위원회를 비롯,농업,경제발전검토,무역 등 4개위원회는 검토의견만 내도록 돼있기 때문에 필수코스는 아니지만 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그러나 제3자 개입금지와 복수노조 금지 등 문제조항에 대해 정부가 전향적으로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가입에 걸림돌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현재로서는 연내 가입에 별 어려움이 없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향후일정◁
OECD 가입의 최대난관으로 지난 11·12일 파리에서 열린 CMIT,CIME 양대자유화 규약위원회 1차회의에서는 현황보고만 이뤄져 일단 긍정적인 평가를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정부는오는 6월쯤 향후 우리 정부의 자유화계획 일정을 제출한 뒤 7월초쯤 열릴 2차회의에서 통과여부를 심사받는다.증권 외환 채권 상업차관 등 자본이동부문의 자유화보다는 외국인투자 제한업종 축소,97년부터 허용될 외국인 기업인수합병(M&A)허용범위 명시 등 투자부문의 자유화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전체적으로 거시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자유화를 추진한다는 기본방침에는 변함이 없으나 자유화 일정이 상당부분 앞당겨지는 것은 불가피해 보인다.
현재로서는 7월초 2차회의때 통과가 유력시된다.그럴 경우 7월말쯤 OECD 이사회에서 우리나라의 가입을 초청하고 9월쯤 국회비준을 거쳐 가입서를 기탁하면 정식으로 회원국이 된다.만일 2차회의에서 통과되지 않을 경우 3개월쯤 뒤인 10월초쯤 3차회의까지 거쳐 연말쯤 국회비준이 이뤄지는 식으로 늦어질 수밖에 없으나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5월 10일 열릴 환경위원회와 6월26일 열릴 재정위원회는 폐기물질 처리 등에 있어서 우리나라가 OECD 규정을 앞서가고 있고,OECD의 국제조세기준을 우리나라가 이미 작년 법개정으로 수용한 상태여서 문제될 것이 전혀 없는 상태다.
▷가입심사 완료분야◁
지난 2월28일 금융시장위원회에서 우리나라는 통화정책을 직접규제에서 벗어나 공개시장 조작 위주의 선진국형 간접규제방식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으나 구체적인 시기는 밝히지 않았다.채권시장 개방 요구에 대해서는 국내외 금리차가 큰 상황에서 일률 개방은 어렵다는 입장이다.컨트리펀드 등을 통해 외국인의 간접 채권투자를 허용하는 등 단계적으로 허용할 계획이다.지준율을 평균 2% 포인트 인하했고 증안기금은 내달 3일 해체할 예정이다.
지난해 11월 해운위원회와 12월 보험위원회는 무난히 통과됐다.원유 가스 등 대형 벌크화물을 운송할 때 일정비율 이상 한국국적선을 이용하도록 한 지정화물제도는 99년초부터 폐지하기로 했다.재보험을 외국회사에도 허용하는 등의 제도는 이미 보험산업발전방안에 포함됐다.
▷OECD란◁
시장경제체제와 민주정치체제를 갖추고 있는 선진국들이 세계경제 발전과 자유무역의 확대를 위해 설립한경제정책 협의기구다.현재 회원국은 26개국으로 WTO협상에 참여한 1백25개국의 5분의1에 불과하나 경제규모는 전세계 GDP의 85%를 넘어 세계경제를 주도하는 국가들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김주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