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한국인 저력 과시한 한·미전
10일 열린 월드컵 경기 한국과 미국의 대전은 한국측이 시종일관 우수하게 이끌었음에도 불구하고 골운이 따르지 않아 결국 비기고 말았다.전 국민의 초조와 안타까움,기다림과 아쉬움 속에서 달구벌 경기장에서의 싸움은 끝났다.
내용상으로 한국측이 분명히 승리한 경기라고 한다면 과장일까.나아가 세찬 빗줄기 속에서 전 국민이 한마음으로 질서정연하게 보내준 응원까지 더한다면,월드컵역사에 길이 남을 만큼 축구문화를 훌륭하게 빛낸 경기였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숱한 기회를 놓친 상태에서,전반 24분에 매시스 선수에게 어이없게 한 골을 허용한 뒤 후반 33분 안정환 선수가 헤딩슛으로 동점 골을 얻을 때까지,그 한시간 남짓은 한국인이 체험한 가장 긴 시간이었다.선수들의 이마에 흐르는 피와 땀방울은 보석보다 더 빛난 반면 히딩크 감독의 타는 입술은 백지장 같았다.
스탠드에 걸린 플래카드에는 ‘우리에게 꿈이 있다.’는 영문글씨가 선명했다.‘대∼한민국,대∼한민국’을 연호하는 응원단과 전 국민의 목소리는 고조선 이후 가장 굳건한 민족적 통합을 상징하는 함성이었다.대등한 체력을 보이면서도 아직 스피드가 뒤지는 모습은 선수의 역량 차이라는 냉엄한 세계를 되새기게 했다.
경기를 보면서,만약 한국이 지게 되면 일부 젊은이들이 흥분한 나머지 서울 광화문의 미국 대사관에 침입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떠올랐다.러시아에서는 일본에 패한 것에 분노한 국민이 현지 일본인들에게 행패를 부렸고,또 난동 끝에 러시아인 두 사람이 사망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우리나라에서도 난동이 일어나리라는 이러한 선입관이나 예측은,말 그대로 일부의 우려이거나 자국민에 대한 지나친 폄하에서 빚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그런 청년들이 한둘 있을 수도 있다.그러나 오늘 한국인들이 보여준 성숙한 질서의식과 거국적인 스포츠 사랑의 태도야말로 지금까지의 기우를 씻어주고도 남음이 있다.안정환 선수가 동점골을 넣고 나서 의연하게 보여준 세리머니,‘쇼트트랙 위의 김동성 모션’을 미국인들은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경기장에서,거리에서 그리고 직장과 가정에서 온 국민이 한마음으로 응원하는모습을 보면서,한편 우리의 답답하고 부끄러운 정치현실이 문득 머리를 스치기도 했다.정치도 축구처럼 할 수 없을까.정정당당한 경쟁,깨끗한 승복,그에 따른 아름다운 명예 이것이 축구의 세계가 아닌가.
그렇다면 우리 여야 지도자들도 축구처럼 미래의 꿈을 가지고 맨 몸으로 청빈하게 경쟁하면서,아름다운 민주주의 건설을 위해 진심으로 헌신할 수는 없는 것일까.정치생활의 끝은 언제나 그처럼 수치스럽고 비겁하며 변명으로 일관하는 불명예의 길이어야 하는가.‘대∼한민국’을 연호하는 국민의 목소리를 진정 듣지 못하는 오만과 무지가 정말 야속하게만 느껴진다.
오늘의 대전은 전 세계에 한국인의 저력을 유감없이 보여준 한판이었다.세계는 숨을 멈추고 우리를 지켜보았고 우리는 그들에게 정직한 실력과 순수한 열정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한국이 어디에 있는 나라이고 한국인이 어떤 국민인지 분명히 보여주었다.무엇보다도 미국인들에게 우리의 참모습을 깊이 인식시킨 것은 물론 단군 이래 전민족의 공동체 의식을 고양한 것이 이번 대회의 가장 큰 성과로 평가된다.말 그대로 월드컵을 통해 ‘거족적인 축제’를 이룬 것이다.48년 만에 얻은 값진 성과이지만,기다림의 철학은 앞으로 더욱 큰 성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믿는다.기다림과 맹훈련의 인내,열정과 침착의 조화,깨끗한 질서와 아낌없는 성원이야말로 월드컵을 통한 우리 문화의 내적 성숙을 가져오는 왕도라고 생각한다.최후까지 우리선수들에게 영광이 함께하기를 기원한다.
서연호/ 고려대 교수 연극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