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정숙
    2025-09-01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589
  • ‘교과서 편파기술’ 설전

    ‘검정 중·고 역사교과서 편파기술’ 문제로 1일 정치권이 논란에 휩싸이고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가 위원장 직권으로 소집됐지만,정작 회의는 예상과 달리 비교적 밋밋하게 끝났다. 한나라당은 정치권과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와 함께 책임규명을 요구하는 등 장내외에서 파문 확산에 주력했다.김정숙(金貞淑) 최고위원은 이날 “교육부가 검정위원 선정과정에서 교육과정평가원의 추천의견을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주도했으며,이 과정에서 정치외압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국회 교육위의 박창달(朴昌達) 의원도 “교과서가 정권의 홍보지로 전락한 데는 무서운 음모가 도사리고 있다.”며 국정감사 실시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설훈(薛勳) 의원은 “근·현대사의 기술 문제는 학계에서도 의견이 분분하지만,임기가 끝나지 않은 현 정부를 대상에 포함한 것은 잘못됐다.”면서 “문제의 내용을 삭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설 의원은 또“한나라당이 이번 일로 현 정권을 판단하려 하지만,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이해를 가진 국회의원이현 정부의 공과를 논하는 것도 무의미하고,정쟁으로 흐를 소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미경(李美卿)·송영길(宋永吉) 의원 등은 “이번에 통과된 4개 교과서 가운데 두 가지는 현 정권의 공과(功過)를 함께 실었는데 음모론이 나오는 게말이 되느냐.”면서 “5,6공뿐 아니라 문민정부 시절까지 정권 미화작업이 극에 달해도 전혀 문제제기가 없었는데,한나라당이 너무 호들갑을 떨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상주(李相周) 교육부총리는 답변에서 “외부의 힘이 의도적으로 교과서제작과 검증에 적용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면서 “탈락한 교과서들이 도리어 문민정부를 더 비판적으로 기술하고 있어 의도가 있었다면 오히려 그 책을 선정했어야 했다.”고 해명했다.이어 “언론도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지만 현 정권을 지금 기술하는 데는 공정성에 문제는 있다.”면서 “그런 각도에서 (문제의 교과서는) 수정돼야 한다고 본다.”고 답했다. 이지운기자 jj@
  • 정치 뉴스라인/ ‘정부치적 부각 교과서’설전 등

    ◆'정부치적 부각 교과서'설전 30일 국회 교육위에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현 정부의 치적을 비중있게 다룬 고교 2,3학년용 일부 교과서를 검정통과시킨 데 대해 한나라당,민주당 의원들간 설전이 벌어졌다. 한나라당 현승일(玄勝一) 의원은 “현 정권의 힘있는 사람이 4개 출판사에 현 정부의 치적을 기술하라고 압력을 가한 것이 아니냐.”고 추궁했고,김정숙(金貞淑) 의원은 “청와대비서실장과 교육부총리의 야심작 아니냐.”고 언성을 높였다. 이에 민주당 이미경(李美卿) 의원은 “언론보도대로 역대 정부는 비판하고,현정부에 대해선 비판이 없다면 문제”라고 전제하고 “하지만 확실한 자료가 뒷받침되지 않은 가운데 발언이 계속되면 정치공방으로 비쳐질 수 있다.”며 자제를 주문했다. ◆홍준표 정보위원 자격 신경전 30일 한나라당 홍준표(洪準杓) 의원의 정보위원 보임과 관련,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신경전을 펼쳤다. 민주당이 안기부예산 유용사건의 김기섭 전 안기부 기조실장 변호인으로 활동해 왔기 때문에 제척사유가 된다며 홍 의원의 정보위원 선임 철회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홍 의원이 변호인 사임계를 제출했다는 점을 들어 보임철회 요구를 일축하고 “민주당식 논리라면 새로 보임된 천용택(千容宅) 의원도 국정원장 재직시 야당 탄압에 앞장섰다.”고 역공을 폈다.
  • 이회창 2차정책투어 “”정책으로 승부””

    오는 연말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국민 속으로의 정치’를 표방하고 있는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대통령후보가 19일 경기도 안양지역에서 제2차 정책투어를 가졌다.주택문제를 놓고 지난 11일 서울 휘경동에서 첫번째 행사를 가진 데 이어 8일만이다. 이날 행사 주제는 20∼30대 맞벌이 부부들의 최대 관심사인 ‘육아문제’.그래서 안양시내 민간과 공립 어린이집 두 곳을 골라 잇따라 방문했다.나중에 방문한 어린이 집에서는 주부와 보육시설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약 한시간 가량 정책간담회를 갖고 당이 검토중인 주요 보육관련 정책도 소개했다. 간담회에서는 보육시설에 대해 정부의 지원 확대와 보육 교사 확충 및 처우 개선,장애 아동에 대한 특수보육시설 확대 등 참석자들의 다양한 요구가 쏟아졌다. 이 후보는 “보육은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인 문제”라고 전제한뒤 “(집권하면) 학부모가 언제라도 믿고 맡길 수 있도록 질 좋은 보육 서비스를 확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또 “현재 저소득층 중심의 최소한의 지원에 머물고있는 지금의 보육정책을 전면 재검토,전체 영유아를 대상으로하는 보편적인 서비스로 전환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정책투어에는 김정숙(金貞淑) 최고위원과 이상배(李相培) 정책위 의장,임태희(任太熙) 제2정조위원장,손희정(孫希姃) 당 여성정책위원장 등이 동행했다. 조승진기자 redtrain@
  • 한나라 대선 선대위 발족, 위원장 서청원대표 임명

    한나라당은 10일 오는 12월의 대통령선거를 총괄할 대선 선대위를 발족했다. 이회창(李會昌) 대통령후보는 대선 선대위 위원장에 서청원(徐淸源) 대표를,부위원장에는 강창희(姜昌熙) 김진재(金鎭載) 강재섭(姜在涉) 박희태(朴熺太) 하순봉(河舜鳳) 김정숙(金貞淑) 최고위원을 임명하기로 했다.총괄본부장에는 사무총장을 임명하기로 했다. 곽태헌기자 tiger@
  • 서해교전/ 전사자 4명 영결식

    “아이고,우리 막둥이 불쌍해서 어떻게 보내누.이 에미 보고 싶어 어떻게 죽었어….” 1일 오전 서해 교전으로 순국한 고 윤영하(尹永夏·28) 소령 등 해군 장병4명의 영결식이 거행된 경기 성남 국군수도병원 체육관은 온통 눈물바다를 이루었다.아들을 잃은 부모,남편을 보낸 아내는 슬픔을 견디지 못하고 울음을 토하다 끝내 정신을 잃었다. 유족들의 통곡과 절규에 300여명의 조객들도 눈물을 훔쳤다. 조악(弔樂)이 울려퍼지는 가운데 순국 장병들의 운구 행렬이 영결식장에 들어서자 유족들은 일제히 장병들의 이름을 외치며 오열했다. 고 조천형(趙天衡·26) 중사의 어머니 임헌순(55)씨와 고 서후원(徐厚源·21) 중사의 어머니 김정숙(48)씨는 운구행렬이 옆을 지나는 순간 아들의 관을 붙잡고 “이 에미 놔두고 절대 못간다.”고 울부짖다 실신했다. “아니야,이건 내 신랑이 아니야.오늘 집에 온다고 그랬단 말야.” 신혼의 단꿈을 송두리째 빼앗긴 조 중사의 미망인 강정순(29)씨는 영결식 도중 남편 영정 앞으로 걸어가 “태어난 지 100일 된 시은이보러 온다던 당신이 왜 여기 누워 있어? 빨리 집에 가자 여보야.”라고 통곡해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고 황도현(黃道顯)중사의 어머니 박공순(54)씨는 “보름 뒤 이 에미 생일날 온다더니 왜 이런 모습으로 벌써 왔느냐.”며 대성통곡했다.예비역 해군 대위인 윤두호(尹斗鎬·61)씨는 아들 윤 소령의 마지막 가는 길을 차마 볼 수 없는 듯 영결식장 구석으로 자리를 피해 눈물을 훔쳤다. 포항에서 해병대에 복무 중인 서 중사의 동생 국원(20)씨는 흐르는 눈물을 애써 감추며 거수경례로 형의 마지막 가는 길을 오래도록 배웅했다. 장정길 해군참모총장은 조사(弔辭)를 통해 “꽃다운 20대의 꿈을 채 피우기도 전에 꽃잎이 찢기어 파도 위에 뿌려졌으니 그 애통함을 그칠 길이 없다.”며 부하들의 넋을 기렸다. 젊음을 불사른 장병 4명은 이날 오후 화장돼 한줌의 재로 대전 국립현충원에 안장됐다.한편 이날 일부 유족들이 보상금 문제와 관련,군 관계자의 책임있는 답변을 요구하며 운구 행렬을 막아 영결식이 30분 정도 늦게 시작됐다. 이영표 임일영기자 tomcat@
  • 在獨 송두율교수 금강산 민족축전 참석

    재독 학자 송두율(사진) 교수가 14일 금강산 김정숙휴양소 앞 운동장에서 개최된 ‘6·15 공동선언 2돌 기념 민족통일대축전'’에 참관인 자격으로 나와 눈길을 끌었다. 북한 사회과학원 초청으로 평양을 방문했다는 송 교수는 “마침 금강산에서 남측인사들과 해외 동포들이 행사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축하하려고 개인 자격으로 왔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95년부터 2000년까지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매년 북한 학자들을 초청,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해 왔으나 지난해는 미국의 9·11 테러 사태로 인해 회의 일정을 잡지 못했다며 “북측과 학술회의 일정을 협의하러 왔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한국 방문과 관련,“준법서약서에 서명하는 것은 내 양심과 미래가 허락하지 않는다.자유인으로 남고 싶다.”고 말해 우리 정부와 앙금이 여전히 가시지 않았음을 우회적으로 내비쳤다. 그는 또 준법서약서에 대해 “남측이 사상전향서나 다름없는 서약서를 고집할 필요가 있느냐.”고 반문한 뒤 “열린 사회에선 정보를 서로 교환하는데 서약서는 시대에 역행하는구시대적 작태”라며 불만을 표시했다. 금강산연합
  • 문화광장/ 연극

    ●까부지마라 이느마야= 16일까지 평일 오후7시 토일 오후3시30분·7시 문예진흥원 대극장(02)558-1337,김정옥 연출,하회별신굿탈놀이를 무대공연으로 재구성.인간문화재들이 펼치는 해학의 한마당. ●강택구= 7월10일까지 평일 오후7시30분 토 오후4시·7시30분 일 오후3시·6시 (월 쉼) 바탕골 소극장(02)744-8025,전훈 작,김노운 연출,전쟁을 겪지 않은 전후세대의 눈으로 보는 이산가족의 문제.극단 애플씨어터. ●강아지똥= 15∼23일 평일 오전11시·오후2시 토 오후2시·4시 일 낮12시·2시(월 쉼) 양평 바탕골극장(031)774-0745,권정생 작,김정숙 연출,쓸모 없는 것으로 치부되는 강아지똥이 민들레꽃으로 다시 태어나는 과정을 통해 자연의 신비를 그린 어린이극.극단 모시는사람들. ●바다에 가면= 14∼16일 금 오후7시30분 토일 오후4시30분·7시30분 동숭아트센터 소극장(02)743-0928,이혜제 작·연출,태평양전쟁 당시 이탈한 포병 분대원들의 혼을 담은 수중묘지를 찾아 나서는 한 남자를 통해 이데올로기를 넘어선 인간의 문제를 다룸.한·일합작공연.극단 신기루만화경. ●유리가면-잊혀진 황야= 7월28일까지 평일 오후7시30분 토 오후4시·7시30분 일오후3시·6시 (월 쉼) 인켈아트홀(02)741-0251,미우치 스즈에 작,황원상 연출,늑대소녀 이야기를 그린 일본만화를 각색.극단 애플씨어터. ●김시라의 품바= 7월14일까지 화수목 오후7시30분 금토 오후4시·7시 일 오후4시(월 쉼) 강강술래극장(02)3674-0110,김시라 작·연출,식민지 시대부터 자유당 말기까지 살다간 각설이패 대장의 일대기.극단 가가의회. ●용띠 위에 개띠= 30일까지(월화 쉼) 평일 오후7시30분 토 오후4시30분·7시30분일 오후3시30분·6시30분 이랑씨어터(02)766-1717,이만희 작,이도경 연출,웃음과 감동이 조화를 이룬 별난 부부의 사랑 이야기.극단 이랑씨어터. ●정글이야기= 30일까지 토일 오후4시(월∼금 쉼) 미추산방 흰돌극장 (031)879-3100,러디어드 키플링 작,정호붕 연출,‘정글북’을 각색.늑대소년 모글리가 살아가는 정글을 정치와 집단성이 지배하는 세계로 그려 인간세계를 우화적으로 꼬집음.극단 미추. ●레이디 맥베스= 23일까지 화목금 오후7시30분 수토 오후4시·7시30분 일 오후4시(월 쉼)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02)780-6400,셰익스피어 작,한태숙 연출,레이디 맥베스에 초첨을 맞춰 인간의 광기를 조명. ●코메디 휴먼= 23일까지 화목 오후7시30분 수금토일 오후4시·7시30분 (월 쉼) 알과핵 소극장(02)499-3487,임도완 연출,합창단의 호흡 속 소외·세 요리사의 어리석은 해프닝 등 5개의 옴니버스로 웃음의 근원을 탐색하면서 인간의 나약한 심성을 보여줌.극단 사다리. ●고도를 기다리며= 7월28일까지 화수목 오후7시30분 금토 오후4시·7시30분 일오후3시 산울림 소극장(02)334-5915,사뮤엘 베케트 작,임영웅 연출,부조리극의 효시.33년째 공연을 이어오는 극단 산울림의 대표작.
  • 한나라 대표 서청원 ‘유력’

    한나라당이 14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새 대표를 선출한다.이에 따라 금주 중 사무총장 등 주요당직 인선과 함께 새지도체제가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다. 선출직 최고위원 7명이 호선(互選)을 통해 뽑게 될 대표에는 서청원(徐淸源) 의원이 유력하다.그는 지난 10일 최고위원 경선에서 1위를 차지,가장 유리한 위치에 올라 있다.대의원들의 표심(票心)을 거스르면서까지 다른 인물을 택해야 할 이유도 없는 상황이다.2위를 차지한 강창희(姜昌熙) 최고위원도 “1위가 대표를 맡는 것이 순리”라는 뜻을 밝혔다.이회창(李會昌) 대통령 후보 진영도 서 의원이 이 후보와 호흡이 잘 맞는다는 점에서 내심 서청원 대표를 기대하고 있다. 강재섭(姜在涉) 하순봉(河舜鳳) 김정숙(金貞淑) 최고위원등 득표부진에 상심해 지난 11일 상견례에 불참했던 인사들도 그동안 심경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이 후보가 직접전화를 걸어 위로했다는 후문이다. 이 후보가 지명할 최고위원으로는 이부영(李富榮) 전 부총재가 당내 개혁세력 배려 차원에서 유력시된다.반면 새대표 몫의 지명직 최고위원에는 이연숙(李연淑) 전 부총재와임진출(林鎭出) 의원 등 여성이 거명된다. 후속당직인선과 관련,사무총장에는 이상득(李相得) 현 총장의 유임설 속에 2표차로 최고위원 경선에서 떨어진 김일윤(金一潤) 의원 기용설이 나돌고 있다.이 총장은 유임을희망하고 있으나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선회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다. 14일 임기가 끝나는 이재오(李在五) 원내총무의 후임으로는 3선의 이규택(李揆澤) 의원과 재선의 맹형규(孟亨奎) 안택수(安澤秀) 임인배(林仁培) 김문수(金文洙) 의원 등이 출사표를 던졌다.오는 17일 의원총회 경선으로 승자를 가리게 된다. 정책위의장에는 나오연(羅午淵) 이한구(李漢久) 임태희(任太熙) 의원 등이 이강두(李康斗) 의장의 후임으로 거론된다. 대변인에는 대선후보 경선기간 이 후보의 대변인을 맡았던이병석(李秉錫) 의원과 당내 소장파 모임인 미래연대의 오세훈(吳世勳) 원희룡(元喜龍) 의원 등이 거명된다. 진경호기자 jade@
  • 한나라 최고위 경선 후유증

    한나라당의 최고위원 경선결과를 놓고 뒷말이 무성하다.11일에는 이회창(李會昌) 후보와 새 최고위원들과의 상견례에강재섭(姜在涉) 박희태(朴熺太) 하순봉(河舜鳳) 최고위원이불참,내홍설까지 제기됐다.“경선결과에 만족하는 최고위원은 1,2위를 한 서청원(徐淸源) 강창희(姜昌熙) 의원밖에 없다.”는 말이 나돌 정도다. 경선 당일에도 낙선 후보는 물론 김정숙(金貞淑) 최고위원등 하위득표로 당선된 최고위원들마저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일부에서는 “이회창 후보의 핵심 측근들이 경선과정에 개입했다.”면서 전직 부총재와 모 의원,특보단 등을 지목하고 있다.이 후보측의 경선 개입설 의혹이 제기된 것과 관련,“경선 결과가 여론조사와는 달리 이 후보측에서 흘러나오던얘기대로 나타난 때문”이라는 해석이 그럴듯하게 나오고 있다. 그러나 당에서는 ‘불만은 있겠으나 후유증은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한 당직자는 “대선후보까지 결정된 마당에 또 분란을 일으키는 모습이 각자에게 좋지 않다는 점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를증명하듯,당선된 한 최고위원은 “할 말은 많지만 참겠다.”고도 했다. 한편 당 안팎에서는 새 지도부 구성과 이에 따른 당내 역학구도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당장 이회창(李會昌) 후보의 ‘측근 3인방’으로 분류된 인사 가운데 하순봉(河舜鳳) 의원만이 턱걸이로 지도부에 합류,이들의 영향력이 현저하게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도 대두된다. 특히 향후 이뤄질 당직개편,대선 선대본부 구성에는 소장파의 약진이 예상되고 있다. 이지운기자
  • 1위 서청원의원 ‘대표’ 유력

    한나라당은 10일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전당대회를 열어새 지도부를 구성할 최고위원으로 5선의 서청원(徐淸源)의원 등 7명을 선출했다. 대의원 1만 747명이 투표에 참여한 이날 경선에서 서 의원은 3603표를 얻어 득표율 33.6%(복수투표)로 1위를 차지했다.2위는 3336표(31.1%)를 얻은 강창희(姜昌熙) 의원이차지했고,김진재(金鎭載) 강재섭(姜在涉) 박희태(朴熺太)하순봉(河舜鳳) 김정숙(金貞淑) 의원이 뒤를 이었다. 대표최고위원에는 경선 1위를 차지한 서청원 의원이 유력하다. 진경호 조승진기자
  • 한나라 ‘최고’경선 李心 촉각

    10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새 지도부를 구성하려는 한나라당 최고위원 후보 17명의 경쟁이 치열하다.한나라당 대통령 후보로 확정된 이회창(李會昌) 후보도 지도체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경선 판세] 7명을 뽑는 최고위원 선거는 경쟁률도 높고 1인3표제여서 판세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당내인사들에따르면 강재섭(姜在涉)·서청원(徐淸源)·강창희(姜昌熙)·하순봉(河舜鳳)·박희태(朴熺太) 의원 등 5명이 선두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는 전언이다.이어 안상수(安商守)·김정숙(金貞淑)·김진재(金鎭載)·김기배(金杞培) 의원이 당선권을 넘보고 있다는 관측이다. 이들 외에 김부겸(金富謙)후보는 미래 연대의 지지를,홍준표(洪準杓)의원은 ‘지도부의 새로운 얼굴’을 위해 지지를 호소,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다. [주류의 향배] 이회창(李會昌) 후보 지지표가 경선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이 후보측은 당선가능그룹에 ‘구 민정계’ 출신들이 대거 진입해 있는 데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자칫 지도부의면면이국민에게 참신하지 않게 비쳐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이 후보의 측근이 최다 득표를 하는 것에 대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분위기다.‘이심(李心·이회창 후보의 지지)’의 향배가 주목되는 이유다. 강동형기자 yunbin@
  • 한나라 최고위원 17명 출마

    한나라당 최고위원 경선에 5선의 서청원(徐淸源) 의원 등17명이 입후보했다.마감일인 28일 후보등록을 마친 인사는서 의원 외에 김진재(金鎭載) 강창희(姜昌熙) 김기배(金杞培) 강재섭(姜在涉) 김일윤(金一潤) 하순봉(河舜鳳) 박희태(朴熺太) 김호일(金浩一) 김정숙(金貞淑) 강인섭(姜仁燮)홍준표(洪準杓) 안상수(安商守) 정형근(鄭亨根) 김부겸(金富謙) 의원과 원외의 이해구(李海龜) 함종한(咸鍾漢) 전 의원 등이다. 진경호기자
  • 한나라 27일 후보등록/ 野 최고위원 경선 ‘불꽃경쟁’

    한나라당 최고위원 경선 후보등록일(27∼28일)이 임박하면서 예비주자들의 움직임이 바빠지기 시작했다.25일 현재출사표를 던진 인사는 모두 18명. 당연선출직인 여성 1명을 제외하고 사실상 6명의 최고위원을 뽑는 만큼 3대 1이상의 경쟁률이다.이회창(李會昌) 후보의 독주로 김빠진 대선후보 경선을 대신해 당내의 관심도 다음달 10일 전당대회까지 이들 주자가 펼칠 레이스에 모아지고 있다. 총재직 폐지에 따라 최고위원은 종전의 부총재직보다 월등한 권한을 쥐게 된다.‘포스트 창(이회창)’의 차세대지도자의 위상도 확보하게 된다. 현재 출마의사를 밝힌 인사들은 ▲5선(選)의 서청원(徐淸源·서울 동작갑) 김진재(金鎭載·부산 금정) 강창희(姜昌熙·대전 중) 의원 ▲4선의 김기배(金杞培·서울 구로갑)박명환(朴明煥·서울 마포갑) 강재섭(姜在涉·대구 서) 김일윤(金一潤·경북 경주) 하순봉(河舜鳳·경남 진주) 박희태(朴熺太·경남 남해·하동) 의원 ▲3선의 김호일(金浩一·경남 마산합포) 김정숙(金貞淑·전국구) 의원 ▲2선의강인섭(姜仁燮·서울 은평갑) 홍준표(洪準杓·서울 동대문을) 안상수(安商守·경기 과천·의왕) 정형근(鄭亨根·부산 북·강서갑) 의원 ▲초선의 김부겸(金富謙·경기 군포)의원과 ▲원외의 이해구(李海龜) 함종한(咸鍾漢) 전의원등이다.유준상(柳晙相) 전 의원 등도 출마를 저울질하고있다. 출마를 검토했던 임진출(林鎭出) 의원은 25일 불출마를선언했다.이에 따라 여성의 경우 등위와 관계없이 1명을선출직 최고위원으로 뽑도록 한 당헌당규에 따라 여성후보로 유일하게 나설 김정숙 의원은 후보등록과 함께 사실상최고위원에 선출되는 기쁨을 맛보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초선인 김부겸 의원의 당선도 관심사다.당내 소장파 모임인 ‘미래연대’측이 자신들의 대변자로 내세워 적극 지원하고 있어 분전이 예상된다. 주자들의 움직임도 벌써 열기를 뿜고 있다.일부 주자들은대선후보 경선대회에 꼬박꼬박 참여,얼굴 알리기에 나섰고유준상 전 의원은 자신의 대형사진을 내건 소형트럭을 경선장마다 세워놓는 이색선거전을 벌이고 있다. 진경호기자 jade@
  • 김정일 軍 앞세워 黨·政 완전장악

    임동원(林東源) 대통령 특사는 지난 3일부터 나흘 동안 평양을 방문,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을 면담하고 한반도위기 예방과 남북관계의 원상 회복에 합의했다.임 특사 일행은 방북 초기 ‘주적론’에 대한 북측의 공방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김 위원장과의 면담에서 모든 것을 타결지었다.전문가들은 “이러한 과정은 예견됐던 것으로 김위원장에게 모든 권한이 집중돼 있는 북한 특유의 권력구조 때문”이라고 입을 모았다.김 위원장을 정점으로 한 북한의 권력구조를 알아본다. ■북한의 권력구조.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조선노동당 총비서를 겸하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김영남(金永南)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국가를 대표하지만,실질적으로는 김 위원장이 국방위원회와 노동당을 장악,‘모든 권한’을 쥐고 있는 것이다. 국방위원회는 92년 헌법 개정을 통해 중앙인민위원회에서 독립,최고 권력의 군 통수기구로 자리잡았다.이어 98년개헌을 통해 ‘국가주권의 최고 군사지도기관이며 전반적국방관리기관’으로 격상됐다.국방분야의 주권뿐 아니라‘행정권’도 갖는 북한 최고의 권력기구가 된 것이다. 국방위원회는 인민무력부 총참모부를 직접 통제하며,군령·군정권을 동시에 행사한다.‘무소불위’의 권력을 지녔다는 국가안전보위부도 휘하에 두고 있다.김 위원장은 필요시 총참모부 작전국장에게 직접 명령을 내리는 단독지휘축선도 갖고 있다. 92년 본격 출범때는 김일성(金日成) 주석이 위원장을 맡았으며,김정일이 제1부위원장,오진우(吳振宇)·최광(崔光)이 부위원장,전병호(全秉鎬)·김철만(金鐵萬)·이하일(李河一)·이을설(李乙雪)·김광진(金光鎭)·김봉률(金奉律)이 위원이었다. 김정일은 92년 4월 인민군 최고사령관에 취임한 뒤 이듬해 국방위원장직을 맡으며,‘원수’ 칭호와 함께 군 통수권을 공식 승계했다. 인민군 총참모장인 최광이 제1부위원장이 됐다.김 주석의 항일유격 활동을 국가의 ‘정신적 뿌리’로 삼고 있는 북한에서 군을 장악한다는 것은 최고 통수권자가 됐음을 의미한다. 김 위원장은 98년부터는 ‘선군(先軍)정치’란 구호와 함께 군을 최전방위에 내세우며 북한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현재 국방위 위원 대부분의 권력 서열이 당 비서들보다 앞서며 주요 당·정 직책을 겸하고 있다.선군정치는 미국의압박 등 ‘외세’에 맞서는 국가 차원의 대응책이다.아울러 당·정·군에 대한 직할 통치를 가능케 함으로써 안정적인 유일지배 체제를 보장하는 토대이기도 하다.김 위원장은 또 사찰기관인 보위부를 최대한 활용,경제·식량난으로 심화된 사회일탈 현상을 제어하는 기반도 구축했다. 김 위원장은 앞서 97년 10월 당 총비서에 취임했다.북한은 각 도당(道黨)과 시당(市黨) 등의 결의와 당 중앙위원회와 당 중앙군사위원회는 공동 결정을 통해 김 위원장을총비서에 추대했다.이는 김 주석 사망 뒤 ‘3년상(喪)’이 끝난 시점에 김 위원장이 공식적으로 북한의 최고 권좌에 올랐음을 뜻한다. 특히 북한의 행정기관은 당이 결정한 정책을 집행하는 기관에 불과하다.이 때문에 당 관료가 행정관료를 겸직하기도 하고,또 당에는 행정기관 및 부서에 상응하는 조직이갖춰져 있다.따라서 당 총비서에 올랐다는 것은 곧 행정부인 내각까지도 통제하게 됐음을 뜻한다. 김 위원장은 98년 국방위원장에 취임하면서도 ‘주석직’을 폐지했다.그러나 실제로는 김 주석을 ‘선대수령’으로 지칭함으로써 자신은 ‘후대수령’으로 군림하고 있다.특히 95년 ‘붉은기 사상’,98년에는 ‘강성대국론’ 등을새로운 사회건설의 이념적 좌표로 제시하면서 경제·식량난으로 무너진 사회를 복구하는 데 힘쓰고 있다. 전영우기자 anselmus@ ■김정일의 사람들…측근 '권력 엘리트' 곳곳 포진. 북한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체제를 보좌하는 수많은 권력엘리트들이 있다.이들은 당·정과 군부,친인척 및 당 외곽인물로 나뉠 수 있다. 김 위원장의 ‘힘은 군부에서 나온다.’는 말이 있을 만큼군이 권력의 핵심축이다.군부에서는 조명록 인민군 총정치국장 겸 국방위 제1부위원장,김일철 인민무력부장,김영춘 인민군 총참모장,이을설 국방위원 겸 호위사령관,현철해 인민군총정치국 부총국장,이용무 국방위원회 부위원장,박기서 평양방위사령관,원응희 보위사령관,박재경 인민군 총정치국 부총국장,이명수 총참모부 작전국장을 측근으로 들 수 있다. 특히 이을설 호위사령관은 1921년생으로 김일성 주석의 전령병으로 만주에서 항일유격 활동을 벌였다.김 위원장의 ‘방패막이’이던 오진우·최광 인민무력부장이 각각 95년과 97년 사망한 뒤 김 위원장의 병풍 역할을 하고 있다.최측근인 조명록 총정치국장은 2000년 10월 특사로 미국을 방문,빌클린턴 당시 미 대통령과 만나 ‘공동코뮈니케’에 서명하기도 했다. 당에서는 전병호 군수담당 비서,한성룡 경제담당 비서,계응태 공안담당 비서,김국태 간부담당 비서,김기남 교육담당 비서,김용순 대남담당 비서 등이 김 위원장을 떠받치고 있다. 자강도 책임비서인 연형묵도 핵심 측근이다. 최고인민회의에는 김영남 상임위원장,양형섭·김영대 상임위 부위원장,최태복 최고인민회의 의장 겸 국제담당 비서,여원구 부의장,박성철 상임위 명예부위원장 등이 포진해 있다. 양형섭은 김일성 주석의 종매부(고종사촌 동생의 남편)이며,여원구 부의장은 몽양 여운형 선생의 딸이다.박성철 명예 부위원장은 1913년생으로 항일유격대출신의 원로다. 내각에는 기술관료(테크노크라트)들이 주류다.홍성남 총리를 중심으로 백남순 외무상,백학림 인민보안상,이광근 무역상 등이 관료사회를 이끌고 있다.최근 대외관계의 중요도에따라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이 실세로 자리매김중이며,김계관 부상도 북·미 대화에 나설 실력자로 꼽힌다. 이밖에 김 위원장의 매제인 장성택(여동생 김경희의 남편)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도 주요 인물이다.김 위원장이 속내를 털어놓는 몇 안되는 인물로 당의 핵심인 조직지도부를 관리하고 있다.우리에게도 친숙한 인물인 송호경 아시아태평양위원회 부위원장,안경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서기국장 등도 김 위원장의 사람들이다. 전영우기자 anselmus@ ■김정일 체제 성립되기까지.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98년 명실상부하게 북한의 최고 권력자로 올라섰지만 그의 권력 승계작업은 70년대 초반부터 진행됐다. 1942년 2월16일 하바로프스크 인근 소련 극동군 제88특별여단 브야츠크 야영에서 김일성과 김정숙의 맏아들로 태어난 김 위원장은 남산인민학교,만경대혁명학원,평양제1중,남산급중,김일성종합대 경제학부 정치경제학과를 졸업한뒤 64년 노동당 조직지도부 지도원으로 정치에 본격 참여하기 시작했다. 67년 당 선전선동부 과장,69년 선전선동부 부부장,71년문화예술부장,73년 조직 및 선전선동담당 비서 겸 조직지도부장 등을 거쳐 74년 2월 당 중앙위 정치위원으로 선출됐다.당 중앙위는 또 ‘경애하는 영도자 김정일 동지를 위대한 수령님의 후계자로 추대하는 결정’을 만장일치로 채택,권력승계의 발판을 마련했다.이때부터 김 위원장은 ‘당중앙’이란 신비스런 이름으로 불렸다. 김 위원장은 아울러 73년부터 ‘3대혁명소조운동’을 이끌며 요소 요소에 자기 사람을 심어왔다.3대혁명소조란 ‘사상·기술·문화의 3대 혁명을 힘있게 밀고 나가기 위한당 핵심과 청년인텔리’를 뜻한다.다시 말해 김정일 권력승계의 기반 구축에 앞장서는 행동대원들이었다. 김정일은 75년 ‘친애하는 지도자 동지’ 호칭을 받았으며,80년 당 정치국 상무위원,비서국 비서,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됐다.88년에는김일성 주석의 전유물이던 ‘현지지도’라는 용어가 김 위원장에게도 사용됐다. 92년 인민군 최고사령관에 취임,인민무력부장이던 오진우에게 원수 계급장을 달아주는 등 군장성 664명에 대한 인사를 단행하며 군 최고 책임자에 올랐음을 내외에 알렸다.
  • 정치 뉴스라인/ 김대통령 훨체어 사용안해

    ■왼쪽 허벅지 근육통으로 불편을 겪어온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증세가 호전돼 8일부터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고 박선숙(朴仙淑)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박 대변인은 “김 대통령의 상태가 많이 좋아졌다.”면서 “오늘부터는 이동할 때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고 지팡이만 짚고 다니고 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전·현직 중진의원들의 최고위원 경선 출마선언이 러시를 이루고 있다.원외인 이해구(李海龜) 전 의원은 8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경기도 대표’를 자임하며 출사표를 던졌다.재선인 정형근(鄭亨根) 홍준표(洪準杓) 의원도 이미 출사표를 던진 안상수(安商守·2선) 의원에 이어 내주중 출마를 선언할 계획이다.이와 함께 전국구 3선인 여성 김정숙(金貞淑) 의원도 내주중 출마입장을 밝힐 계획이고,이어 박희태(朴熺太) 김일윤(金一潤) 강인섭(姜仁燮) 의원과 함종한(咸鍾漢)전 의원 등의 출마선언이 잇따를 전망이다. 당직자들은 “이번 최고위원 경선 참여자가 줄잡아 20명은 넘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무소속 박근혜(朴槿惠) 의원은 8일 “신당 창당작업이절반가량 진행됐다.”며 “지방선거 전에 출범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날 국회 본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히고 “다람쥐 쳇바퀴 도는 질문은 그만 했으면 좋겠다.”고 한나라당 복당 가능성을 일축했다. 한편 한나라당 박관용(朴寬用) 총재권한대행은 본회의 직후 박 의원과 함께 회의장을 나서며 잠시 대화를 나눠 눈길을 모았다.
  • 3·6 집값 안정대책 ‘청약가입자 반발’

    정부가 ‘3·6 집값 안정대책’을 내놓자 내집마련 수요자와 건설업계들 사이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지난 2000년정부의 통장가입자격 완화 조치에 따라 청약통장을 만들었던 수요자들은 무주택 우선제도 부활에 반발하는 데 반해무주택자들은 두손을 들어 환영하고 나섰다.건설업계도 서울 사업지가 많은 업체는 울상이지만 수도권 땅이 많은 업체는 한시름 덜었다는 표정이다.이에 따라 서울지역 중심의 사업자들은 분양시기를 앞당길 것으로 보인다. ▲기존 통장가입자들 반발=서울 불광동 연립주택에 사는주부 김정숙(31)씨는 “2년전 청약부금에 가입해 3개월 뒤면 1순위가 되는데도 무주택 우선제도가 다시 부활되는 바람에 아파트로 옮기려던 꿈이 무산됐다.”며 정부의 혼란스런 정책에 불만을 털어놓았다. 이러한 볼멘소리는 연립이나 단독주택,작은 평형 주택에사는 사람들에게서 집중적으로 터져나오고 있다. 건설교통부 홈페이지에 글을 올린 최회정씨는 “17평짜리 연립주택 2층에 살면서 집을 늘려갈 계획을 갖고 있었지만 무주택 우선제도 부활로 물거품이 됐다.”며 “소형평형에 사는 사람에게는 청약의 기회를 줘야 할 것”이라고말했다.또 ‘무주택자’란 네티즌은 “통장에 가입한지 만 5년이 됐는데도 이제 와서 35세가 안됐다는 이유로 청약자격을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따졌다. 반면 무주택자 김영화(32·서울 서대문구 홍제동)씨는 “당초 무주택 우선제도를 없앤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며 “무주택우선제도 부활은 당연한 조치”라고 환영했다. ▲떴다방 수도권으로 간다(?)=서울지역의 전매제한 조치와 주상복합아파트 및 오피스텔에 대한 선착순 분양제한으로 서울의 떴다방이 수도권으로 옮겨가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내집마련정보사 김영진 사장은 “이번조치로 사실상 서울에서는 더이상 시세차익을 노린 투자가 여의치 않게 됐다.”며 “떴다방들이 대거 수도권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통장거래값 오를 듯=무주택 우선분양제의 부활로 청약통장 가격이 두배 가까이 뛸 것으로 업계는 진단했다.분양업체 관계자는 “현재 32평형에 청약할 수있는 통장이 현재 400만∼600만원에 거래되고 있지만 앞으로 1000만원대로오르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말했다.그는 또 “전매제한이 있더라도 분양권을 음성적으로 거래하는 사례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효과없이 판촉비만 더 든다(?)=분양업체들은 이번 주상복합아파트와 오피스텔의 선착순 분양금지 조치가 분양에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분석한다. 김학권 세중코리아 사장은 “공개경쟁입찰이 이뤄지더라도 관심있는 수요자는 계속 몰리게 된다.”며 “다만 이번 조치가 서울에 국한돼 서울에 땅을 가진 업체와 수도권에 땅을 가진 업체간에 희비가 교차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성곤·김경두기자 sunggone@
  • “부총재=차차기” 野경선 가열

    한나라당의 집단지도체제 도입 및 대선후 당권·대권 분리문제가 가닥이 잡히면서 부총재 경선이 열기를 더해 가고 있다. 출마예상자가 무려 20명을 웃돌아 선출직 부총재를 10명으로 늘리더라도 2대 1 이상의 경쟁률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현재 출마의사를 밝힌 예비후보는 최병렬(崔秉烈)·서청원(徐淸源)·김기배(金杞培)·박명환(朴明煥)·김진재(金鎭載)·강재섭(姜在涉)·강창희(姜昌熙)·김원웅(金元雄)·목요상(睦堯相)·안상수(安相洙)·이상득(李相得)·김일윤(金一潤)·이상배(李相培)·박희태(朴熺太)·하순봉(河舜鳳) 의원 등이다.총재 경선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는 김덕룡(金德龍)·강삼재(姜三載)·이부영(李富榮)의원,여성몫으로 거론되는이연숙·김정숙(金貞淑) 의원과 홍준표(洪準杓) 의원 등 재선 그룹까지 가세하면 부총재 출마자는 최고 25명선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부총재 경선 출마자들의 목적도 여러가지다.최병렬 의원이1위를 차지해 당권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김기배·하순봉 의원 등 이 총재 측근들은 이 총재의 당내 기반을 튼튼히 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 강재섭 의원은 차차기를 노리고 있고,박희태 의원은 집단지도체제하에서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자임하고 있다. 강동형기자 yunbin@
  • 만두 50만개에 듬뿍 담은 이웃사랑

    1급 시각장애인이 지난 5년간 ‘사랑의 만두’ 50여만개를 빚어 혼자 사는 노인과 소년·소녀가장들에게 제공해화제다. 주인공은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의 비인가 복지시설 ‘한마음애집’ 김정숙(62)원장.불우노인 10여명과 함께 사는김씨는 지난 97년 밭에 버려진 배추를 주워다 만두를 빚어 주위 독거노인을 돕기 시작했다. 김씨는 지난 70년대초만 해도 서울 남대문시장에서 큰 의류회사를 경영하며 부유하게 살았었다.그러나 75년 남편과 함께 교통사고를 당해 두눈의 시력을 잃었다. 장애인이 된 김씨는 78년 사업실패와 여섯 형제간에도 불화를 빚는 시련이 찾아오자 남편 양승렬(64)씨와 함께 94년 5월 서울을 떠나 낯선 연천군 전곡읍 양원리 허름한 축사에 새 보금자리를 꾸몄다.1년 6개월간 병 수발을 받아오던 시아버지가 작고하자 자신보다 더 힘들고 어려운 처지의 사람들을 도와야 한다는 생각에 만두를 빚기 시작했다. 김씨의 만두를 처음 받아든 이는 축사를 개조해 만든 집에 모셔온 오갈 데 없는 노인 한 분.지금은 몸이 불편한노인 10여명이 함께 산다. 지금까지 만든 만두는 대략 50여만개로 전국 곳곳의 독거노인·장애인·군부대 장병 등 10만여명이 김씨의 정성이담긴 만두를 전해 받았다. 김씨는 처음 만두를 빚으면서 “100만개를 빚으면 20여년동안 연락조차 없었던 형제들을 다시 만나게 해달라.”는기도를 했고 50만개를 빚은 지난해 10월 그토록 그리워하던 여동생을 만나게 됐다. 김씨의 숨은 선행이 알려지며 한마음애집에는 서울·동두천과 연천 등지의 자원봉사자들이 찾아와 매일 700∼1000개의 만두를 함께 빚고 각자 자신의 지역 불우이웃들에게따뜻한 식사로 제공하고 있다. 김씨는 “만두 빚기는 어렵고 힘들었던 시절 무언가를 간절히 바라며 시작한 일”이라며 “죽는 날까지 어렵고 힘든 이들을 위해 ‘만두 할머니’로 살고 싶다.”고 말했다. 연천 한만교기자 mghann@
  • 이회창총재 22일 訪美길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총재가 미국 방문을 위해 22일출국한다.지난해 11월 러시아 방문처럼 대선 유력주자로서세계에 얼굴을 알리고 주요인사들과의 교분을 강화하자는차원이다.이 총재는 상반기 중 중국과 일본도 방문,한반도주변 4국 방문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이 총재는 부인 한인옥(韓仁玉) 여사와 함께 오는 27일까지 워싱턴과 뉴욕에 머물며 리처드 게파트 민주당 하원 원내총무와 데니스 해스터트 하원의장,리처드 아미티지 국무부 부장관 등 정·관계 주요인사들을 만날 예정이다.미국기업연구소(AEI)와 헤리티지 재단 공동초청으로 ‘교차로에선 한국:평화,민주주의,세계화를 향해’라는 제목의 오찬연설도 할 계획이다.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태담당차관보 면담도 추진중이나 확정되지는 않았다. 이밖에 워싱턴포스트 및 월스트리트저널 등 현지 언론과의간담회와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 즈비그뉴 브레진스키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의 회동도 마련돼 있다.워싱턴과 뉴욕의 교민들과 만나고 세계무역센터 테러현장도 찾는다.이 총재의 방미는지난 99년 9월에 이어 2년4개월만이다. 이 총재의 미국 방문에는 한나라당의 정재문(鄭在文)·김만제(金滿堤)·김정숙(金貞淑)·정형근(鄭亨根)·조웅규(曺雄奎)·김무성(金武星)·남경필(南景弼)·오세훈(吳世勳)의원 등이 동행한다.이 총재는 지난 19일 당 소속의원 및지구당위원장들에게 공문을 보내 일절 공항 출영을 삼가 달라고 당부했다.두 달여 전 러시아 방문 때 100여명의 의원들이 인천공항에 몰려들어 북새통을 이뤄 구설수에 올랐던전례를 피하자는 판단이다. 진경호기자 jade@
  • 한나라 당권경선 열기 가열

    한나라당의 전당대회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총재단 경선 열기도 점차 높아가고 있다.이회창(李會昌) 총재의 대선출마 이후,즉 ‘포스트 이회창’의 대권·당권을 겨냥한행보로,중진·소장층을 망라해 출마 예상자가 줄잡아 20명 안팎에 이르고 있다. 김기배(金杞培) 전 사무총장이 이미 18일 총재단 경선 출마를 선언한데 이어 신경식(辛卿植)·서청원(徐淸源)·김일윤(金一潤) 의원 등도 조만간 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중진들 가운데는 최병렬(崔秉烈) 강재섭(姜在涉) 박희태(朴熺太) 김진재(金鎭載) 의원 등이 출마의 뜻을 굳힌 상태다.김용갑(金容甲) 김종하(金鍾河) 목요상(睦堯相)현경대(玄敬大) 의원 등도 ‘TK(대구·경북)당권론’,‘PK(부산·경남)우대론’‘경기 결집론’ 등의 논리를 내세워 출마를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초재선 의원 가운데는 이미 김원웅(金元雄) 의원이 당 개혁을 주창하며 출마를 선언했고,홍준표(洪準杓) 의원도 ‘젊은 리더십’을 표방하며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여성으로는 김정숙(金貞淑) 의원의 출마설이나돈다. 한나라당은 4월말∼5월초로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대략 12명 정도의 부총재를 선출하되 총재 지명 몫을 2∼3명으로하고 나머지 9∼10명을 대의원 선거로 뽑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따라서 부총재 경선 경쟁률은 대략 2대 1을 웃돌 전망이다.중진들이 부총재 경선에 주력하는 이유는 총재 이후의 당권이나 차차기 대권고지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지운기자 jj@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