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힘’ 동인 19명 대표작 95편 한권에
창립 25주년 기념집 ‘세상의’ 출간
그 화려한 구성원들의 면면은 말할 것도 없지만, 시(詩) 동인 ‘시힘’은 그 이름만으로도 힘이 있다. 신군부 시대였던 19 84년 시인 고운기의 제안으로 ‘역사와 서정의 경계’를 고민하며 태어난 시힘은 25년 역사를 지나오면서 80~90년대 그리고 2000년대 시단의 꿋꿋한 버팀목 역할을 했다. 그동안 한번도 창작의 고삐를 늦추지 않아 개인 작품집 외에 발간한 동인지만도 10권에 이른다.
시힘이 올해 동인 창립 25주년을 맞아 발간한 기념 동인집 ‘세상의 기척들 다시 쓰다(북인 펴냄)’는 이러한 시힘의 발자취를 가득 담고 있다. 책에는 시힘 동인 19명이 처음 문단을 두드리며 내밀었던 작품을 포함해 각 동인의 대표작이 5편씩, 총 95편의 시가 실렸다. 수록작들은 처음 시힘을 일으키고 근간을 세웠던 1기 동인 고운기, 김경미, 김백겸, 박철, 안도현, 양애경, 정일근, 최영철에서부터 새로운 힘을 불어 넣어 준 2기 동인 김선우, 김수영, 나희덕, 문태준, 박형준, 이대흠, 이병률, 이윤학, 그리고 3기 김성규, 김윤이, 휘민 시인까지 쟁쟁한 시힘 동인들의 넘치는 개성을 반영한다.
애초 시힘은 창립 당시부터 큰 틀은 세우되 각자의 시적 방향을 간섭하지 않는 ‘느슨함’을 근간으로 상호 개성을 존중했다. 이런 분위기는 동인 내부뿐 아니라 다른 동인들과의 교류도 활발히 벌이게 했고, 시힘은 ‘시운동’, ‘21세기 전망’ 등과 함께 합동시집·무크지를 내기도 했다.
기념 동인집에는 다른 시동인 시인들의 축하글도 실렸다. ‘시운동’의 박덕규 시인은 ‘힘차게 순결해지라!’라는 글에서 시힘과 얽힌 추억의 에피소드를 꺼내 놓는다. ‘21세기 전망’ 차창룡 시인과 ‘불편’ 동인 김근 시인도 시힘 동인들의 인품과 작품성을 되짚는 한편 그들의 작품을 보며 꿈을 키웠던 때의 이야기를 고백한다.
시힘은 5일 서울 홍대앞 상상마당에서 25주년 기념 ‘보고 듣고 느끼고 노래하는 시’ 행사를 연다. 선집에 실린 작품 중 일부를 동인을 비롯, 기타리스트 김광석, 노래를찾는사람들(노찾사)의 김은희, 래퍼 술제이 등이 이색 낭독을 한다. 문태준, 박형준의 대담도 마련돼 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