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문위원 칼럼] 오로지 16강인가?
월드컵이 이제 9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신문에 월드컵 관련 보도가 늘어나는 것도 이 때문이다.그런데 우리의 월드컵 보도는 너무나 편향적이다.월드컵 대회 자체가 갖는 의미가 다양한데 오로지 16강에 진출하느냐의 여부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우리 팀이 16강에 오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가 월드컵개최를 통해 얻어야 하는 것은 대내적으로는 경제적 실익을챙기고, 대외적으로는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일일 것이다.
이 때문에 월드컵 개최는 축구의 경기력 향상에만 그쳐서는안되고 경제월드컵,문화월드컵으로 승화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그래야만 우리가 월드컵 개최를 위해 쏟아부은노력을 제대로 회수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몇 해 전 월드컵 유치를 위해 일본과 치열한 경쟁을 벌인 것도 이런 월드컵의 잠재적 부가가치를 높게 평가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우리의 월드컵 관련 보도는 경기력에만 집중되어있다. 구체적으로 16강에 진출하느냐의 여부이다.물론 개최국으로서의 명예가 있기 때문에 16강 탈락을 생각하는 일은끔찍한 일이다.월드컵 개최국이 16강에 탈락한 적이 없다는 주장도 있어서 더욱 그러하다.게다가 일본만 16강 진출에 성공한다면 공동 개최국으로서 체면도 말이 아닐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가 16강에 들어가야 하지만 그것은어디까지나 희망사항이다.그럼에도 이런 희망 때문에 우리가 16강에 들어갈 수 있다는 기대를 국민들에게 잔뜩 심어주고 있다.이는 언론보도의 금과옥조에 해당하는 객관보도를 언론 스스로 깨뜨리는 일이다.
필자가 이런 보도에 대해 문제삼는 것은 우리의 16강 진출이 점차 비관적으로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지난번 골드컵에서 우리 대표팀이 미국에 졌을 때도 당시 미국 대표팀 전력은 최상이 아니었다고 한다.그러니 우리가 월드컵에서 미국팀을 이긴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일 것이다.그런데도우리는 16강 진출을 위해 미국을 제물로 삼고, 폴란드와는한번 대결해서 16강 진출을 해야 한다는 식의 보도를 하는데 이는 현실과 얼마나 동떨어진 보도태도인가.물론 오늘날우리나라에서 황색 언론에 해당하는 스포츠 신문이라면 국민들의 희망을 반영하는 보도를 할 수 있다.그렇지만 소위권위지라고 자임하는 신문들이 객관적 사실을 덮어두고,국민들의 희망에 따라 주관적인 입장에서 보도를 자행한다면그것은 저널리즘의 정신을 정면으로 훼손하는 일이다.그리고 우리 국민의 냄비 근성을 더욱 부추기는 일이다.
물론 이런 보도태도는 대한매일 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언론의 일반적인 현상이다.그럼에도 이 문제를 언급하는 것은 우리의 언론보도가 월드컵 개최를 앞두고 이런 문제에 대한 균형감각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다.그래야만 불행히 16강에 탈락되더라도 그 충격이 덜할 것이고,또16강에 진출한다면 그 기쁨은 훨씬 더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솔트레이크 올림픽 쇼트트랙에서의 오심 판정과 관련한 우리의 언론보도도 편향적이지 않은가 생각한다.김동성의 금메달 탈락은 너무 아쉬운 일이다.그렇지만우리 언론은 이런 아쉬움만을 반영하는 보도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라 왜 이런 판정이 나올 수밖에 없었고,나아가 이런판정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를 곰곰이 따져야할 것이다.
김정탁 성균관대 언론정보대학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