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하이라이트] 문실장 “鄭후보 당선 바란다” 답변에 발칵
1일 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통령 비서실 등에 대한 국감은 ‘검증국회’로 불리는 17대 마지막 국회의 의제 대부분을 다뤘다. 각 당 의원들끼리 역할을 나눠 조직적인 공세를 폈고, 문재인 대통령 비서실장과 격렬한 언쟁이 벌어지는 동안 좌중에서는 야유와 막말이 교차했다.
한나라당 심재철 의원은 질의 시작부터 “정동영 후보가 당선되기를 바라느냐.”,“이명박 후보는 당선 안 되길 바라느냐.”고 연이어 물었다.
문 실장은 첫번째 질의에 “솔직히 답변해도 된다면 그렇다.”고 했고, 두번째 질의에도 “네, 지금 답변이 적절하지 않을지 모르지만요.”라고 답했다.
한나라당 김정훈 의원이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는 비서실장의 발언으로 적절치 않다.”고 지적하자, 문 실장은 “속마음을 물은 것이 아니었느냐.”고 받아쳤다.
여야 의원들의 의혹 제기와 반박은 끝없이 이어졌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김경준씨 조기 송환 뒤에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했다고 ‘공작설’을 제기했다.
통합신당 김종률 의원은 “국가의 사법기강과 동맹국인 미국의 주권을 흔드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반박했다.
문 실장도 “청와대가 공작정치를 했다면, 송환 결정을 내린 미 국무부도 공작을 폈다는 말이냐.”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의 출마설도 국감장에서 꺼내 들었다. 심재철 의원은 “청와대가 역정보를 흘려 이 전 총재가 출마하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문 실장은 “자꾸 음모론을 말하니 국민들이 정치 배후에 뭔가 있는 줄 안다.”면서 “청와대는 음모나 공작을 하지 않으니, 이제 그런 얘기 하지 말자.”고 일갈했다.
강도 차이는 있었지만 여야 의원 모두 변양균·신정아씨 등이 연루된 권력형 비리사건에 대해 비판을 쏟아냈다.
문 실장은 유감을 표시하면서도 “변 실장 등이 기소는 됐지만, 아직 사실관계가 확정되지 않았다.”며 민정수석실 등 책임자에 대한 조치나 청와대의 사과가 임박하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여야 사이의 대립은 ‘반말 논쟁’으로 불거졌다. 한나라당 차명진 의원이 BBK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대통합민주신당 의원 두명이 김경준씨와 접촉했다.”고 주장했다.
차 의원은 “한명은 변호사인 남편을 통해 김경준측 변호사와 만났고, 또 한명은 돈을 주고 사람을 사서 미국으로 보내 접촉하기까지 했다.”고 말했다.
구혜영 홍희경기자 kooh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