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나무, 경외로운 자연생태 ‘감탄’
인간이 이제까지 더불어 살아왔고,앞으로도 그래야 할 자연의 소중함을 느끼게 하는 보기 드문 책 2종이 나란히 나왔다.나무의 섬세한 특징과 생명체의 자연스런 느낌을 사진보다 훨씬 더 풍부하고 친근하게 드러내는 세밀화(細密畵)로그린 ‘나무도감’과,갯벌의 생태를 총체적으로 보여주는다큐멘터리 그림책 ‘갯벌에 뭐가 사나 볼래요’.보리가 펴낸 두 책 모두 국내 첫 시도다.공 들인 냄새가 풀풀 나고,그 정성이 헛수고가 아니었음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우리나무 120종과 관련한 세밀화 425점을 담은,어린이도감시리즈 제1권 ‘나무도감’은 6년 간의 준비 끝에 빛을 봤다.수록할 나무를 고르고,강원도부터 제주도까지 두루 취재한 뒤,그림 한 점을 그리는 데 보통 보름넘게 걸렸다.나무박사인 임경빈 서울대 명예교수에게 감수까지 받았다.그 결과 꽃사과를 능금나무로 잘못 알고 그림을 그린 경우 등이발견됐다.그런 그림을 다시 그리다보니 책을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나무마다 생태 뿐 아니라 식용 열매와 약재,집짓기 및 살림살이 재료 등인간에게 도움이 된 쓰임새까지 이야기 식으로 쉽게 풀어썼다.찾아보기 쉽게 가나다 순으로 싣되 학명이나 분류법,우리이름으로도 찾아볼 수 있도록 부록에 담았다.참꽃이나 두견화를 찾으면 진달래가 나온다.
새순이 돋고,잎이 우거졌다가,단풍이 들고,잎이 진 느티나무의 사계를 보면 자연의 섭리에 절로 감탄하게 된다.책값5만원이 아깝지 않다.도토리가 기획했고,이제호·손경희 화백이 그림을 맡았으며,임경빈 교수 등이 글을 썼다.세밀화로 그린 ‘곤충도감’은 가을에 나온다.
‘어린이 갯살림’ 그림책 첫째권인 ‘갯벌에 뭐가 사나 볼래요’ 역시 서해안 변산반도 갯벌에 사는 생물 100여종을낱낱이 취재하고 사진 찍은 뒤 마을사람들로부터 들은 이야기까지 보태 글과 그림을 완성한 땀의 산물이다.
책을 보다 보면 실제로 갯벌 한가운데 서있는 듯한 착각이들 정도로 현장감이 살아있다.갯게 바지락조가비 등 생명체들을 일일이 확인하노라서 보물과도 같은 갯벌의 소중함을다시 한번 되새기게 된다.갯벌은 사람들에게 먹거리를 제공하는 원천이기도 하다.도토리가 기획하고 제종길 화백이 세밀화를 그렸다.
보리는 앞으로 어린이 갯살림,산살림,들살림 그림책을 각각10종 정도씩 꾸준히 펴낼 계획이다.
어린이 뿐 아니라 부모들까지도 함께 읽으며 자연과 생명체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책들이다.
김주혁기자 jh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