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정은
    2025-11-23
    검색기록 지우기
  • M
    2025-11-23
    검색기록 지우기
  • 수영
    2025-11-23
    검색기록 지우기
  • 여성
    2025-11-2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0,076
  • [서울포토] 긴장감 고조되는 베트남 둥당역

    [서울포토] 긴장감 고조되는 베트남 둥당역

    24일 김정은 위원장이 하차할 것으로 예상되는 둥당역에 수색인력들이 배치되고 있다. 2019.2.24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김정은 경호팀·차량, 하노이 도착해 멜리아 호텔로 이동

    김정은 경호팀·차량, 하노이 도착해 멜리아 호텔로 이동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경호팀과 차량 등을 태운 고려항공 수송기가 오늘(24일)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지인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했다. 고려항공 ‘P-914’라고 적힌 북한 화물기 ‘일루신-76’ 기종이 오늘 오전 9시 20분쯤(현지시간) 하노이 외곽 노이바이 공항에 착륙했다고 현지언론이 보도했다. 김 위원장의 경호원들로 추정되는 검정색 양복 차림을 한 남성 100여 명이 활주로에서 3열 종대로 이동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이어서 오전 10시 20분쯤 번호판이 없는 검정색 SUV 랜드크루저 2대가 베트남 경찰차를 앞세우고 VIP용 건물 입구를 빠져나갔다. 이들 차량은 김 위원장의 경호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 또 북측 인사들을 태운 18∼25인승 버스 여러 대와 검정색 트럭 2대도 뒤따랐다. 이들 차량은 김 위원장의 숙소로 추정되는 하노이 시내 멜리아 호텔로 이동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 [포토] 베트남 하노이 공항에 도착한 北 김정은 경호원들

    [포토] 베트남 하노이 공항에 도착한 北 김정은 경호원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경호원들이 24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공항에 도착해 비행기에서 내려 이동하고 있다. 김 위원장을 근접 경호하는 요원들로 추정되는 검정색 양복 차림의 남성들이 활주로에서 3열 종대로 이동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 VN 익스프레스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이동한 이 남성들이 100명가량이라고 보도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 멜라니아-리설주, ‘퍼스트레이디 첫 만남’ 불발될 듯

    멜라니아-리설주, ‘퍼스트레이디 첫 만남’ 불발될 듯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북미정상회담 참석을 위해 어제(24일) 오후 평양역에서 베트남 하노이로 출발했다. 이번 회담에는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김여정 당 제1부부장 등이 참석한다. 다만, 김 위원장의 부인 리설주 여사는 동행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정상회담은 지난해와 달리 1박 2일로 늘어난 데다 만찬 일정이 추가될 수 있어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와 리설주 여사와의 첫 만남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리 여사가 김 위원장의 국빈 방문 등 주요 일정에 동행한 바 있어 더욱 기대감이 높았다. 하지만 김 위원장의 전용 열차에 리 여사가 호명되지 않으면서 두 퍼스트레이디의 만남은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해 열린 북미정상회담에서는 멜라니아 여사가 건강 문제로 회담에 참석하지 못했다. 리설주 여사가 불참하는 이유는 멜라니아 여사 역시 트럼프 대통령과 동행하지 않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그간 여러 외신도 멜라니아 여사가 이번 베트남 방문에 동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때문에 리 여사는 상대국 의전에 맞추는 관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3차 북미정상회담을 언급하는 등 북한의 비핵화 협상이 장기전으로 이어질 것을 염두에 두고, 두 퍼스트레이디의 ‘첫 만남’이라는 흥행 카드를 미뤘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 [서울포토] 김정은 이동경로 폭발물 수색작업하는 베트남 군인들

    [서울포토] 김정은 이동경로 폭발물 수색작업하는 베트남 군인들

    24일 김정은 위원장이 지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베트남 1번 고속로에서 군인들이 폭발물 수색 작업을 펼치고 잇다. 2019.2.24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서울포토] 폭발물 수색작업 펼치는 베트남 군인들

    [서울포토] 폭발물 수색작업 펼치는 베트남 군인들

    24일 김정은 위원장이 지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베트남 1번 고속로에서 군인들이 폭발물 수색 작업을 펼치고 잇다. 2019.2.24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서울포토] ‘하노이서 인기만점인 김정은 티셔츠’

    [서울포토] ‘하노이서 인기만점인 김정은 티셔츠’

    24일 베트남 하노이의 한 상점에서 베트남 시민이 김정은과 트럼프의 얼굴이 그려진 티셔츠를 구입하고 있다. 2019.2.24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서울포토] 긴장감 흐르는 ‘김정은 숙소’ 멜리아 하노이 리조트

    [서울포토] 긴장감 흐르는 ‘김정은 숙소’ 멜리아 하노이 리조트

    24일 김정은 위원장의 숙소로 확정된 베트남 하노이 멜리아 하노이 리조트에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2019.2.24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서울포토] 베트남서 인기만점인 트럼프·김정은 티셔츠

    [서울포토] 베트남서 인기만점인 트럼프·김정은 티셔츠

    24일 베트남 하노이시의 한 상점에 김정은과 트럼프의 얼굴이 그려진 티셔츠가 판매되고 있다. 2019.2.24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서울포토] ‘트럼프·김정은 기념 티셔츠 어때요?’

    [서울포토] ‘트럼프·김정은 기념 티셔츠 어때요?’

    24일 베트남 하노이의 한 상점에서 베트남 시민이 김정은과 트럼프의 얼굴이 그려진 티셔츠를 구입하고 있다. 2019.2.24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김정은, 전용열차로 평양 출발…“베트남 공식 친선 방문”

    김정은, 전용열차로 평양 출발…“베트남 공식 친선 방문”

    김여정·김영철·리수용 등 동행…리설주 언급 없어외신 “23일 오후 3시 출발…9시반 中 단둥 도착”평양~하노이 4500km…열차 이동시 60시간 여정 광저우서 항공기 탑승 가능성…과거 김일성 사례전용기 참매1호, 안전성 우려 탓에 열차 선호한듯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23일 오후 평양에서 출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4일 공식적으로 보도했다. 김 위원장과 함께 김영철·리수용·김평해·오수용 노동당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 노광철 인민무력상, 김여정 당 제1부부장, 최선희 외무성 부상 등이 동행했다고 중앙통신은 전했다. 그러나 부인 리설주 여사의 동행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중앙통신은 또 김 위원장이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겸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곧 베트남을 공식 친선방문한다.”라며 “방문기간 두 나라 최고지도자들의 상봉과 회담이 진행된다.”라고 전했다. 다만 구체적인 공식 친선방문의 기간은 언급하지 않았다.평양역에는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최룡해 당 부위원장, 박봉주 내각 총리 등 당과 정부, 군 간부들이 나와 김 위원장을 환송했다. 앞서 김 위원장이 승차한 것으로 추정되는 한 특별열차 한대가 23일 저녁 북·중 접경 지역인 중국 단둥(丹東)을 통과했다고 대북소식통이 밝혔다. 평양에서 하노이까지 총 4500㎞로, 26일 오전에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한다고 본다면 무려 60여 시간의 대장정에 오른 셈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김 위원장이 탑승한 것으로 보이는 열차가 이날 오후 9시 30분쯤(현지시간) 북한에서 넘어와 단둥 기차역을 통과했다. 단둥역 주위에는 중국 공안 차량과 공안이 배치됐으며, 역에는 붉은 주단이 깔렸고, 특별열차는 40여분간 정차했다가 다시 출발했다고 전했다.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등에서는 중국 고위급 전용 열차가 동북 지역으로 향했다는 목격담도 쏟아져, 관례대로 쑹타오(宋濤)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단둥역에서 가서 김 위원장을 맞이했을 가능성이 높다. AP도 김 위원장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는 열차가 중국으로 넘어왔다고 보도했다. 러시아 이타르타스 통신은 북한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이날 오후 5시에 김정은 위원장이 전용 열차로 평양에서 출발했다고 전했다. 이 열차가 베이징(北京)을 거쳐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베트남 하노이로 간다면 베이징에는 24일 오전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김 위원장이 중국에서 비행기로 바꿔 탈 가능성도 제기된다. 광저우(廣州)까지 열차로 이동한 뒤 광저우에서 하노이까지는 과거 김일성 주석의 선례에 따라 항공편을 이용할 가능성도 있다. 광저우에는 이미 23일부터 25일까지 일부 열차가 임시로 운행을 정지한다는 공고가 뜬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 운행 중지된 임시 열차 대부분은 창사에서 출발하는 편들이다. 김정은 위원장이 3∼4시간이면 하노이까지 갈 수 있는 전용기 ‘참매 1호’를 놔두고 60여 시간이 걸리는 특별열차를 택한 것은 정권계승 정통성과 중국이라는 배경, 신변안전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참매1호는 장거리 운항에 대한 안전성, 장거리 운항 경험이 부족한 조종사, 이륙 후의 운항 루트 노출 등에서 취약하다. 김 위원장은 열차로 중국을 거처 베트남을 방문했던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과 남순강화(南巡講話) 루트를 방문했던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발자취를 따르면서 북한의 정권 계승자로서 정통성을 대내외에 과시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김일성 주석은 1958년과 1964년 두 차례 베트남을 방문하면서 평양에서 베이징까지 열차를 이용해 이동한 뒤 중국 항공기를 타고 베트남에 도착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역시 방중시 전용 열차를 이용하는 등 ‘열차 방문’은 북한 3대 세습의 정당성을 상징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특히 김 위원장이 열차로 베트남에 갈 경우 북미 정상회담과 더불어 중국 시찰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김일성 주석의 1차 베트남 방문 때와 마찬가지로 베트남 방문 전후로 우한(武漢)이나 광저우를 들러 시찰을 할 수 있다. 김일성 주석은 당시 마오쩌둥(毛澤東·1893∼1976) 전 국가 주석이 중국 공산당 회의 참석차 머물던 우한으로 이동했다. 이후 마오 주석과 함께 광저우로 이동해 인근 지역을 둘러봤다. 또다른 이유는 비핵화와 경제개방, 대북 제재 완화 등 국가의 운명을 결정할 중요 의제를 다루는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중국이라는 카드가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도 있다. 김 위원장이 중국 대륙을 관통해 하노이에 입성함으로써 중국이 혈맹으로서 북한을 존중한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과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 김정은 탑승 추정 열차 단둥 통과…26일 하노이 도착할 듯

    김정은 탑승 추정 열차 단둥 통과…26일 하노이 도착할 듯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탑승한 것으로 추정된 북한 특별열차가 23일 저녁 북·중 접경 지역인 중국 단둥(丹東)을 통과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오후 김 위원장이 탑승한 것으로 보이는 열차는 오후 9시 30분(현지시간) 북한에서 넘어와 단둥 기차역을 통과했다. 출발지인 평양에서 목적지인 베트남 하노이까지는 총 4500km, 기차로 60여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이 열차가 베이징(北京)을 거쳐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베트남 하노이로 간다면 베이징에는 24일 오전, 하노이에는 26일 오전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 열차가 지나가기 전에 단둥역 앞에는 중국 공안 차량 수십 대와 공안이 배치돼 도로가 통제됐다. 베트남으로 들어가는 중국 접경 지역인 핑샹으로 이어지는 난닝-핑샹 노선 또한 48시간 내 설비 검사를 완료하라는 지시가 떨어졌고, 핑샹역은 대대적인 수리를 벌이고 있는 등 중국 철도 상황은 평소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 위원장은 광저우까지 열차로 이동한 뒤 광저우에서 하노이까지는 과거 김일성 주석의 선례에 따라 항공편을 이용할 가능성도 있다. 광저우에는 이미 23일부터 25일까지 일부 열차가 임시로 운행을 정지한다는 공고가 떴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 러 언론 “김정은, 전용열차로 하노이 향해 평양 출발”

    러 언론 “김정은, 전용열차로 하노이 향해 평양 출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3일 오후 전용열차를 타고 북미 2차 정상회담이 열리는 베트남 하노이로 향했다고 러시아 언론이 보도했다. 이타르타스 통신은 북한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김정은 위원장이 오후 5시에 전용열차로 평양에서 출발했으며 이 열차로 중국을 관통해 베트남에 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평양에서 하노이까지는 총 4500㎞에 달하며 열차 이용 시 48시간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앞서 베트남 외교부는 이날 페이스북 페이지와 공식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 위원장이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겸 국가주석의 초청을 받아 수일 내에 베트남을 공식 우호 방문(official friendly visit)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트남 당국의 통제를 받는 현지 언론은 지난 22일 밤늦게 베트남 도로총국이 현지시간으로 26일 오전 6시부터 오후 2시까지 랑선성 동당시∼하노이 170㎞ 구간에서 모든 차량의 통행을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가 삭제했다. 베트남에서 도로가 통제된 것은 전례 없는 일로 도로를 통제한 채 승용차로 동당역에서 하노이까지 이동하면 2∼3시간 걸린다. 김 위원장은 이 특별열차를 타고 26일 오전 동당역에 도착한 뒤 국도 1호선을 따라 승용차로 하노이까지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 김정은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오는 27~28일 하노이에서 북미 2차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 [서울포토] ‘김정은 위원장이 머물’ 베트남 숙소

    [서울포토] ‘김정은 위원장이 머물’ 베트남 숙소

    23일 김정은 위원장의 숙소로 확정된 베트남 하노이 멜리아 하노이 리조트에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트럼프 전용 리무진 ‘캐딜락 원’ JW메리어트 호텔에 등장

    트럼프 전용 리무진 ‘캐딜락 원’ JW메리어트 호텔에 등장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을 나흘 앞둔 23일 미국 대통령 전용 리무진 차량이 베트남 하노이의 JW메리어트 호텔에서 포착됐다. JW메리어트 호텔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숙소로 일찌감치 거론됐던 만큼, 대통령 전용 차량의 도착은 이 호텔이 트럼프 대통령의 숙소로 확정됐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육중한 외관 덕에 ‘비스트’(Beast·야수)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미 대통령 전용 리무진 차량 ‘캐딜락 원’ 두 대는 이날 오전 JW메리어트 호텔에 도착했다.미국 측 관계자들은 이후 ‘캐딜락 원’ 앞을 검은색 밴 차량으로 막아 취재진이 사진이나 영상을 찍는 호텔 바깥 도로 쪽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했다. 특히 호텔 내 베트남 측 경호 관계자들은 ‘캐딜락 원’을 찍은 일부 사진기자들의 카메라를 확인한 뒤 사진을 지울 것을 요구하는 등 경호에 각별히 신경을 쓰는 모습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1차 북미 정상회담 당시 센토사섬 카펠라 호텔에서 회담을 마친 뒤 건물 밖 정원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산책하던 중 김 위원장에게 ‘캐딜락 원’ 내부를 살짝 보여줘 눈길을 끌었다. 앞서 미국 측은 지난 20일 대형 C-17 수송기 편으로 대통령 전용 헬기 ‘마린 원’을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을 통해 공수하기도 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 김정은, 베트남 ‘국빈방문’ 아닌 ‘공식방문’하는 까닭은

    김정은, 베트남 ‘국빈방문’ 아닌 ‘공식방문’하는 까닭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을 공식 방문(official visit)한다고 베트남 정부가 23일 발표했다. 방문 대상국이 모든 경비를 부담하는 최상급 예우의 국빈 방문(state visit)이 아닌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은 중국 대륙을 관통해 베트남 접경까지 전용열차로 이동한 뒤 수도인 하노이까지는 전용차량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베트남 외교부는 이날 페이스북 페이지와 공식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 위원장이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겸 국가주석의 초청을 받아 수일 내에 베트남을 공식 우호 방문(official friendly visit)할 것”이라고 밝혔다.그러나 김 위원장의 구체적인 방문 시기는 공개하지 않았다. 국가정상의 해외방문에서 공식 방문은 국빈 방문보다는 낮지만, 실무방문(working visit)보다는 높은 의전 등급이다. 이는 김 위원장이 베트남을 방문하는 주된 목적이 베트남 주석과의 정상회담보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2차 북미정상회담이라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베트남 측은 형식은 공식방문으로 하되, 실질적으로는 국빈에 준하는 수준으로 예우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이런 가운데 김 위원장이 2차 북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6일 오전 기차로 중국과 국경을 접하는 베트남 랑선성 동당역을 통해 입국한 뒤 승용차로 북미정상회담 개최지인 하노이까지 이동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동당역은 김 위원장의 비서실장 격인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 등 의전팀이 지난 17일 전격 방문했고, 최근 보수공사를 이유로 역사 출입이 차단됐다. 또 동당역에서부터 하노이까지는 승용차로 이동하는 것이 기차를 타는 것보다 시간을 단축하는 경로여서 김 위원장이 특별열차로 이곳에 도착한 뒤 승용차로 하노이에 입성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꾸준히 나왔다.당국의 통제를 받는 현지 언론은 지난 22일 밤늦게 베트남 도로총국이 현지시간으로 26일 오전 6시부터 오후 2시까지 랑선성 동당시∼하노이 170㎞ 구간에서 모든 차량의 통행을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고 잇달아 보도했다가 일제히 삭제했다. 베트남에서 이 같은 도로 통제는 전례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김 위원장이 특별열차를 타고 26일 오전 동당역에 도착한 뒤 국도 1호선을 따라 승용차로 하노이까지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을 낳고 있다. 도로를 통제한 채 승용차로 동당역에서 하노이까지 이동하면 2∼3시간 걸린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 [서울포토] ‘솔드 아웃’ 될 티셔츠

    [서울포토] ‘솔드 아웃’ 될 티셔츠

    23일 베트남 하노이의 한 상점에서 베트남 시민이 김정은과 트럼프의 얼굴이 그려진 티셔츠를 구입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베트남 “김정은 수일 내 국빈 방문” 발표, 26일 오전 유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수일 내에 베트남을 공식 방문할 예정이라고 베트남 정부가 23일 발표했다. 베트남 외교부는 이날 페이스북 페이지와 공식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 위원장이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겸 국가주석의 초청을 받아 수일 내에 베트남을 공식 우호 방문(official friendly visit)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구체적인 방문 시기는 공개하지 않았다. 국가정상의 해외방문에서 공식 방문(official visit)은 방문 대상국이 모든 경비를 부담하는 최상급 예우의 국빈 방문(state visit)보다는 낮지만, 실무방문(working visit)보다 높은 의전 등급이다. 이는 김 위원장이 베트남을 방문하는 주된 목적이 베트남 주석과의 정상회담보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2차 북미정상회담이라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베트남 측은 형식은 공식방문으로 하되, 실질적으로는 국빈에 준하는 수준으로 예우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2차 북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6일 오전 특별열차로 중국과 국경을 접하는 베트남 랑선성 동당역을 통해 입국한 뒤, 승용차로 북미정상회담 개최지인 하노이까지 이동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동당역은 김 위원장의 비서실장 격인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 등 의전팀이 지난 17일 전격 방문했고, 최근 보수공사를 이유로 역사 출입이 차단됐다. 동당역에서부터 하노이까지 국도 1호선 노선은 승용차 이동 시 2~3시간 소요되며, 기차 탑승보다 시간이 덜 걸리는 점도 이런 관측에 무게를 더한다. 현지 언론은 지난 22일 밤늦게 베트남 도로총국이 현지시간 26일 오전 6시부터 오후 2시까지 랑선성 동당시∼하노이 170㎞ 구간 모든 차량의 통행을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고 잇달아 보도했다가 일제히 삭제했다. 베트남에서 이런 도로 통제는 전례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 베트남 “김정은, 수일 내 국빈 방문” 발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수일 내에 베트남을 국빈 방문할 예정이라고 AFP통신과 로이터통신 등이 23일 베트남 관영 매체를 인용해 보도했다. 베트남 관영 매체는 “김 위원장이 며칠 내에 베트남을 공식 방문한다”고 전했다. 로이터통신도 김 위원장이 응웬 푸 쫑 베트남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수일 내 국빈 방문한다고 베트남 외교부를 인용해 보도했다. 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을 한다. 베트남 현지 언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조만간 열차 편으로 평양을 떠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을 경유해 베트남에 입국한 뒤 하노이까지는 승용차 편으로 가는 방안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 北美실무협상‘ 사흘새 4번, 김혁철·비건, 영빈관·대사관 ’셔틀 협상‘

    北美실무협상‘ 사흘새 4번, 김혁철·비건, 영빈관·대사관 ’셔틀 협상‘

    김혁철 북한 국무위원회 대미특별대표와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23일 제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지인 베트남 하노이에서 사흘째 ‘의제’ 관련 실무협상을 가졌다. 양측이 20일 오후 현지에 도착해 21일 처음 회동한 것을 시작으로 주말까지 쉼없이 사흘 연속 마주한 것이다. 김혁철 대표는 이날 오전 8시50분(현지시간)쯤 숙소인 베트남 정부 게스트하우스(영빈관)를 출발, 비건 대표의 숙소인 ‘파르크 호텔’에서 한 시간 가량 실무협상을 가졌다. 양측은 영변 핵시설 폐기와 평화선언, 연락사무소 개설 등 비핵화 조치 및 상응조치를 정상회담 합의문에 어떻게 담을지에 대해 치열한 논의를 벌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날도 북한 측에서는 김성혜 통일전선부 통일책략실장과 최강일 외무성 북아메리카국 부국장 등이 동행했다. 한번 앉으면 4∼5시간 가량 회동했던 앞선 협상과는 달리 이날 오전 협상은 일단 한 시간 만에 첫 접촉이 마무리됐다. 일부 의제에서 의미있는 진전이 있었는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비건 대표는 이날 오전 협상을 마치고 호텔을 나서며 차량에 탑승할 때 취재진에 엄지를 치켜드는 여유도 보였다. 비교적 짧은 시간에 오전 협상을 마친 뒤 미측 대표가 언론을 향해 이례적으로 자신있는 모습을 보였다는 점에서 협상 분위기가 나쁘지 않은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양측은 21일 오후, 22일 낮과 저녁에도 비건 대표의 숙소인 파르크 호텔에서 만나 총 12시간 가량에 걸친 ‘마라톤 실무협상’을 진행했다. 사흘 연속해 북한 측이 미국 측 숙소를 찾아간 것으로, 시설 보안, 편의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27∼28일)이 임박한 만큼 양측이 실무협상 장소에 대한 신경전은 불필요하다는 판단도 한 것으로 보인다. 또 양측 모두 빈번히 본국과 소통하며 협상 전략을 실시간 조율했다. 진척 상황을 워싱턴, 평양에 그때 그때 보고하며 새로운 지침을 받는 것 아니겠냐는 분석이다. 비건 대표는 지난 22일 협상 후 주베트남미국대사관을 들른 데 이어 북한 측과의 저녁 회동 후에도 다시 대사관을 찾았다. 23일 오전 회동에 앞서 새벽에도 대사관을 방문했다. 김혁철 대표와 함께 실무협상장에 동행한 김성혜 통일전선부 통일책략실장 역시 22일 협상 중간 여러 차례 홀로 숙소로 돌아왔다가 복귀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구체적인 베트남 방문 일정 개시도 점차 가시화하고 있다. 앞서 미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22일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의 2차 정상회담을 위해 25일 하노이로 출발한다고 전했다. 또 김 위원장이 베트남에 가기 위해 전용 열차를 이용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는 가운데 북·중 접경인 중국 단둥을 통제하는 동향도 포착되고 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