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서 위그선까지 ‘풍요의 바다’
한반도는 세 방향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 때문에 새삼 바다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최근 세계 유통의 중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동북아 물류 허브를 누가 선점하느냐가 아시아 경제의 가장 큰 화두로 떠올랐다. 한국, 중국, 일본의 경제 규모는 세계 경제의 20% 수준에 육박하고 있으며, 이는 동아시아 전체의 90%에 달한다. 국내에는 부산항 인천항 등 여러 항구가 있지만, 아직 모자라다는 평가가 많다. 반면 중국은 상하이, 선전, 다롄항을 집중육성하며 급부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경제전문채널 mbn이 특집 프로그램 ‘바다로 세계로’를 6일부터 4주 동안 매주 화요일 오후 7시50분에 방송한다. 이 프로그램은 동북아 시대를 맞아 물류 중심으로 커나가기 위한 해양수산부의 정책을 집중분석하는 한편, 우리 해양기술의 우수성에 대한 자부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다. ‘수산물, 안심하고 믿고 먹자!’가 첫 번째 시간이다. 우리 건강과 직결되는 먹을거리를 다룬다. 최근에도 기생충 파동 등 먹을거리 관련 문제들이 끊이지 않고 터져나왔다.특히 수산물 위해성에 대한 보도도 잇따르며 수산물의 위생과 안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수산물 안전관리 시스템과 수산물 원산지 표시제, 싱싱회 보급, 생산이력제 등 안전한 소비환경을 만들기 위한 제도를 점검한다. 13일에는 ‘동북아 물류의 중심, 신항만의 미래’가 마련됐다. 중국의 고속 성장과 함께 동북아가 세계 물류의 중심지로 주목받으며 세계 경제 흐름과 무역 환경도 달라지고 있다. 동북아의 한국, 중국, 일본은 경쟁과 협력을 번갈아가며 동북아 물류의 거점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부산항을 집중 개발하는 한편, 광양항 신항건설 계획 등을 추진하며 동북아 시대를 맞고 있는 국책 사업을 들여다본다. 3부 ‘한국 첨단 해양과학기술, 세계를 이끈다’는 20일 방송된다. 위그선을 알고 있는지. 수면 위 5m 이내 뜬 상태로 달리는 초고속선으로 차세대 해양 운송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전 세계에서 러시아 독일 한국만이 개발에 성공했다.2006년부터 2010년까지 대형 위그선 개발 계획이 진행되고 있는 현장을 찾아 한국 첨단 해양과학기술의 현주소를 확인해 본다. 27일 마지막 4부 ‘해상교통안전, 우리가 있다’가 그 대미를 장식한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바다를 지키며 해상 교통의 모든 것을 전담하고 있는 해양수산부를 정밀 해부하는 시간이다.첨단 해양과학기술을 이용한 항만관제센터, 해양안전정보센터 등으로 바다를 지키며 국민의 안전과, 나아가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해양수산부의 24시가 시청자들에게 공개된다.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