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연 가족클리닉-행복만들기] 실직한 남편 잔소리만 늘어요
Q남편이 실직한 후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잔소리가 심해지고 있습니다. 남들은 가정적이라고 말하는데, 실제 모습은 전혀 다릅니다. 결혼 초에는 참고 살았지만 지금은 내가 늙어서도 간섭받고 살아야 하나 하는 생각에 신경질이 납니다. 주5일제가 되고 보니 같이 있는 시간이 늘어나 오히려 그 전에 회사일로 바빠 늦게 들어올 때가 더 편한 것 같습니다.
- 김희순(55세·가명)
A같은 말을 두 번 세 번 들으면 누구나 듣기 싫어지는 게 사실입니다. 여자를 어린애 취급하는 것 같기도 하고, 손끝 하나 움직이지 않고 이래라 저래라 하는 남편이 귀찮은 존재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세상이 변한다 해도 우리 집 남자가 가장 늦게 변할 거라고 말하는 부인들도 많습니다.
중년기는 크고 작은 고개가 많은 시기입니다. 아이들 뒷바라지가 끝나는가 싶더니, 남편의 실직이나 은퇴를 겪게 되기도 합니다. 예상한 일이어도 막상 닥치게 되면 앞으로 어떻게 사나 하는 문제로 머리가 무거워지게 되지요. 실직은 단순히 경제적인 문제로 끝나지 않고 가족간의 역동성에도 파장을 주게 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집에 있다.’는 말 자체가 할 일 없는 무능한 존재를 의미하는 부정적인 어감을 내포하는 게 사실입니다. 지금까지 열심히 살아 왔고, 자신은 젊은이 못지않게 의욕이 있다고 생각하는데도 놀고 있는 아버지의 모습을 가족들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은연중에라도 그런 내색을 하게 되면 남편은 더욱 자신을 방어하게 돼 집안일에 더 관여하거나, 아니면 조그만 일에도 역정을 내는 과민 반응을 보이게 됩니다.
잔소리는 더 많아질 수도 있고, 짜증이 더 늘기도 하며, 시력이나 청력이 약해지면 더 큰 소리로 말하게 될 것입니다. 인간관계는 상대적이어서, 내가 잘 들어주면 상대방의 목소리가 작아지지만, 내가 들어주지 않으면 상대방은 점점 더 거칠고 금속성의 소프라노가 되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부인도 다시 한번 생각해 보세요. 남편의 행동은 예전 그대로인데, 부인은 남편이 집에 있는 것에 대해 적응하지 못해 남편이 지나가는 말로 한마디한 것도 잔소리로 들린 건 아닐까요. 각자 자기 일이 있을 때에는 밖에 빗소리도 잘 들리지 않더니, 서로 할 일 없이 마주 앉아 있다 보면 즐거운 음악도 귀에 거슬릴 수 있거든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쫓아다니며 잔소리 하는 것은 같이 있고 싶은 욕구의 다른 표현입니다. 한 소리 또 하는 것은 조금 더 자기에게 귀 기울여 달라는 절규입니다. 별일 아닌 것도 트집 잡고 호통치는 것은 겉으로만 강한 약자의 모습입니다. 만일 그런 것조차 허락하지 않는다면 너무 매정한 일이 아닐까요. 남편의 잔소리가 줄어든다면 그건 더 위험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자신이 몰입해야 할 일을 찾지 못한 경우, 흔히 상대방에게 비난이나 책망을 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남에게 말하고 있지만 사실은 자신에 대해 불만스러울 때 남에게 퍼붓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남편의 잔소리는 실직 후 인생의 새로운 방향을 잡을 동안 계속될 것입니다. 중년기의 실직은 도전이요 기회입니다. 더 늦기 전에 새로운 일을 시작할 수 있도록, 남편의 관심과 에너지가 세상이 가는 방향으로 잘 쓰일 수 있도록 부부가 함께 지혜를 모으세요.
배우자에게 베푸는 가장 깊은 배려는 매끄러운 칭찬이나 대단한 선물이 아니라, 배우자를 곁에 허락하는 것입니다. 물론 마음으로 허락하고, 행동으로도 허락해야 합니다. 어떤 순간이라도, 배우자는 우리가 아끼는 어떤 골동품보다 더 소중히 대해야 하는 생명체입니다. 가정의 행복지수는 내가 마음을 넓히는 만큼 올라갈 수 있습니다.
<목포대 교수·가족상담문화센터장>
● 이번 주부터 ‘가족클리닉’ 필자가 강학중 가정경영연구소 소장에서 이정연(생활과학부·아동학 전공) 목포대 교수로 바뀝니다. 이 교수는 목포대 가족상담문화센터장과 한국가족관계학회 부회장, 대한가정학회 가족정책개발 전문위원 등을 맡고 있습니다. 이 교수는 앞으로 김숙기 나우미가족문화연구원장과 2주에 한 번씩 번갈아 글을 쓰게 됩니다. 가족클리닉의 상담 의뢰는 인터넷 서울신문(www.seoul.co.kr)에서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