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념의 양극화 조장하는 세력 있다”
‘갈등을 중재해야 할 언론이 오히려 갈등을 부추긴다는 비판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국민대통합위원회가 지난 13일 서울 연세대에서 주최한 제2회 갈등관리포럼이 언론을 주제로 다룬 것은 사회 갈등을 조정하기 위해서라도 언론 정상화와 건강성 회복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비롯됐다.
이번 포럼에선 포럼 위원, 학계, 연구기관, 시민단체, 언론, 정부 부처, 학생 등 60여명이 참석해 ‘미디어로 인한 사회 갈등, 진단과 해소 방안’을 모색했다. 갈등관리포럼은 사회적 파장이 예상되는 갈등 이슈를 점검하고 정책 제안을 마련하고자 대통합위가 만든 포럼으로, 각계 관련 전문가(36명)로 구성됐다. 4개 전문 분야(계층·세대, 이념·문화, 지역·발전, 노동·복지)별로 세미나, 좌담회, 조사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 사회 양극화 담론의 극복’에 관해 주제발표를 한 이준웅 서울대 교수는 “한국 사회의 언론에서 등장하는 정치적 또는 이념적 양극화 수준은 현실을 반영하기보다는 양극화를 조장한다”면서 “언론과 인터넷을 통한 이념적 양극화 탈피를 위해서는 먼저 다원적 이념과 가치에 기초한 상이한 의견의 형성이 일상적임을 인정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념적 양극화를 통해 이득을 보는 세력이 있다”면서 “저질 논객, 기회주의적 언론인, 덜된 학자 등 극단적인 선동주의자들”을 지목했다. 그는 “누가 거짓말을 하는지, 누가 선동꾼인지 평가해서 폭로하는 일이 필요하다”면서 “더 정확한 정보와 진정한 평가를 더 많이 제공함으로써 ‘고품질 논변을 제시하는 훌륭한 설득가’를 드러내는 것 이외에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강조했다.
장우영 대구가톨릭대 교수는 ‘온라인 미디어에서 나타난 갈등의 진단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온라인이 이념 갈등의 매개체”라는 인식을 드러내면서 “온라인 이념 갈등이 과도정치화의 장으로 등장하게 된 원인은 진보와 보수 진영이 처한 한계 상황을 온라인 공간으로 확장하면서 갈등이 증폭되고 정쟁 이슈를 이념 문제로 구도화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진경호 서울신문 논설위원, 김영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수석연구위원, 윤성이 경희대 교수, 윤영찬 네이버 이사 등이 토론자로 참석해 ‘주요 언론과 뉴미디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그리고 여론조사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진 위원은 “근본적으로는 사회 세력 간 대결 구도를 완화하기 위한 정치 체제의 변화가 필요하지만 이는 헌정 질서를 바꿔야 하는, 쉽지 않은 문제”라면서 “차선책으로 중도의 이념 노선을 통해 사회의 구심력을 강화하는 언론을 적극 육성하고 이들의 목소리를 확산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우리가 겪는 어려움은 갈등이 많아서가 아니라 갈등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기제가 불충분하기 때문”이라면서 “정치가 제구실을 못하는 데서 근본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는 곧 갈등 조정과 통치의 정당성 위기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언론에 대해서는 정파성 탈피와 전문직주의 강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