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숙
    2025-10-23
    검색기록 지우기
  • 수상
    2025-10-2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071
  • “北, 6자회담전 영변 냉각탑 폭파”

    |워싱턴 김균미특파원|북한은 의장국인 중국에 핵신고서를 제출한 뒤 6자회담이 재개되기 전에 영변핵발전소의 냉각탑을 폭파할 가능성이 높다고 김숙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20일(현지시간) 밝혔다.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들간 협의차 미국을 방문중인 김 본부장은 이날 워싱턴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북한이 6자회담 재개 전에 냉각탑을 폭파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숙 본부장은 또 미국이 북한측으로부터 넘겨받은 1만 8800여쪽의 자료에 대한 검토를 1∼2주내에 마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미국은 북한의 핵신고서 제출 시기에 맞춰 이에 상응하는 조치인 테러지원국명단 해제 조치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 김 본부장은 “북한이 성 김 미 국무부 한국과장에 신고내용을 구두로 상당히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안다.”면서 “핵신고는 검증 개시를 위한 시작에 불과하며 검증에는 최소 12개월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북·일 관계 개선과 관련, 양자간의 문제만이 아니며 북한이 어느 정도 성의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는 19일(현지시간) 북한이 조만간 핵프로그램을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에 신고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힐 차관보는 이날 국무부에서 김숙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사이키 아키다카 일본 외무성 아주국장과 3자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하고, 북한의 핵 신고가 이뤄진 이후에 6자회담이 ‘아주 빠른 시일내’에 개최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수주에 걸쳐 빠르게 (일이) 진척될 것”이라면서 “언제라고 구체적으로 얘기할 수는 없지만 북한의 핵신고가 이뤄질 시점에 도달하고 있다.”고 말해 북핵신고 문제가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음을 시사했다.kmkim@seoul.co.kr
  • 北 핵프로그램 검증방안 집중 논의

    북핵 6자회담 2단계 조치인 북한의 핵시설 불능화 및 핵프로그램 신고가 마무리 수순에 돌입한 가운데 6자회담 한·미·일 수석대표가 18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회동,19일까지 회담 진전 방안 등에 대해 협의한다. 우리측 수석대표인 김숙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오전 출국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6자회담 틀 내에서 한·미·일 3자 협의를 갖게 되는 것”이라며 “이번 협의에서는 차기 6자회담에서 논의될 현안인 신고내용 검증 방안은 물론 (마지막 단계인)핵폐기 이행을 위한 계획 등을 두루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일 수석대표 회동은 북한의 핵실험 이후 지난 2006년 10월까지 이뤄졌으나 그해 말 6자회담이 재개된 뒤에는 별도로 열리지 않았다. 한 외교 소식통은 “북·일간 일본인 납치문제 및 미국의 대북 테러지원국 지정해제 조건과 납치문제를 둘러싼 이견 등을 조율하는 데 진전이 없어 한·미·일 3자 회동이 한동안 열리지 않았다.”며 “3자 협의가 재개된 만큼 이들 문제를 포함한 3자 현안을 조율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특히 최근 일본측 수석대표로 선임된 사이키 아키다카 외무성 아주국장은 ‘미스터 납치(Mr.Abduction)’라고 불릴 만큼 일본인 납치문제 해결에 매달려 온 것으로 알려져 북한의 핵신고서 제출에 맞춰 테러지원국 지정해제를 위한 의회 통보를 준비하고 있는 미측과의 조율이 주목된다. 정부 소식통은 “미측이 북한의 일본인 납치문제를 테러지원국 지정해제 조건으로 고려하고 있지 않은 만큼 일본측의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할 것”이라며 “6자회담이 진전되면 북·일 관계도 풀릴 것이기 때문에 일본측도 대북 경제·에너지 지원에 동참해야 한다고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미·중·러는 지금까지 북한에 중유 30만t 상당의 경제·에너지 지원을 했지만 일본은 납치문제를 이유로 참여하지 않고 있다. 한 외교 소식통은 “중유 100만t 상당의 대북 경제·에너지 지원도 속도를 내야 한다.”며 “특히 마지막 단계인 핵폐기에 돌입하면 엄청난 자금이 필요한 만큼 일본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 6자 회담 내주 고비

    북한의 핵프로그램 신고서 제출을 앞두고 북핵 6자회담 참가국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가 다음주 초 워싱턴에서 회동하고 북·미간 뉴욕채널 등을 통해 핵신고서 제출 시기가 조율되면 차기 6자회담이 다음달 상반기에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측 수석대표인 김숙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6일 미·중 방문 결과 브리핑에서 “현재 진행 중인 각국간 협의와 준비가 원만히 이뤄지면 6월 상반기에 6자회담이 개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18∼19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일 수석대표 회동에 대해 “서로의 입장을 확인하고 향후 계획을 조율할 것”이라며 “특히 ‘행동 대 행동’ 원칙에 따라 각국의 의무사항도 모두 포함된다.”고 말했다. 한 외교 소식통은 “지난해 6자회담 2·13합의 이후 처음으로 이뤄지는 한·미·일 수석대표 협의를 통해 북한의 신고 이행에 따른 다른 참가국의 경제·에너지 지원에 일본이 동참하는 문제가 검토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중·러는 그동안 북한에 중유 30만t 상당의 경제·에너지 지원을 했지만 일본은 북한의 일본인 납치문제를 앞세워 참여하지 않고 있다. 북한의 신고서 제출 시기에 대해 정부 고위 당국자는 “참가국들의 신고 내용 검토 시간을 감안, 늦어도 이달 말까지는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당국자는 “북·미간 뉴욕채널 협의를 통해 다음주 중에는 의장국인 중국측에 신고서를 제출하는 날짜가 구체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한·미 등은 북측의 신고서 제출이 이뤄지면 플루토늄 신고량을 검증하기 위해 북한 현지에 조사단을 파견하는 문제를 검토 중이다. 정부 소식통은 “1만 8000쪽의 핵시설 가동일지 및 신고서 내용에 대한 영변 현지 검증이 2∼3개월 정도 이뤄질 것”이라며 “북측이 신고할 플루토늄 생산량이 얼마나 정확한지는 현지에서 원자로 가동률 및 재처리 능력 등을 검증해야만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 온 가족 ‘촛불’ 들고 뭉치다

    온 가족 ‘촛불’ 들고 뭉치다

    9일 저녁 서울 청계천 소라광장에 모인 이들은 촛불문화제를 가족 소통의 장으로 삼았다. 중3, 중1 아들과 함께 광장을 찾은 회사원 정시철(49)씨는 참가자들이 뭔가에 대해 목소리를 높일 때마다 아이들과 대화를 나눴다. 정씨는 아이들에게 설명해 주기도 하고, 아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소통했다. 정씨는 “아이들이 TV나 신문 보도, 주변 친구들이 말하는 걸 보고 듣는 게 아니라 직접 나와 느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 나왔다.”면서 “현장이 배움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먹거리를 걱정하는 엄마들의 목소리도 높았다. 남편, 작은 아들과 함께 나온 주부 김숙희(52)씨는 “미국 소가 수입되면 두 달 전 군에 간 큰아들과 구내식당 밥을 주로 먹는 대학생 작은아들이 주로 먹게 될 것”이라면서 “어미의 마음과 아내의 마음에서 가족을 설득해 집회에 나왔다.”고 말했다.9개월된 아들을 유모차에 태우고 남편과 함께 집회 현장을 찾은 주부 임화영(34)씨는 “아들이 먹는 이유식에 쇠고기를 갈아 넣는데 미국소가 수입되면 알게 모르게 쓰게 될 것”이라면서 “아기를 낳으면 대한민국 엄마들은 모두 애국자가 돼 내 자식이 살 환경을 걱정하게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민공노·민변 등 규탄 기자회견 도미노 공무원들도 분노했다. 민주공무원노동조합(민공노)은 이날 성명서를 내고 “지난 7일 국회 청문회에서 공무원을 광우병 임상실험 대상으로 인식한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을 규탄한다.9일부터 민공노도 촛불문화제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집회 현장에서 만난 민공노 이상석 대변인은 “8일 저녁 결정돼서 이날 100여명이 참석했지만 다음주부턴 6만명 노조원 중 상당수가 현장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가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을 알리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쇠고기 논란은 계속 증폭되고 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농림수산식품부가 입법예고한 ‘미국산 쇠고기 수입위생조건’를 수정하라고 촉구했다. 한택근 민변 사무총장은 “미국과 합의해 입법예고한 고시는 검역주권을 포기하고 국민 건강권·행복 추구권을 제약하는 중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가축전염병 예방법 제34조 제2항의 ‘농식품부 장관 위임 범위’를 벗어난다.”고 주장했다. 민변은 고시에 대한 반대 의견을 농식품부에 제출했다. ‘21세기 청소년공동체 희망’ 등 청소년 단체들이 모인 ‘청소년 광우병 집회탄압 규탄 기자회견 참가일동’도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시민으로서 자신의 주장을 알리기 위해 정치적 행동을 하려는 학생들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정부는 설명하라.”면서 “경찰도 처음에 ‘정치적 선동’이란 표현을 쓰더니 이제 ‘업무방해죄’란 이유로 학생들을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교조 “자발적 집회 배후 지목은 명예훼손”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정진화 위원장도 기자회견을 갖고 “김도연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전국 시·도 교육감 회의에서 계기(시사)수업을 위해 미국산 쇠고기를 홍보하는 교사용 자료와 학생용 만화자료를 배포하겠다는 것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의사표현을 박탈하는 것”이라면서 “이를 철회하지 않으면 전교조도 별도의 자료를 만들어 교사들에게 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학생들의 자발적인 촛불문화제 참여의 배후세력으로 전교조를 지목하는 것은 전교조와 학생들에 대한 명백한 명예훼손 행위”라고 말했다. 국민건강을 위한수의사 연대와 보건의료단체연합은 “정부는 화장품, 생리대, 기저귀 등으로 광우병이 전염된다는 말이 괴담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미국 식품의약국(FDA)도 광우병으로 가공한 제품으로 감염이 가능하다고 경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경원 김정은 장형우기자 leekw@seoul.co.kr
  • 사상자 명단

    4일 오후 11시 현재 신원이 파악된 사상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사망자 ▲박종호(35)▲박성우(5)▲김경환(46)▲추창렬(46)▲추승빈(9)▲최성길(65)▲박선규(48)▲이육재(46)▲박주혁(16) ●부상자 ▲이덕진(32·중태)▲정태권(9·중태)▲정태양(10)▲김혜리(27·여)▲김재환(11)▲김민준(10)▲장민성(42)▲임길준(58)▲김숙자(51·여)▲김은정(31·여)▲정우석(39)▲정유민(7)▲권혁미(38·여)▲김혜곤(31)
  • 28일 양국 수석 워싱턴 회동 새달중 6자회담 재개 추진

    북한의 핵프로그램 신고가 임박한 가운데 미국이 북·시리아간 핵협력 정보를 공개하고 북핵 6자회담 한·미 수석대표가 회동하는 등 북핵문제를 둘러싼 참가국들이 잰걸음을 하고 있다. 특히 북·미가 싱가포르 및 평양 협의에 이어 조만간 핵협력 관련 검증·모니터링 문제에 대해 추가 협의할 것으로 알려져 결과에 따라 다음달 중 6자회담 재개가 가시화할 전망이다. 우리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숙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28일 워싱턴에서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와 만나 핵신고 단계를 마무리짓고 6자회담을 재개하는 방안 등에 대해 협의한다. 김 본부장이 최근 임명된 뒤 처음 이뤄지는 한·미 수석대표 회동으로,22∼24일 평양에서 열린 북·미 실무협의 결과를 바탕으로 핵신고 내용 및 검증·모니터링 방법,6자회담 일정 등에 대해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미 정부의 북·시리아 핵협력 정보 공개 및 백악관의 핵협력 성명 발표 등이 6자회담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눌 것으로 관측된다. 한·미 등은 북한이 조만간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에 핵프로그램을 신고하면 이르면 다음달 중순쯤 핵신고 내용을 평가하고 검증 방법 및 마지막 단계인 핵폐기 로드맵을 협의할 6자회담을 재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미 정부가 최근 북·시리아간 핵협력 정보를 공개한 뒤 미 의회 일각 및 강경파 등이 핵신고 검증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어 이에 대한 북·미간 외교채널 등을 통한 추가 협의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외교 소식통은 “미국은 핵신고 내용의 검증·모니터링 대상을 명시하는 문제를 협의하고자 하며 북측도 추가 협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북측이 검증문제도 협조하겠다고 한 만큼 추가 협의 이후 차기 6자회담에서 검증·모니터링 방안이 구체적으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수석대표 회동 및 북·미 추가 협의가 끝나면 그 결과에 따라 북측이 중국에 플루토늄 총량 등을 담은 공식 신고서와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및 시리아 핵협력 관련 북·미간 싱가포르에서 합의한 양해각서를 제출할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은 신고서를 다른 참가국들에 회람, 평가할 시간을 준 뒤 1∼2주 후로 6자회담 개최 일정을 통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외교 소식통은 “미측이 북측의 핵신고에 따라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를 추진할 것으로 보여 다음달 중 6자회담 개최 가능성이 높다.”며 “그러나 시리아측이 미측이 공개한 북·시리아 핵협력 정보가 조작됐다고 주장하는 등 북핵문제가 중동 핵개발·확산 문제와 얽히거나 돌발 변수가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 한·미 6자대표 28일 회동

    북한의 핵 프로그램 신고를 앞두고 북핵 6자회담 한·미 수석대표가 28일 워싱턴에서 만나 핵신고 문제를 마무리짓기 위해 최종 협의한다. 정부 당국자는 25일 “김숙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27일 미국으로 건너가 28일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와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다.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 [인사]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정책보좌관 김승보 윤성욱△교육과학기술부 류혜숙(미래기획단) 김숙현(〃) 성기억(기후변화대책기획단)△대통령실 이현옥△제주대 오찬택△홍보담당관실 조종영△영재교육지원과 한성일△학생장학복지과 남혁모△인력수급통계과 강성헌△과학기술전략과 박시정△투자분석기획과 이제준△대학연구지원과 이강우△연구정책과 손승연△협력총괄과 문희△다자협력과 최영희△원자력정책과 박병현 금융위원회 ◇파견 △국가정보원 국가사이버안전센터 이정하△대통령실 김병환 배준수△미래기획위원회 신현준 한나라당 ◇전보 △당무조정국장 이운룡△총무〃 유명렬△조직〃 이수태△원내행정〃 이동주△정책〃 박성민△민원〃 김희태△정책위 정무위 수석전문위원 공호식△서울시당 사무처장 이원기△경기도당 〃 고제영△사무총장실 보좌역 권순일△원내기획국장 직무대행 박현석△원내행정국 운영팀장 장종진◇임용△국제국장 백기엽 한국식품연구원 (식품산업진흥본부)△우수식품인증센터장 曺震鎬△우수식품인증센터 인증관리팀장 金明鎬△〃 표준연구〃 鄭勝源△〃 품질평가〃 金鐘永△식품산업기술지원센터장 梁承勇△식품정책연구단장 郭昌根(기획정책부)△기획정책부장 韓奎在△기획예산실장 文鎭成△정책개발〃 洪錫寅△성과확산홍보〃 李根赫(행정관리부)△총무재무실장 林京澤△시설자재〃 朴聖采△지식정보〃 金兌奎(한국식품연구원)△감사실장 洪承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보 △선임연구부장 方演根(부서장급)△기획정책부장 徐承佚△행정〃 金春洙△시험인증센터장 尹章憲(실장급)△차륜궤도연구실장 梁信秋△철도구조〃 權太守△집전전력〃 權三榮△철도환경〃 鄭愚成△신호제어〃 金容圭△주행추진〃 金南鋪△철도교통〃 劉載均△신성장동력〃 郭齋鎬△초고속열차〃 한영재△대륙철도〃 羅喜丞△철도산업지원실장 李京喆(팀장급)△기획정책부 기획예산팀장 朴大植△〃 연구정보관리〃 辛容漢△〃 국제대외협력〃 金學成△〃 연구시설건설〃 李晟赫△행정부 총무자재〃 文鎭韓△〃 인사재무〃 최의주 아이뉴스24 △영업총괄국장 정복남 아시아경제신문 △아시아비즈팀 부국장대우(광남일보 파견) 김하성
  • 김숙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北 핵신고·美 상응조치 동시 진행”

    신임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숙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7일 “북핵 문제가 중대한 국면에 접어들었다.”며 “지난 4개월간 지체된 핵신고 문제 타결과 핵폐기 협상 진입의 기로에 있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이날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첫 내외신 기자회견을 갖고 “핵신고의 구체적 내용과 이에 대한 상응조치 논의가 원만히 마무리돼 신고서가 의장국인 중국에 제출되면 공람 시간을 가진 뒤 6자회담이 조속히 개최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김 본부장은 “차기 회담에서는 신고내용에 대한 평가 및 검증에 대한 세부 절차 등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며 “검증은 시간이 소요되는데, 검증이 진행되는 동시에 3단계 핵폐기 협상이 맞물려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핵신고 검증의 수준 논란에 대해서는 “차기 회담에서 검증 내용 및 주체·방법·절차 등에 대해 협의할 것”이라며 “플루토늄과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시리아 핵협력 등 지금까지 제기된 문제에 대해서는 시간이 걸려도 끝까지 규명해 나갈 것이고 핵신고 내용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규명도 절대 소홀히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다음주 중 이뤄질 전망인 미국 실무대표단의 방북에 대해서는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및 제3국 핵협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협의가 없었던 플루토늄에 대해 협의하게 될 것”이라며 “신고서 작성을 위한 북·미간 실무협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행동 대 행동’에 따른 핵신고 및 상응조치에 대해 김 본부장은 “신고서 제출과 거의 동시에 앞서거니 뒤서거니하면서 미국에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라며 북측이 신고서를 제출하면 미 행정부가 북한의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를 위해 의회에 통보하는 과정을 취할 것임을 시사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김숙 외교안보연구원장에 이순천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김숙 외교안보연구원장에 이순천

    정부는 15일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를 맡는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차관급)에 김숙(사진 왼쪽·56) 전 제주도 국제관계자문대사를, 외교안보연구원장(차관급)에 이순천(오른쪽·55) 본부대사를 각각 임명했다. 또 주 유엔 차석대사에는 김봉현(53) 전 외교부 재외동포영사국장이 임명됐다. 김 신임 본부장은 외무고시 12회로 입부, 주미대사관 1등서기관과 북미1과장, 북미국장 등 미주라인의 요직을 거쳤다. 외시 11회인 이 신임 연구원장은 국제기구과장, 주영대사관 참사관, 주 탄자니아 대사 등을 역임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 [현장 행정] 도봉 ‘스마일 파워운동’

    [현장 행정] 도봉 ‘스마일 파워운동’

    “거울아 거울아, 도봉구에서 누가 가장 친절하고 밝게 민원인을 대하니?” 도봉구 직원들은 자신의 웃는 얼굴을 거울에 비춰 보며 스스로에게 최면을 건다. 14일 구에 따르면 친절하고 웃음이 가득한 구청을 만들기 위해 직원들을 대상으로 ‘스마일 파워 100일 운동’을 시작했다. ●‘동료사랑´ 고백으로 하루 시작 14일 오전 8시20분 구청 3층 산업환경과에서 “사랑합니다, 사랑합니다, 정말로 사랑합니다.”라는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금문숙(총무과 친절봉사팀)씨가 “동료 직원과 주민들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득 담아 다시 한 번 하겠습니다.”라면서 앞에 있는 동료 직원에게 ‘사랑고백’을 한 것이다. “집에 있는 아내에게도 이런 고백을 하지 않는데…”라며 쑥스러워하던 최봉섭(산업환경과 유통지도팀)씨,“과장님에게 사랑고백을 다하네. 정말 싸∼랑해요.”라며 머리에 손을 올려 하트 모양으로 그린 김숙현(산업환경과 가스연료팀)씨의 고백이 이어졌다. 한순간에 사무실이 웃음바다로 변했다. 도봉구 직원의 하루는 이렇게 ‘사랑’과 ‘웃음’으로 시작한다. 얼마 전 최선길 구청장의 지시로 가족사진을 붙이는 거울을 하나씩 나누어 주었다. 짜증나거나 힘든 일이 있을 때 가족사진을 보고 마음을 다스리고 자신의 얼굴을 한번 쳐다보라는 의미에서다. 이혜란(사회복지과 노인복지담당)씨는 “이따금 스트레스로 가슴이 답답해질 때 ‘마법의 거울’을 보고 웃으면 기분이 좋아진다.”고 말한다. ●미소와 친절이 경쟁력 스마일 파워 100일 운동은 직원들에게 친절 마인드를 심어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틀에 박힌 강연식 친절교육이 아니다. 박돌봉 부구청장과 전문 친절교육을 받은 직원이 매일 아침 각 부서를 돌며 맨투맨식 교육을 한다. 또 ‘친절다짐 아침방송’과 오후 2시 ‘친절서비스 홍보방송’으로 친절의 생활화를 몸으로 익힌다. 직원들에게 당근과 채찍을 동시에 들었다. 고객을 가장한 모니터 요원이 직원의 친절응대를 평가하는 ‘미스터리 모니터링’을 한다. 우수한 직원에게 실적가점 부여와 각종 해외연수 우선권, 희망부서 전보 등 인센티브를 주고 부족한 직원에겐 교육 등 사후 조치를 한다. 오는 9월엔 웃음이 아름다운 직원을 공개 선발해 ‘스마일킹’으로 정하고 해외 기획연수 기회부여는 물론 친절 전도사의 소임도 맡길 계획이다. 최선길 구청장은 “스마일파워 100일 운동은 우리 구를 웃음과 사랑이 넘쳐나는 곳으로 만드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 [인사]

    교육과학기술부 △부산대 사무국장 김철△전북대 〃 김동옥△교육과학기술연수원장 김은섭△경북대 사무국장 이문희△경상대 〃 한성우△교육과학기술부 권진수△서울대 시설관리국장 곽창신△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추진단장 문병룡△국제교육진흥원 기획관리부장 신영재△한국체대 총무과장 이재민△충주대 사무국장 변대룡△한국방송통신대 사무국장 김원찬△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추진단 총괄기획팀장 김선계△〃 연구소운영〃 김숙현△〃 연구시설장비〃 김시선△〃 과학교육사업〃 성기억△대구광주과학관추진단 대구과학관팀장 정원영△〃 광주과학관〃 오성록△교육과학기술부(나노종합팹센터) 노재익 법무부 △서울고검 검사 최석두△서울동부지검 형사1부장 곽규홍△〃 형사2부장 황인규△〃 형사3부장 김회재△〃 형사4부장 김호정△대전지검 형사1부장 이중재△광주지검 형사1부장 박환용△〃 형사2부장 박재권 보건복지가족부 ◇전보 △대변인 박용현△감사관 김시관△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 하성△〃 국제협력관 허용△보건의료정책실 보건의료정책관 이상영△〃 건강보험〃 이영찬△〃 한의약〃 고경석△건강정책국장 류호영△건강정책국 질병정책관 이덕형△보건산업정책국장 권용현△사회복지정책실 복지정책관 노길상△〃 연금〃 박용주△〃 사회서비스〃 김원종△저출산고령사회정책국장 박하정△저출산고령사회정책국 노인정책관 손건익△〃 가족〃 직무대리 양승주△장애인정책국장 이동욱△아동청소년정책실 아동청소년활동정책관 김두현△〃 아동청소년복지〃 차정섭△〃 보육〃 이태한△생명과학단지조성사업단장 이신재△국립의료원 진료지원부장 전혁희△질병관리본부 국립인천공항검역소장 임관식 소방방재청 ◇전보 △경기도 제2소방재난본부장 李一燮△강원도 소방본부장 王在燮△전북도 〃 柳昭賢 KAIST △행정처장 李相汶△감사실장 林泰成△기획부장 趙奎燮 국민대 ◇승진 △구매팀장(실장) 林東範△산학협력팀장(부장) 朴聖昊△예술대학 교학팀장(〃) 禹龍煥 기업은행 ◇지점 개설준비위원장△수원고색지점 김필곤△부평역지점 전동영 MBC △신사옥기획단장 한윤희△신사옥기획단 건설관리팀장 김동효△〃 신사옥추진〃 홍병의△〃 개발기획〃 오정우 아시아투데이 △편집국 국장대우 건설부동산부장 주중석△〃 건설부동산부 부장대우 윤경찬
  • [부고]

    ●홍완주(전 서울신문사 전산제작국 부국장)씨 모친상 17일 오산 한국병원, 발인 19일 낮 12시 (031)378-9726●양갑(전 서울시청 주택국장)씨 모친상 1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9일 오전 10시 (02)3410-6901●김숙자(대한체육회 고문)씨 모친상 16일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발인 20일 오전 10시(미국 현지시간) 1-847-915-9734●김영욱(삼성서울병원 혈관외과 교수)씨 모친상 하성원(사업)씨 빙모상 김민수(고영테크놀로지 연구원)현수(삼성서울병원 전공의)씨 조모상 18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0일 오전 6시30분 (02)3410-6917●노동선(전 한국외대 중국어과 교수)씨 별세 대헌(사업)씨 부친상 최양천(전 제일은행 지점장)박영우(미국 거주)이재혁(이임산업 대표)씨 빙부상 1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0일 오전 9시 (02)3410-6909●최재룡(전 동아대 총장)씨 모친상 권벽뢰(전 부산여중 교장)씨 시모상 최정빈(시ㆍ디벨로먼트 대표)씨 조모상 18일 부산 동아의료원, 발인 20일 오전 9시 (051)256-7011●김동기(조선대 치과대학 교수)민기(화인웍스 대표)씨 모친상 나근배(현대신경외과 원장)씨 빙모상 1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0일 오전 8시 (02)3010-2293●윤호중(씨엔씨프로젝트 상무)범중(KB 한마음팀장)씨 부친상 1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0일 오전 8시 (02)3010-2291●김종균(부산일보 교육팀장)종국(대한생명 대리)씨 부친상 백승원(BS금속 대표)씨 빙부상 18일 동아대병원, 발인 20일 오전 8시30분 (051)256-7013●김병용(나음케어 사장)씨 부친상 1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0일 오전 9시 (02)3410-6903●기선완(건양대병원 정신과 교수)씨 빙모상 17일 건양대병원, 발인 19일 오전 10시 (042)600-6660●김창희(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 외야수)씨 조부상 17일 경남 진영 세영병원, 발인 19일 오전 9시 (055)345-9669●김영은(전 뉴월드관광 회장)영철(전 한국교육개발원 석좌연구원)영국(대한주택공사 선임위원)영희(전 반포초등학교 교사)씨 모친상 윤진(삼성생명 노원대리점)박대희(원광대 교수)씨 빙모상 김한수(미래에셋생명 지점장)씨 조모상 1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0일 오전 7시 (02)3010-2230●박윤석(자영업)점석(목축업)순길(자영업)종길(금융감독원 수석검사역)씨 부친상 17일 경기도 안성 성요셉병원, 발인 19일 오전 9시30분 010-9166-4667●안승일(서울시 푸른도시국장)씨 부친상 18일 인천 길병원, 발인 20일 오전 9시30분 (032)462-9261●최일철(사업)일호(한국중부발전 발전과장)경호(서울시 시설관리공단)미라(대전 남선중 교사)씨 부친상 박치형(중소기업청 홍보기획팀장)씨 빙부상 18일 광주 한국병원, 발인 20일 오전 9시 (062)527-4442●이완섭(고려해운 전무이사)씨 상배 희연(한양대 직원)씨 모친상 18일 한양대병원, 발인 20일 오전 (02)2297-6699●김승경(전 기업은행장)씨 모친상 18일 강원도 강릉의료원, 발인 20일 (033)610-1444●김도익(전 진로 전무)씨 별세 문규(미국 거주)윤규(세종산업 감사)형규(기아자동차 국내상품실 이사)씨 부친상 1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0일 오전 8시 (02)3010-2237
  • 공민왕, 춤으로 부활하다

    공민왕, 춤으로 부활하다

    우리 역사상 ‘미완의 개혁 군주’ 중 한 사람으로 통하는 고려 제31대 공민왕(재위 1351∼1374). 재위 중 원나라 배척운동을 통한 영토회복과 개혁정치를 폈으나 사랑하던 노국공주의 죽음 뒤 혼돈 속으로 빠져든 불운의 왕으로 평가받는다. 이 공민왕이 김숙자무용단에 의해 28·29일 오후 7시30분 국립국악원 예악당 무대에 되살아난다.‘링반데룽Ⅱ-불멸의 처’ 공연을 통해서다. 링반데룽이란 등산길에 심한 안개나 폭풍우를 만나거나, 밤중에 방향감각을 잃은 채 같은 지점을 맴도는 일. 김숙자무용단의 ‘링반데룽Ⅱ-불멸의 처’는 공민왕의 일대기 중 링반데룽과도 같은 애절하고 광적인 사랑에 포커스를 맞춘 무용극 성격의 작품이다. 자주국가 다지기, 그리고 불발에 그치긴 했지만 과감하게 개혁의 기치를 올리는 등 숱한 치적에도 불구하고 원나라 출신의 왕비 노국공주가 죽은 뒤 걷잡을 수 없는 퇴락의 길을 걸었던 왕의 혼돈, 그것을 바로 링반데룽으로 이 작품은 본다. 황순원 장편소설을 극화해 지난 1991년 초연한 ‘링반데룽’의 연속 작품. 이번에는 예술원 회원 이원경의 희곡 ‘불멸의 처’와 월탄 박종화 장편소설 ‘다정불심’의 내용에 한성대 교수인 김숙자가 연출, 안무해 새롭게 다듬었다.20세 때 노국공주와 결혼해 각별한 사랑을 나누다가 난산의 후유증을 심하게 앓아 세상을 떠난 왕비의 곁을 지키다 방황 끝에 목숨을 잃는 왕의 순애보가 큰 얼개. 비가 죽은 뒤에도 죽음을 인정하지 않은 채 사랑을 찾아 방황한 왕, 아니 ‘한 남자’의 사랑과 갈등, 그리고 본능이 춤으로 풀어진다. ‘사랑에 빠진 한 남자의 극단적 방황’을 실감나게 보여주기 위해 장면 장면을 극적인 춤과 군무로 연출한 게 특징. 한성대 출신의 국립무용단 주역급 무용수들을 대거 출연시켜 이 무용단의 실력을 은연중 과시한다.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대학에서 무용공부를 한 안무자 김숙자의 딸 최원선이 반야 역을 맡아, 한 무대에서 김숙자 모녀의 춤도 볼 수 있다.(02)589-1003. 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인사]

    ■ 서울신문 △독자서비스국 발송부장 마종수■ 경찰청 ◇경정 승진 예정 (일반) △본청 경비 김치관△〃 총무 모상묘△〃 생활안전 윤주정△〃 혁신기획 남제현△〃 보안1 김인규△〃 인사 도준수△〃 정보3 조원래△〃 정보2 송영호△〃 외사기획 박근혁△〃 교통기획 오영국△〃 정보1 박익훈△〃 감찰 조기연△〃 외사수사 장동찬△〃 정보4 김원태△〃 감찰 박종철(수사)△본청 수사 최준영△〃 특수수사 황용수(정보통신)△본청 정보통신1 이원희(항공)△본청 항공 이원걸(여경)△충북 생활안전 여성청소년 이광숙△본청 여성청소년 김숙진△서울 청문감사 민원실 안현순◇경감 승진 예정 (일반)△본청 정보3 신건우△〃 정보1 정용섭△〃 보안2 신영호△〃 장비 유재칠△〃 혁신기획 전석창△〃 감사 박경철△〃 인사 김지원△〃 보안3 신장현△〃 정보4 엄상춘△〃 총무 오용래△〃 혁신단 임동호△〃 경호 여태수△〃 외사기획 유도경△〃 감찰 권윤섭(수사)△본청 마약수사 김하철△〃 특수수사 강구명△경찰종합학교 교무 박종민(정보통신)△부산 정보통신 장성수△서울 정보통신 최영윤(항공)△경기 경비 항공대 이안희(여경)△전남 여수 강력범죄 양정숙△경기 수원중부 수사지원 김화자△부산 생활안전 여성청소년 박민자△전북 〃 〃 송미영△인천 서부 〃 최길주△서울 강동 지능범죄 이향미△〃 양천 〃 유광자△충남 공주 신관지구대 최재금△서울 형사 과학수사 박미옥△충북 제천 생활질서 신윤경△서울 형사 과학수사 조정미△〃 남대문 〃 정현△〃 혜화 지능범죄 강호남△〃 마포 보안2 이성은△〃 은평 지능범죄 허수진△〃 외사 외사1 김영미△본청 사이버 조성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정책연구실장(정책홍보팀장 겸직) 고준환△경영기획〃 장정진△예술지원컨설팅센터장 이성겸△문화협력사업본부장 양효석△아르코미술관장 백지숙△아르코예술극장장 최용훈△아르코예술인력개발원장 이창윤△아르코예술정보관장 이호신△혁신인사팀장 장계환△기획예산〃 오영주△경영지원〃 유봉래△지원총괄〃 황치준△문학〃 이용훈△시각ㆍ다원예술〃 박두현△공연예술〃 김영중△국제교류〃 장용석△문화협력사업본부 사업운영〃 송시경△검사역 이용진△성과관리역 박천수△기금운용역 황근하△정책연구실 수석전문위원 오양열△〃 책임전문위원 박상언 양경학 황진수■ 국립공원관리공단 ◇본부 전보 △탐방지원처장 최운규△탐방관리팀장 정석원△재난관리〃 김홍하△인력개발〃 최승운△정보화전략〃 강낙성△감사〃 임영재△자원보전팀장 직무대리 차진열△대외협력팀장 〃 허학영◇지방 전보△경주국립공원사무소장 권혁균△내장산국립공원백암〃 이규원△오대산국립공원〃 이영석■ 근로복지공단 ◇본부장 △정보시스템실장 송재영■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임본부장 국일현△원자로시스템기술개발〃 장문희△핵연료주기기술개발〃 박성원△원자력산업기술개발〃 지광용△원자력기초과학연구〃 김영진■ 서울대병원 ◇전보 △기획예산팀장 金秀鎰△임상의학연구소 행정과장 閔丙閏■ 중소기업중앙회 ◇상근이사 △전무이사 성낙중△대외협력본부장 강남훈△회원지원〃 최진태△중소기업디지털벤처지원센터 건립추진사업단장 최경태◇이사대우△정책개발본부장 조유현(직대)◇팀장급△전략경영실장 이상태△소상공인지원〃 장길호△중소기업인력개발원장 김철기△업무지원팀장 추문갑△정책총괄〃 소한섭△기업협력〃 이종목△편집국장 강성근△PL지원팀장 정일훈△회원지원〃 김한수△조합활성화〃 유영호△공제기획〃 박동하△공제사업〃 서석태△공제가입〃 이근국△리스크관리〃 정재기△소상공인공제〃 이상호△인력정책〃 정인호△인력지원〃 심규섭△취업교육〃 류길상△산업인력〃 남명근△감사실장 전석봉△서울지역본부장 김종배△부산울산지역 유옥현△인천지역〃 정성모△대전충남지역〃 이운형△전북지역〃 유광수△대구경북지역〃 강삼중■ 국민일보 △판매국 특수판매팀장 박문수△〃 수도권〃 김용술■ 우리투자증권 ◇신규 △상품기획팀장 李基南■ 기업은행◇사업단장 및 지역본부장 △PB사업단 이국재 △강남지역본부 김경태 △강서지역본부 김창구 △북부지역본부 안우진 △서부지역본부 오금필 △중부지역본부 안병국 △경인지역본부 황만성 △부산울산본부 이윤희 △대구경북본부 전재갑 △호남지역본부 고일영 ◇본부 부서장△개인고객부 안동규 △해외사업부 동학림 △카드사업부 배길환 △직원만족부 장주성 △총무부 서형근 △정보시스템부 조용찬 △정보서비스부 황명수 △e-business부 장기명 △리스크감리부 권태고 △업무지원센터 황기순 △IBK고객센터 배영훈 △본부기업금융센터 김도진 △검사부 오위탁 △인재개발원 전화숙 △BPR추진팀 장영환 ◇기업금융지점장△성수동기업금융지점 이한신 △반월기업금융지점 박영식 △남동공단기업금융지점 김영규 △주안공단기업금융지점 김양채 △울산중앙기업금융지점 김충호 △성서공단기업금융지점 박해구 △하남공단기업금융지점 문병진 △천안중앙기업금융지점 박종언 ◇지점장△과천중앙 허상무 △반포 양현두 △삼성동 박남수 △서초동 허선구 △선릉역 채영철 △신사동 박치영 △경안 김왈수 △곤지암 박상환 △구리 정환종 △방이역 이정애 △속초 김윤식 △송파 최병주 △워커힐 양봉우 △원주 최석암 △잠실 채창훈 △중곡동 조해현 △MBC 박환건 △당산동 김종석 △도당동 노승훈 △목동쉐르빌 오세중 △문래동 최하수 △문래중앙 기영종 △삼정동 송기찬 △상동 구상식 △역곡 박세준 △염창동 강기호 △영등포 남승호 △우장산역 고일석 △가산디지털역 이상래 △구로서 김성만 △구로중앙 김성경 △낙성대 조일 △독산중앙 형만욱 △사당역 김성동 △석수역 이귀식 △시흥동 민병서 △신림동 김용호 △신림역 최길봉 △온수동 이병덕 △노원역 한계선 △면목동 이용재 △삼양동 박혜성 △수유동 곽윤배 △안암동 장영기 △중계동 황귀환 △청계8가 서성석 △청량리 이곤수 △마포역 장혜창 △북아현동 장석준 △수색 이융기 △신촌 박성근 △홍대역 송익진 △화정역 강영호 △대학로 송하룡 △독립문 박미하 △성수2가 임정택 △용산중앙 최인규 △을지6가 임성환 △장한평 신승수 △제일기획 허은영 △종로6가 이진영 △창신동 이정한 △화양동 박형순 △군포 원창세 △군포공단 곽순도 △반월 김노수 △시화중앙 조희문 △신고잔 전기철 △안산중앙 엄기백 △안양 김정태 △평촌아크로타워 김성태 △호계동 김정갑 △분당정자역 이병돈 △서정리역 하동현 △송탄 안상룡 △수지동천 고윤흥 △안성 손기호 △영통 홍승재 △용인동백 안상윤 △포승공단 이길우 △화성남양 신상권 △화성병점 임영지 △화성봉담 윤송해 △화성정남 박갑재 △가좌공단 이간수 △계양 오인환 △김포 이덕윤 △김포대곶 김양섭 △남동공단 조치영 △석암 백세종 △송림동 김성수 △연수 손환성 △인천원당 강남희 △녹산공단 김병춘 △덕천동 전정안 △사상 장유수 △창원공단 송석주 △팔용동 김봉경 △하단 전종호 △금사 이근석 △동상동 손광섭 △범천동 정태수 △부평동 백남윤 △울산 손영곤 △울산북 장영철 △초량 문남식 △구미3공단 곽봉철 △성서공단 류재봉 △송현동 노병천 △안동 곽준섭 △왜관 박주헌 △포항남 김종수 △광주 홍기국 △금남로 박종선 △목포 조용 △봉선동 이길원 △상무 김석준 △서귀포 김광순 △신제주 강영택 △여천 오상선 △익산중앙 김영인 △일곡 정중택 △전주서신동 문대희 △정읍 하충승 △하남공단 김종영 △가장동 정회남 △논산 백성현 △대전3공단 장인근 △서산 이윤복 △아산 김재삼 △오창 송기덕 △천안중앙 임명섭 △청주산남 이찬희 △동경 박병룡 △홍콩 김학명 (드림기업지점장)△선릉역 강현훈 △테헤란로 김주원 △가락동 변종만 △경안 박수한 △성남공단 김정근 △가산디지털중앙 손현상 △구로디지털 최경훈 △일산마두 김용운 △파주 김정호 △안양 정승주 △남수원 구용화 △동수원 길영수 △분당서현역 박영제 △안성 김기상 △영통 이희만 △용인 고명식 △원천동 박왕수 △검단 김선태 △연수 문수택 △작전역 강인철 △주안북 김용현 △신평동 김용길 △영도 정형교 △웅상 방군섭 △대구중앙 배병국 △비산동 김철동 △죽전동 정기봉 △광산 박승규 ◇개설준비위원장△강동지역본부 김진환 △경기중앙본부 허석영 △경수지역본부 김필곤 △경인지역본부 전동영 이애경 △부산경남본부 이양수 정영진 △대구경북본부 고득룡 박중수 △점포전략부 문선규 박선 백승헌 윤종구 임이규 전걸 노균연 조충현 김주식 임장영 이명희 변문수 조남언
  • [부고]

    ●양원석(랜덤하우스아시아코리아 대표)송이(전 아현중 교사)씨 모친상 김희순(EYA 대표)씨 시모상 문창성(전 SK유통 이사)김연수(전 오리콤 국장)씨 빙모상 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5일 오전 9시 (02)3410-6926●명영철(전 프로야구 SK 와이번스 단장)씨 모친상 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5일 (02)3010-2252●김상철(플러스씨엠 상무)상길(국민일보 상무 겸 논설위원)상익(논두렁 대표)씨 부친상 3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5일 오전 10시 (02)392-0299●진선옥(넥스트코드 보안사업부 차장)씨 부친상 3일 경북 포항의료원, 발인 5일 오전 9시 (054)245-0427●하종성(경북외국어대 감사)태형(보아스투자자문 대표)씨 모친상 곽성희(전 경북대 교수)씨 빙모상 1일 미국 뉴욕 병원, 발인 5일 오전 9시 (02)782-7000●장제환(전 일본 다이에이 이사)씨 별세 욱(부산대 교수)씨 부친상 송미령(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씨 시부상 2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5일 오전 11시 (02)3410-6905●모상훈(평화주유소 대표)씨 부친상 신현재(중부지방국세청)씨 빙부상 3일 이대목동병원, 발인 5일 오후 5시30분 (02)2650-2743●김경수(경기플라스틱 대표)도수(교보생명 변액자산운영팀장)씨 부친상 2일 경기도 부천성가병원, 발인 4일 오전 8시 (032)340-7304●윤요섭(전북 군산시의원)조현식(전 전북도의원)씨 빙부상 3일 군산 금강장례식장, 발인 5일 오전 9시 017-650-0742●김종석(한국원자력문화재단 실장)원석(전 국민은행 지점장)성자(전 담양고서초등학교 교장)금숙(김숙학원장)경옥(풀무원 팀장)씨 부친상 윤석철(전 춘천역장)이종상(전 완도 노화고 교장)한창준(전 청계약품 상무)박노식(육군 대령)씨 빙부상 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5일 오전 6시 (02)3410-6920●권혁문(전 GS건설 상무)혁진(사업)씨 모친상 이재백(전 대구북부경찰서장)서광식(보험일보 대표)황보탁(사업)이기우(〃)유재흥(〃)씨 빙모상 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5일 오전 7시 (02)3010-2265●임병수(전 SK텔레콤 부장)씨 별세 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5일 오전 6시30분 (02)3010-2261●황석일(자영업)석윤(금융감독원 수석조사역)선주(마산대 강사)씨 부친상 오세언(서부산간호학원 부원장)주종식(한솔내과 원장)씨 빙부상 3일 부산 남천성당, 발인 6일 오전 7시 (051)622-0241●홍춘기(나이스정보통신 상무)씨 부친상 3일 충남 아산 온양장례식장, 발인 5일 오전 8시 (041)547-4444
  • [인사]

    ■ 영등포구 ◇4급 승진 △도시환경국장 박정희△구의회 사무국장 엄낙용 ◇4급 전보 △행정국장 송요출△주민생활지원국장 박기석 ◇5급 승진 △지역경제과장 박영진△민원여권과장 김숙희△영등포3동장 박시철△당산2동장 한권직△도림2동장 김주△양평1동장 남천우 ◇5급 전보 △기획홍보과장 허거한△감사담당관 김정진△행정지원과장 김귀성△재무과장 오상균△세무과장 이항우△주차문화과장 김성찬 ■ 서초구 ◇4급 승진 △기획경영국장 하익봉△주민생활국장 김권영 ◇4급 전보 △행정지원국장 황인식△건설교통국장 김영복 ◇5급 승진 △주차관리과장 강종택△서초2동장 이성철△잠원동장 최영군△반포1동장 김종학△반포4동장 김시환 ◇5급 전보△총무과장 고현근△OK민원센터장 이동우△반포본동장 이순만△양재1동장 황규태 ■ 광진구 ◇4급 전보 △도시환경국장 김용호△건설교통국장 김경수 ◇5급 승진 △중곡2동장 신상무△구의3동장 유영철 ◇5급 전보 △재무과장 서수원△청소과장 이철호△주택과장 장재호△도시디자인과장 곽범구△건설관리과장 김진수△중곡1동장 김지호△자양4동장 김정환 ■ 마포구 ◇4급 승진 △건설교통국장 이관재△도시관리국장 직무대리 안현석
  • [이정연 가족클리닉-행복찾기] 이혼한 시누이만 챙겨주는 남편

    Q직장 동료의 소개로 남편을 만나 결혼했습니다. 안정된 공무원 신분이고 자상한 면에 끌려 결혼했는데 시누이와 너무 각별한 것이 문제입니다. 어머니와 여동생 그렇게 세 식구가 어렵게 살면서 성장해서 그런지 자기 가족에 대한 애착이 너무 강해 분가할 때에도 심하게 다투었습니다. 이혼한 시누이를 하나밖에 없는 여동생이라며 시간만 나면 가서 챙겨주는데, 심지어는 우리 딸보다 여동생의 아이를 더 보살필 정도입니다. 그렇게 10년을 살다 보니 이제는 우리가 부부인 게 맞나 싶고, 죽어도 남편과 같이 묻히고 싶지 않다고 하는 친정 엄마의 말에 수긍이 갑니다. - 윤가현(가명·38세) A요즘엔 사위가 처가에 더 잘한다고 하지요. 그런데 윤가현씨 사례를 보면 이런 경우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자기 아내, 자기 아이보다 여동생을 더 보살핀다고 하면 드라마의 내용이라면 모를까, 현실적으로 흔한 사례는 아닙니다. 남편의 특수한 가족배경에 의해 그렇게 학습된 것으로 이해는 되지만 남편의 관심이 여동생에게 우선 맞춰져 있다면 부인의 입장에서는 마음 고생이 무척 심하리라고 봅니다. 가족상담을 하다 보면 문제성 상담이 대부분입니다. 남편의 외도, 사업실패, 부인의 낭비벽, 자녀의 패륜행동 등 가족 체계를 통째로 흔드는 사건 말입니다. 그런데 이 사례에서는 뚜렷하게 악역을 하는 사람이 없습니다. 다들 착하고 성실합니다. 서로를 속이거나 폭력을 가하지도 않습니다. 이렇게 누구도 나쁜 짓을 하는 사람이 없는데 가정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당사자들이 해결책을 찾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우선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조율해야 합니다. 오빠가 동생을 보살피는 게 잘못인지, 오누이 사이를 의심하는 게 잘못인지, 그것만으로도 끝이 없는 싸움을 하게 됩니다. 가족이 어떻게 사는 게 정상인지를 따지기보다는 어떻게 살고 싶은지에 대해 부부가 먼저 자기 생각을 말해 보고,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향을 잡아가야 합니다. 온 식구가 오순도순 사는 게 가장 이상적이라 해도 자기 가정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택해야 합니다. 우리는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잘 알고 있으며, 의식적으로 메우려고 합니다. 아마도 남편에게 있어서는 일찍 돌아가신 아버지의 역할을 대신하려는 책임의식이 강하고, 부인의 경우는 애정 없이 살아온 친정 부모처럼 살지 않겠다는 욕구가 강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두 분은 각자의 결핍된 욕구를 채워나가도록 배우자가 자신의 뜻을 따라와 주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두 분은 함께 추는 춤이 서툴러 서로의 발등을 밟고 있습니다. 아무리 동기가 순수하다고 해도 의도적으로 끌고 나가려고 하면 주변 사람들과도 부딪치게 마련입니다. 윤가현씨는 애정만큼이나 동정심도 강력한 힘을 가지고 사람의 마음을 지배하기 때문에 남편이 여동생에게 향하는 마음과 경쟁해서는 결코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여동생이 오빠를 조종하거나 무언가를 얻어내려고 할 수 있겠지만, 불쌍하게 사는 여동생을 돕는 남편의 마음은 그런 차원을 넘어선 것일 수 있으므로, 시시비비를 따지는 것은 부부사이만 멀어지게 할 뿐입니다. 지금까지 살아온 10년보다 더 많은 시간이 두 분 앞에 놓여 있습니다. 자신의 가정, 자신의 노후 계획도 세워야 합니다. 남편은 부모형제를 다 안고 가려는 무리한 계획을 내려놓고, 학자금 지원이나 보험 등으로 일부분 책임을 분담하도록 하세요. 생기는 대로 퍼주는 식은 의존심만 기르게 됩니다. 그리고 부인은 오누이간의 애틋한 정을 떼어놓으려고 하기보다는 부부간의 독립된 시간과 일정을 잡도록 하세요. 남편의 지갑보다는 남편과의 시간이 더 소중하다고 부인이 표현한다면 남편도 점차 균형을 잡아갈 것입니다. <목포대 교수·한국가족상담사협회장> ●김숙기 나우미가족문화연구원장과 이정연 목포대 교수의 가족클리닉은 오늘로 연재를 마칩니다.
  • [공직 인맥 열전] (20) 외교통상부 (상)

    [공직 인맥 열전] (20) 외교통상부 (상)

    외교통상부는 전체 직원 1900여명 중 260명이 고위공무원단에 포함될 정도로 상층부가 두꺼운 조직이다.150여개 재외공관에 장관보다 높은 기수가 대사로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지난해 유엔 사무총장에 당선된 반기문(외시 3회) 전 장관의 바통을 ‘우직한 카리스마’로 통하는 송민순(외시 9회) 장관이 6기수나 건너뛰며 이어받았고, 올해 들어 고참 외교관들의 ‘용퇴’도 이뤄지면서 조직이 젊어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본부와 해외 근무를 번갈아 하는 특성상 정무 분야에서는 대미 외교를 중심으로 한 북미라인과 일본통·중국통 등 아태라인, 러시아 등 구주라인이 지역별로 탄탄한 인맥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G7(본부내 최고위직)은 대미 외교의 중요성을 반영, 한동안 북미라인이 주류를 이뤘으나 현재는 북미라인과 아태라인, 국제기구를 맡는 다자(多者)라인 등이 골고루 포진해 있다. ●순혈주의 벗고 외교역량 강화 또 행자부 출신의 김호영(행시 21회) 제2차관을 영입,‘순혈주의’에서 벗어나 정부 전체의 외교역량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는 평가도 받는다. G7이 서울대 외교학과·법학과 출신 위주에서 벗어나 어문계 출신이 약진하고 있는 점도 눈길을 끈다. 일각에서는 독문과 출신의 송 장관이 부임한 뒤 조중표 제1차관(영문과),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불어과), 박인국 다자외교실장(중문과), 이한곤 의전장(독문과) 등 어문계 출신이 G7의 절반이나 차지하는 상황을 외교의 ‘소프트 파워’ 강화로 해석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미국통인 송 장관과 함께 심윤조(외시 11회) 차관보가 북미라인으로 꼽힌다. 심 차관보는 또 워싱턴과 도쿄를 오가며 근무, 북미·아태가 합쳐진 ‘하이브리드’형이기도 하다. 지미파(知美派)로 불리는 유명환(외시 7회) 주일 대사와 경수로기획단 초대 국제부장을 지낸 김영목(외시 10회) 주이란 대사, 북미국장 출신인 김성환(외시 10회) 주오스트리아 대사, 윤병세(외시 10회) 청와대 안보수석(파견), 김숙(외시 12회) 제주도 국제관계자문대사(파견), 위성락(외시 13회) 중앙대 외교겸임교수(파견), 조병제(외시 15회) 북미국장도 손꼽히는 미국통이다. 북미국장 출신인 김 대사와 위 겸임교수는 현재 본부에서 벗어나 있지만 언제라도 요직에 다시 앉을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 2004년 2월 북핵외교기획단이 신설되고 지난해 3월 한반도평화교섭본부가 신설, 확대되면서 북미라인이 다자라인과 함께 북핵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북핵 문제가 최대 현안으로 떠오르다 보니 무게 중심도 순수 북미라인에서 북핵라인으로 옮겨가고 있는 양상이다. 송 장관에 이어 지난해부터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를 맡아 북핵 협상을 지휘하고 있는 천영우(외시 11회)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경수로기획단 국제협력부장·주유엔 차석대사 등을 거친 대표적인 군축·북핵 전문가다. ●어문계 출신 약진 두드러져 이용준(외시 13회) 전 북핵외교기획단장(중국 연수), 북미국장 출신인 조태용(외시 14회) 주아일랜드 대사,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실에서 송 장관과 손발을 맞췄던 임성남(외시 14회) 북핵외교기획단장, 김창범(외시 15회) 평화체제교섭기획단장, 장호진(외시 16회) 북미국 심의관, 한충희(외시 16회) 북핵외교기획단 부단장 등은 북미국에서 대미 업무를 하다가 북핵 관련 업무를 맡게 된 전문가다. 이들은 지난 몇년간 북미국과 북핵외교기획단을 오가며 인맥을 형성하고 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 [Let’s Go]포항 구룡포 3味 여행

    [Let’s Go]포항 구룡포 3味 여행

    경북 포항의 구룡포는 겨울에 찾아야 제격이다. 원효대사와 혜공선사가 수도했던 고찰 오어사 앞바다에서 아홉마리 용이 승천했다는 곳. 바닷가 마을 어디서나 주렁주렁 매달려 익어가는 과메기와 만날 수 있다. 겨울철 꽁꽁 언 몸만큼 얼어붙은 입맛을 돋우기에 과메기만 한 것이 있을까. 사람마다 천차만별인 것이 입맛. 기름기 많은 청어로 만든 것이라야 제맛이라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살집 많아 포실한 원양산 꽁치가 낫다는 이도 있다. 과메기는 김, 미역, 쪽파 등 거섶맛에 먹는다 했다. 긴긴 겨울밤을 보내기에 가족, 친구, 연인보다 좋은 ‘거섶’은 없을 터. 이들과 더불어 과메기를 먹고 즐긴다면 싸늘한 바닷가의 겨울밤이 정겹고 도타워지지 않겠는가. # 겨울의 맛이 익어간다 반도의 동쪽 끝자락 구룡포. 바닷가 마을 곳곳에 주렁주렁 매달린 과메기가 시린 겨울바람을 맞으며 살랑대고 있다. 한적한 마을 풍경을 뒤로하고 과메기 덕장 안으로 들어서면 불난 시장통처럼 분주한 모습과 마주한다. 꽁치의 머리와 내장을 떼어 낸 이른바 ‘배지기’를 만드는 광경이다. 한 편에서 꽁치의 배를 갈라 물에 헹구고 나면, 또 한 편에선 20마리를 한 두름으로 묶어 부지런히 밖에 내건다.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이다. 손질한 꽁치를 ‘대차’라는 틀에 걸던 김숙자(38)씨가 걸쭉한 경상도 사투리로 과메기 제조과정을 풀어냈다. “바닷물과 민물로 번갈아 헹궈야 기름이 엉기지 않아 맛이 좋지예. 꽁치 껍질은 벗기지 않는데, 나중에 먹을 때 벗겨야 불그스레해져 보기 좋고 꾸덕꾸덕하게 씹히는 맛도 살게 되는 기라예. 그래가 바닷바람에 3일 정도 말리면 맛있는 과메기가 된다 아입니꺼.” 과메기란 이름은 관목(貫目:물고기 눈을 끈으로 꿰어 여러마리를 묶는 것)에서 관메기-과메기로 변천됐다는 설이 유력하다. 현지 주민들은 새끼줄을 꼬아 만들었다는 ‘꼬아메기’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을 펴기도 한다. 예전엔 청어로 만들었지만, 청어들이 산란장이었던 영일만 인근에서 자취를 감춘 이후 말리기 쉽고 영양가가 높은 꽁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엔 국내산 꽁치마저 어획량이 줄어 거의 일본 홋카이도 등 북태평양에서 잡아온 꽁치로 대신하고 있다. # 과메기 맛은 ‘팔할이 바람’ “사실 국내산 꽁치는 잘고 기름기가 적어 원양산보다 맛이 덜합니다. 어획량도 적고, 대부분 횟감용으로 팔려 나가죠. 잡은 꽁치를 손질하지 않고 그대로 말린 ‘통마리’가 맛으로는 더 윗길입니다. 말리는 과정에서 내장의 고소함이 살점에 배기 때문이지요. 값도 쌉니다. 배지기에 비해 좀 더 비릿하지만, 요즘엔 통으로 말린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어요.” 병포리에서 바다목장 해원을 운영하고 있는 유동기 사장의 설명이다. 유 사장은 또 “통으로 말리는 과정은 황태 건조 과정과 비슷합니다. 보름에서 한달 정도 얼고 녹기를 반복하며 꾸덕꾸덕하게 익어 가죠.”라고 덧붙였다. 요즘처럼 맑고 건조한 데다 차가운 겨울바람이 부는 때가 통으로 말리기 딱 좋은 시기란 얘기다. 최근 들어 청어가 영일만 인근에서 조금씩이나마 모습을 비치고 있다고 한다. 서해바다가 검은 죽음의 띠와 처절한 사투를 벌이고 있는 마당에 그나마 동해바다는 생기를 회복하는 듯해 여간 다행스럽지 않다. 과메기 맛을 좌우하는 것은 차갑고 건조한 겨울바람. 코끝이 얼얼할 만큼 겨울이 매섭게 익어갈 때라야 과메기도 농익는다. 영일만을 지나며 습기를 머금었던 북서 계절풍이 구룡포 뒤쪽 산자락을 타고 넘으며 건조하고 차가워진다. 이 건조한 내륙풍이 과메기를 기름지게 말리고 바다에서 불어온 바람은 맞춤하니 간을 배게 하는 것. 구룡포 과메기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맛이 좋은 이유다. 구룡포항은 울진 등과 더불어 대게잡이의 전진기지다.12월로 접어들면서 과메기와 대게를 찾아 전국에서 몰려드는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일본에도 과메기 맛이 알려지면서 일본 관광객들의 발길도 잦아지고 있다. # 맛도, 영양도 만점 김 위에 물미역과 쪽파, 마늘 등을 가지런히 얹고, 초고추장 듬뿍 찍은 과메기를 더해 입에 넣기 좋을 만큼 한 쌈 만든다. 쌉싸래한 소주 한 잔 입안에 털어 넣고 기름기 자르르 흐르는 과메기 오물오물 씹는 맛이라니. 과연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겨울 식도락의 정수라 할 만하다. 주당들이 과메기만 보면 반색을 하는 것도 나름의 이유가 있다. 실제 과메기를 안주 삼아 술을 마시면 잘 취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숙취 해독 물질인 아스파라긴산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과메기가 요즘처럼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기까지는 사실 맛보다 참살이(웰빙) 열풍에 힘입은 바 크다. 구룡포읍 등에서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칼슘은 쇠고기에 비해 5배나 많다. 밥이 주식인 한국인이 섭취해야 하는 필수아미노산 트레오닌, 리신 등도 상당량 함유하고 있고 성장기 어린이에게 필요한 아르기닌과 메티오닌도 많다. 노화와 체력 저하, 뇌 기능 쇠퇴 등을 막아주는 한편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주는 영양소들이 듬뿍 들어 있다. 피부노화 방지에도 효과가 탁월하다는데, 미용에 많은 신경을 쓰는 여성들이 귀를 쫑긋 세울 대목이다. # 오징어와 멸치도 한창 바닷가 마을에 널려 있는 것은 과메기만이 아니다. 흰 속살 드러낸 채 겨울 햇살을 온몸으로 받고 있는 오징어와 멸치도 바닷가 풍경을 그려내는데 톡톡히 한몫한다. 마치 ‘나도 예 있소!’라며 목청을 높이는 듯하다. 특히 수천마리 오징어가 시리도록 파란 바다와 어우러지는 광경은 겨울철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장관이다. 오징어는 10월 말∼1월이 제철. 햇살 가득한 해변에서 5일 정도 제 몸을 태워 쫄깃한 건오징어로 변신한다.20마리 한 축에 1만∼3만원선. 멸치의 경우 김장철을 앞두고 젓갈용으로 쓰이는 굵은 녀석들이 잡히는 것이 보통. 올겨울엔 조류와 수온 등의 영향으로 다소 늦어졌다. 소금 뿌린 멸치를 끓는 물에 2분 정도 삶은 다음, 햇볕에 꼬박 하루 동안 말린다.2㎏ 한 상자에 1만 2000원 선. 글 사진 포항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 여행수첩 ▲ 가는 길 경부고속도로→대구-포항고속도로→포항→31번 국도 구룡포 방면→925번 지방도→구룡포항(서울∼포항 336.5㎞) ▲ 먹거리 구룡포에서 영덕에 이르는 바닷가 식당 어디서든 과메기를 맛볼 수 있다.5마리 1만원선. 택배도 가능하다. 집집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배지기 15마리 1만 5000원, 통마리는 20마리 6000원쯤 받는다. 구룡포항 못미쳐 병포리에 위치한 바다목장 해원(054-276-2445)은 입맛과 손맛을 한꺼번에 맛볼 수 있는 집. 관광객들이 직접 낚시로 잡은 참돔, 감성돔 등을 즉석에서 회로 떠 준다. 바닷가 인접한 양식장에 풀어 놓은 고급 어종들이 낚싯대를 드리우기 무섭게 달려든다. 여성이나 어린이도 손쉽게 낚을 수 있다. 낚싯대는 무료 제공. 참돔 1마리 2만원, 감성돔 1만 5000원 선. ▲ 주변 명소 운제산 자락에 기대 선 오어사는 오어지란 저수지를 끼고 있어 풍광이 독특하다. 꽁꽁 얼어붙은 저수지와 절 사이로 난 작은 길은 산책을 즐기기 그만. 한반도 지도에서 꼬리 부분에 해당하는 호미곶은 해맞이 풍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상생의 손, 등대박물관 등 볼거리가 많다. 구룡포에서 호미곶으로 이어지는 20분간의 해안도로 드라이브도 빼놓을 수 없는 여행 코스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