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프로그램도 ‘보아 우려먹기’
                                
                                요즘 TV 시사 프로그램의 단골 메뉴는 단연 ‘일본을 삼킨’ 10대 소녀 가수 보아.
MBC는 지난 3월 ‘시사매거진 2580’에서 특집으로 다룬데 이어 지난 14∼15일에는 두 차례로 나누어 ‘심야 스페셜’의 특집 다큐멘터리로 내보냈다.오는 19일에는 SBS ‘그것이 알고싶다’가 ‘보아,일본을 삼키다’편을 방송한다.
가수 보아가 오리콘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일본 시장에서 눈부신 성공을 거둔 것은 교양 프로그램에서도 욕심을 낼 만한 소재라는 반증.문제는 인물,소재,주제가 비슷하다 보니 내용 마저 비슷해보인다는 것.시청자들은 “눈길을 끌기 쉬운 소재로 시청률을 쉽게 올려보자는 속셈 아니냐.”며 불만을 털어놓는다.특히 MBC ‘보아 스토리’는 “제목대로 비밀은 커녕,같은 방송사 ‘…2580’의 재탕”이라는 시청자들의 비판이 게시판에 쇄도했다.
시청자 김지희씨는 “‘보아 스토리’는 ‘…2580’에서 지적된 문제를 수정하고 내용을 늘인 것일 뿐”이라고 지적했다.신진호씨도 “재탕이나 마찬가지인 내용을 왜 두 차례로 나누어 방송해야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불만을 털어놓았다.
‘심야 스페셜’ 제작관계자는 “솔직히 한정된 방송시간에 담고 싶은 내용을 충분히 다루는 것은 무리가 있었다.”면서 “2부 ‘끝나지않는 도전’편에서는,보아가 제목에 걸맞게 끊임없이 노력하는 지극히 개인적인 모습들을 소개하려 노력했다.”고 해명했다.
‘보아 스토리’가 시청자들의 주장 처럼 ‘…2580’을 재탕만 한 것은 아니었다.‘1인 기업’이라 불리는 보아의 산업·경제적인 효과에 집중했던 ‘…2580’에 비해 ‘심야 스페셜’은 보아가 개인의 성공사적인 측면에 집중했고,이전에 공개되지 않았던 화면도 상당부분 추가되었다.시청자들도 그 점은 인정하면서도 “차별화 노력이 부족한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인다.
SBS의 ‘보아,일본을 삼키다’를 연출하는 최태환 프로듀서는 “중요한 것은 접근 방식과 깊이인데,적어도 ‘…2580’과 ‘심야 스페셜’은 충분한 차이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라고 옹호하고 “우리는 국내 시장의 침체 속에 해외 진출 모색을 위한 보아의 성공 사례 분석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고 차별화에 노력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채수범기자 lokav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