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훔치고 싶은 문장]
환호(공은혜 지음, 마음모자)
“우연히 툭, 떨어진 열매 하나. 숲의 보살핌으로 자라나듯 널 위해서도 세상이 움직이고 있어.”
늦가을 우연히 떨어진 씨앗 하나. 아무도 모를 거라고 생각했지만, 거기서 성장이 멈출 거라고 생각했지만 그렇지 않았다. 세상이라는 거대한 숲은 작은 씨앗의 떨어짐을 잊지 않고 그것의 생명을 틔우기 위해 정성껏 돌본다. 우리는 다 그런 존재다. 얼핏 외로운 것 같지만 세상은 언제나 우리를 향해 있다. 그런 믿음으로 내일을 향한 환호의 소리를 지르자. 그림책 작가 공은혜의 신작이다. 감각적이면서도 활기가 넘치는 그림은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독자의 기분을 행복하게 만든다. 48쪽, 1만 9500원.
사랑의 혁명(김영찬 지음, 문학과지성사)
“비평가는 비평을 쓰기 시작하면서 비평계라는 상징질서 속으로 편입된다. … 따라서 비평가는 비평가로 존재하는 순간부터 이미 타자의 담론과의 전이 관계 속에 있다. 예술가 못지않게 비평가 또한 자유롭지 않은 ‘영향에 대한 불안’이야말로 바로 이 전이가 작동하고 있다는 증거다. 비평적 글쓰기는 바로 그 타자의 담론과의 대화이자 경쟁이고 투쟁이다.”
문학평론가 김영찬의 네 번째 비평집. 2003년 등단 이후 한국 사회의 여러 징후를 예민하게 포착하고 작품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담론의 장으로 끌고 온 그는 혁명이 가능하지 않은 한국 사회에서 필요한 것은 오직 ‘사랑의 시간’이라고 역설한다. 최인훈, 이청준, 김승옥 등 한국문학의 정전부터 나운규의 ‘아리랑’ 등 영화까지 비평한다. 397쪽, 2만 6000원.
순수한 모순(김솔 지음, 문학실험실)
“그렇다고 내가 스스로 희망을 포기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 설령 사형이 선고되더라도 뫼비우스 띠를 따라 맴돌면서 저항할 것이다. 부당한 죽음은 불필요한 윤회를 반복시킬 위험이 있다.”
문지문학상, 젊은작가상 등을 받은 소설가 김솔의 연작소설집. 프란츠 카프카,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니콜라이 고골, 밀란 쿤데라가 등장하는 네 편의 연작소설을 통해 작가는 ‘소설 너머의 소설’, ‘소설 이후의 소설’이 무엇일지 탐구한다. 문학은 ‘쓰기’와 ‘읽기’라는 두 행위로 이뤄진다. 그렇다면 무엇이 먼저인가. 188쪽, 1만 2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