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효백의 ‘차이니즈 나이트’
세계인구의 1/5인 12억6,000만명을 차지하는 중국.이 광활한 나라에관한 우리의 지식이 실상과 너무 동떨어져 있다는 사실을 중국문제전문가 강효백은 절감했다.그래서 머리를 비운 뒤 중국 전역을 누비며 사람들을 만났다.‘차이니즈 나이트’(전2권,한길사)는 그 결과물이다.온갖 분야의 구석구석까지 중국과 중국인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보여준다.
지난 76년 마오쩌둥(毛澤東)이 사망했을 때나,97년 덩샤오핑(鄧小平)이 숨졌을 때도 서방세계는 중국의 대혼란과 국가분열을 예상하는 시나리오를 양산했다.그러나 한결같이 빗나갔다.저자는 중국은 로마가아니라며 “큰 개가 짖는다고 무턱대고 따라 짖지 말라”고 호소한다.중국은 외세의 침입을 당하더라도 그 문화를 녹여버리는 용광로라는것.
정보화시대가 오자 ‘중국은 이제 끝났다’고 많은 사람들이 말했다.
그러나 저자는 인터넷 시대에서 한자는 오히려 중국이 미래를 향해웅비하는 힘의 원천이라고 말한다.문자이자 그래픽으로서 입력 횟수가 적고 압축파일의 힘을 가졌다는 얘기다.
중국의 국가 이데올로기는 경제건설을 중심목표로 삼는 중국특색적사회주의.갈수록 사회주의는 약해지고 중국적인 것만 남는단다.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안정 희구 시각도 전한다.숫자와 관련해 중국인들은 떼돈을 번다는 ‘파차이’(發財)의 첫 글자와 발음이 비슷한 ‘빠’(8)를 가장 좋아한다.고속도로의 거리표지판을 10단위가 아니라 18㎞,28㎞ 식으로 적을 정도다.빨간색을 좋아하는 반면 흰색을 피한다.
주로 빨간 색 봉투에 넣어주는 뇌물은 ‘홍파오’(紅包)라 불린다.반면 경조금이나 뇌물을 흰 봉투에 넣어주면 끝장이다.
상(商)인종인 중국인중에서도 상인의 꽃인 저장(浙江)상인과,무역업을 장악한 광둥(廣東)상인,20대 사장 신화를 만드는 푸젠(福建)상인,금융업을 장악한 산시(山西)상인 등을 높이 평가한다.그러나 지존으로는 상하이(上海)상인을 꼽는다.후베이(湖北)상인은 음흉하나 쓰촨(四川)상인은 성실하다고 한다.베이징(北京)은 정치·문화중심지일 뿐이고 경제·무역·금융중심지는 상하이인데도 한국기업들이 베이징주변에만 진출하는 데 대해 “한국인들은 돈버는곳에는 없고 돈쓰는데서만 우글댄다”고 꼬집는다.
중국인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음식이다.청나라 때 개발돼 세계요리의 정수라 일컬어지는 만한췐시(滿漢全席)는 324종이나 되는 메뉴를 사흘동안 먹는 코스다.사형수에게도 형 집행 전날 밤 진수성찬을차려준다.동물원에도 동물들의 고기 맛을 쓴 안내판이 적지 않다.자장면(炸醬麵)의 원산지 산둥(山東),단맛이 강한 장쑤,매운 요리가 발달된 쓰촨,신선하고 부드러운 광둥을 위시한 10대 요리도 자세히 설명한다.마오타이(茅台)주는 왕년의 챔피언일 뿐 우랑예(五糧液)가 최고의 술이라는 등 술과 차(茶)도 자세히 소개한다.
중국여자와 매춘,동성애 첫경험 이야기 등 흥미진진한 이야기도 꽤있다.늘씬한 미녀 상하이여성과 침대 매너의 귀재 광둥여성 등 지역별 여성 평도 곁들였다.
저자는 중국인의 모순되는 국민성을 중화사상에 기반한 자존심과 교만성,남의 일에 대한 무관심과 자기 이익에 대한 유관심,인내성과 굴종성,평화성과 분한 일을 잊지 않는 투쟁성,포용성과 나태한 정체성등 5가지로 설명한다.넓은 마음으로 비판을 수용·소화·초극해 나가는 것이 오늘날 용솟음치는 중국의 힘의 원동력이라고 말한다.
김주혁기자 jh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