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숙기 가족클리닉-행복만들기] 평소 의사소통 부족이 부른 일
Q1아내가 한 달 전 “우리 헤어지자.”라는 메모만 달랑 남겨놓은 채 집을 나갔습니다. 가출한 아내를 찾아다니고 아이들 돌보느라 하던 사업도 엉망이 됐고 죽고 싶을 정도로 힘들었습니다. 왜 집을 나갔는지 정확한 이유를 모르니 더 미칠 것 같습니다.
-K(남·45세)
Q2결혼 10년째인 저는 그동안 참고 살았습니다.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참고 살면 남편도 달라지리라 생각했어요. 그런데 얼마 전 남편이 노래방 도우미와 가까운 사이라는 친구 말을 듣고 더 이상 살고 싶지 않아 이혼 요구를 했지만 또 무시하더군요. 대화도 안 되고 한 집에 있는 것이 너무 싫어 집을 나와 이혼을 하고 싶습니다.
-J(여·37세)
A아내가 없는 시간 동안 겪었을 K님의 고통이 그대로 전해집니다. 자녀 돌보기, 집안 일, 회사 일을 병행해 나가는 것도 힘들었겠지만 무엇보다 아내가 집을 나간 이유나 원인을 알 수 없다는 사실이 더 견딜 수 없었겠지요.K님의 경우처럼 갑자기 아내가 집을 나간 경우 그 충격은 더 클 수밖에 없습니다.‘왜 아내가 집을 나갈 수밖에 없었을까, 꼭 이래야만 했나, 이유가 무엇이었을까.’ 꼬리를 무는 여러 생각들로 잠을 이룰 수 없었겠지요. 그러나 평상시 대화가 잘 되는 부부였다면 아내에게 무슨 고민이 있는지, 어떤 불만이 있었던 것인지 알 수 있었을 겁니다. 아내와의 관계를 되짚어 보고 그동안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무관심하고 소홀히 했던 부분이 무엇인지 스스로의 결혼생활을 점검해 보세요.
결혼 10년 동안 참고만 살다가 이혼을 선택한 J님. 늘 이혼을 생각할 만큼 남편과의 결혼생활에서 많은 상처를 해결하지 않은 채 쌓아놓고 견디셨군요. 그러나 이번 문제의 발단인, 남편이 노래방 도우미와 가까운 사이라는 것을 직접 확인해서 얻은 것이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 주변 친구 말에 의존하지 않고 내 배우자와 직접 대화를 통해 확인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부부 관계에 있어서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법의 기본은 당사자가 진지하고 솔직하게 자기 자신의 속마음을 드러내놓고 각자가 인식하고 있는 문제 상황을 드러내는 일이지요. 이때, 왜곡된 편견이나 가면을 벗고 오직 자기 감정에 충실하여 진솔한 느낌을 주고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혼자 속으로 ‘꿍’하고 있거나 참고 삭이는 것은 감정을 억압시키고 관계를 회피하는 지름길일 뿐입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두 분께서는 부부간 의사소통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가 하는 점을 깊이 깨닫고 각각 배우자와의 접촉을 시도해야 합니다. 충분한 대화를 통해 그동안 쌓아왔던 응어리진 상처와 억압되었던 감정들을 끄집어내고 배우자에게도 똑같은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감정에는 옳고 그름이 없고 도덕적 판단도 의미가 없습니다. 배우자가 표현한 감정은 무조건적으로 이해하고 잘못된 행동이나 태도에 국한하여 수정을 요구하세요. 배우자를 자신의 잣대로 평가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의 표현을 존중해주고 수용해주는 태도를 보여야 가출한 아내, 밖으로만 돌던 남편과 비로소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시, 명령, 비난, 충고, 방어적인 말은 가급적 중단하세요. 옳다, 그르다, 맞다, 틀리다 등 잘잘못을 따지는 논쟁도 피하세요. 충분한 대화를 통해 상대의 속마음을 알고 해결방법을 찾아 함께 노력해본 뒤 이혼 결정을 해도 늦지 않습니다.
나에게 일어난 일의 대부분은 나에게 우선 책임이 있습니다. 사람은 자신의 고통을 다른 사람이나 외부 환경 탓으로 돌리려 하지만 자신을 고통에 빠뜨리는 것도, 그 속에서 구해내는 것도 결국은 자기 자신임을 알아야 합니다. 만남이나 결혼 못지않게 헤어질 때에도 과정이 중요하지요. 혼자 참고 삭이다가 스스로의 감정을 견디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집을 나가는 행위를 한다면 상대는 헤어지는 이유도 모른 채 많은 시간을 방황할 것입니다. 이는 서로에게 원망과 증오에 찬 배신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미래로 나아가지 못하고 서로 발목을 잡는 악순환을 만듭니다. 좋은 부부관계를 유지하는 것만큼, 이혼을 결정하는 과정에서도 만남의 의미만큼이나 새로운 헤어짐의 의미를 깨닫고 실천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나우미가족문화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