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본 미 클라이몬트연 연구원 아주주간 기고 요지(해외논단)
◎미 대통령상 도덕성보다 영도력 비중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의 섹스스캔들과 관련,국가 지도자의 영도력과 도덕성과의 관계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탕본 미국 클라이몬트연구소 아주연구센터 주임 연구원은 “국가 창업 시절에는 국가 기틀을 잡아야 하기 때문에 높은 도덕성을 필요로 했지만,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현대에는 도덕성보다 국가 위기관리능력이 뛰어난 영도력을 더 필요로 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고 주장했다.다음은 그가 최근 ‘미국 대통령의 영도력과 도덕성’이라는 주제로 아주주간에 기고한 칼럼 요지.
클린턴 대통령은 행운의 대통령이다.백악관 인턴 여직원 모니카 르윈스키와의 섹스스캔들에는 아랑곳 없이,여론조사 결과 그의 지지율은 미국 경제가활황을 구가하고 있는데 힘입어 50∼60%선을 유지하고 있다. 보통의 미국인들은 정치인들의 도덕성이나 역사관념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고 있는 것이다.
클린턴 대통령의 섹스스캔들은 대통령의 영도력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보게한다.졸업을 앞둔 미 여고생들은 “클린턴 대통령이 슈퍼맨이나 도덕적 우상이 아니다.대통령 업무를 잘 수행하기만 하면,그의 사생활은 우리와 무관하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미국 언론들은 대대적으로 보도했다.대학생들의 견해도 이와 비슷하다.한 잡지의 여론조사도 이같은 형태의 사회심리를 나타내고 있다.조사 대상자의 53%가 클린턴 대통령의 도덕성이 보통 미국 인들의 수준과 높거나 낮지 않고 비슷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경제 이익에 최고 가치 부여
미국인들은 경제적 이익을 최고의 가치에 두고 있다.미국인들의 관심은 폴라 존스와 클린턴 대통령간의 섹스스캔들이 아니라,다우존스 주가지수 변동에 더 있는 것이다.미국 컬럼비아방송과 전국 유선TV방송의 여론조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대부분의 미국인들은 클린턴 대통령의 영도력을 평가할 때 그의 경제 및 국정수행 능력에 있는 것이지,사생활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고 있지 않다는 얘기다.
그러나 한가지 사실만은 분명하다.전후세대 미국인들은 이전 세대보다 훨씬 개방된 사고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그들은 강력한 창조력을 가진 사람이 강한 성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등의 전방위 개방의 자유정신 소유자들인 것이다.미국의 역사 및 전통에 비춰보면 어떤 때는 정치가의 도덕성,인격역량 모두 중요시한 적이 있다.하지만 국가가 평온하고 현대화 추세로 진전되고 있는 시기에는 대통령의 지도력이 도덕성보다 크게 작용하고 있다.
보통의 미국인들은 국가는 하나의 커다란 회사이기 때문에 4년마다 한번 회장을 뽑는데,선출된 회장이 대통령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대통령은 국가를잘 이끌고 잘 관리하면 되지,높은 도덕성을 요구할 필요까지는 없다는 것이다.특히 지금은 국가의 창업기가 아니기 때문에 숭고한 정신과 정통성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클린턴 대통령은 국가안전에 관련된 문제가 없었을 뿐 아니라,민주체제를 정상적으로 운용하고 있다.다만 약간의 문제가 있다면 사생활에 관한 것이다.
21세기를 앞두고 있는 클린턴 대통령은 미래에 대한 비전도 가지고 있다.비록 클린턴 대통령이 사적으로는 미국민들에게 의심도 받고 성실성에 대한 회의감도 안겨줬으나,국정수행 능력에 대해서는 큰 만족감을 주고 있다.최근 30년간 지속돼 온 미국의 재정적자를 99년부터 흑자로 돌려놓을 것이라고 발표하자,미국 언론들은 이 사실을 며칠동안 떠들썩하게 보도했다.대부분의 미국인들은 사인 클린턴에 대해서는 불만이 있지만,공공의 클린턴 대통령에 대해서는 크게 만족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적 도덕성이 전통 대체
대부분 미국인들은 클린턴 대통령에 대해서 이처럼 양면성을 띠고 있다.많은 미국인들이 클린턴 대통령과 르윈스키와 섹스스캔들을 집중 조사하고 있는 케네스 스타 특별검사에게 오히려 반감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바로 이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미국 백악관이 전통적 도덕성의 해체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현대적 도덕성이 과거 전통적인 도덕성을 계승하는 과정에서 전통적 도덕성이 방기되고 있는 것이다.클린턴 대통령의 섹스스캔들사건은 원하던,그렇지 않던 지난 옛날에는 비극에 속할 스캔들이 오늘날에는 오히려 희극적인 일로 바뀔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고 할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